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10권
  • 외편(外篇)○제6편 선행(善行)○실경신(實敬身)
  • 사마광(司馬光) 1
메뉴닫기 메뉴열기

사마광(司馬光) 1


溫온公공이 曰왈 先션公공이 爲위群군牧목

번역소학 권10:31ㄴ

判판官관야서 客至지어든 未미嘗샹不블置티酒쥬호 或혹三삼行或혹五오行이오 不블過과七칠行며 酒쥬沽고於어市시며 果과止지梨니栗률棗조柿시며 肴효止지脯포醢菜羹며 器긔用용瓷漆칠호 當당時시士大대夫부ㅣ 皆然연이라 人인不블相샹非비也야니 會회數삭而禮례勤근며 物믈薄박而情졍厚후더니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司馬마溫온公공이 니샤 우리 아비 아

번역소학 권10:32ㄱ

群군牧목判판官관 벼슬여 겨신 졔 손이 오나 일즉 잔 아니신 저기 업수 혹 세 번식 돌이며 혹 다번식 돌여 닐굽번의 너므디 아니며 수를 져제 가 사고 주001)
수를 져제가 사고:
술을 시장에 가서 사고. ‘수를’은 ‘술’에 목적격 조사 ‘-을’이 통합된 형임.
과시를 와 밤과 대초와 감과 고 안쥬를 포육과 젓과 호로 주002)
호로:
나물로. 나물만으로.
 과 고 그르슨 사긔와 옷칠 것  그 시졀 됴히 다 그리 호모로 사미 서르 외다 아니니 몯지 조 주003)
몯지 조:
잔치(=모꼬지)는 자주 하되. ‘조’의 기본형은 ‘다’이고 의도법 선어말 어미 ‘-오-’와 구속형 어미 ‘-’가 통합된 형임. 경음화를 거치면서 ‘몯지〉모꼬지’로 소리가 변하였다.
례도 브즈런고 차반 주004)
차반:
물건은. 반찬은. 차린 음식은.
사오나오 주005)
사오나오:
사납지만. 나쁘지만.
졍은 후

번역소학 권10:32ㄴ

더니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사마온공이 말하였다. 우리 아비 군목판관(群牧判官) 벼슬할 때 손님이 오면 늘 잔치 아니 하신 적이 없었다. 어떤 때는 세 번을, 어떤 때는 다섯 번을 돌리고 일곱 번을 넘지 않았다. 술은 시장에서 사고, 과일은 배, 밤, 대추, 감뿐이었고, 안주는 포와 젓갈, 나물로 한 국 정도 뿐이었고, 그릇은 사기와 옻칠한 나무그릇을 썼다. 그 때는 조정 사대부 모두가 그렇게 하였으므로 사람들이 서로 비난하지 않았다. 모임은 자주 있었지만 예를 부지런히 실천하였기에 물건은 나쁘지만 정이 두터웠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수를 져제가 사고:술을 시장에 가서 사고. ‘수를’은 ‘술’에 목적격 조사 ‘-을’이 통합된 형임.
주002)
호로:나물로. 나물만으로.
주003)
몯지 조:잔치(=모꼬지)는 자주 하되. ‘조’의 기본형은 ‘다’이고 의도법 선어말 어미 ‘-오-’와 구속형 어미 ‘-’가 통합된 형임. 경음화를 거치면서 ‘몯지〉모꼬지’로 소리가 변하였다.
주004)
차반:물건은. 반찬은. 차린 음식은.
주005)
사오나오:사납지만. 나쁘지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