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아ㆍㅏㅏ
여린시옷 ㅿShift + ㅁ (혹은 ㅁ.)
옛이응 ㆁShift + ㅇ (혹은 ㅇ.)
여린히읗 ㆆShift + ㅎ (혹은 ㅎ.)
왼쪽 늘인 ᄼShift + ㅋ (혹은 ㅋ.)
오른쪽 늘인 ᄾShift + ㅌ (혹은 ㅌ.)
왼쪽 늘인 ᅎShift + ㅊ (혹은 ㅊ.)
오른쪽 늘인 ᅐShift + ㅍ (혹은 ㅍ.)
왼쪽 늘인 ᅔShift + ㅠ (혹은 ㅠ.)
오른쪽 늘인 ᅕShift + ㅜ (혹은 ㅜ.)
이달에 임금이 친히 언문 28자를 지었는데, 그 글자가 옛 전자(篆字)를 모방하고, 초성·중성·종성으로 나누어 합한 연후에야 글자를 이루었다. 무릇 문자에 관한 것과 이어(俚語)에 관한 것을 모두 쓸 수 있고, 글자는 비록 간단하고 요약하지마는 전환하는 것이 무궁하니, 이것을 훈민정음이라고 일렀다. - 조선왕조실록 세종 25년 12월 30일 2번째 기사-
조선초에 조준․권중화 등이 향약으로 백성을 치료하기 위해 편찬한 의약서. 총30권 가운데 현전하는 권5~6을 국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