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3(하)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3(하)
  • 술회 하(述懷下)
  • 누각에서[樓上]
메뉴닫기 메뉴열기

누각에서[樓上]


樓上 주001)
누상(樓上)
이 시는 769년(대력 4) 초가을에 담주(潭州, 호남 장사)의 상강(湘江) 가에서 지은 것이다. 두보의 담백하고 웅장함과 웅장하고 비장한 언어로 누각에 올라 멀리 바라보고 생기는 우국과 자탄을 묘사하였다.

누상
(누각에서)

天地空搔首 頻抽白玉簪

하콰 쾃 주002)
하콰 쾃
하늘과 땅과의. 하ㅎ+과#ㅎ+과+ㅅ. ‘하ㅎ’과 ‘ㅎ’는 ㅎ말음체언이다.
예셔 쇽졀업시 주003)
쇽졀업시
속절없이.

분류두공부시언해 권3:49ㄱ

글거 주004)
글거
긁어. 긁-+어.
조 주005)
조
자주. ¶太子ㅣ 조 王 出家야지다 거시(太子屢以出家心白父王)〈석상 3:23ㄱ〉. 됴 소리 一柱에셔 조 오니(道裏下牢千)〈두시 20:5ㄴ-6ㄱ〉.
白玉 빈혀 주006)
빈혀
비녀를. 빈혀+ᄅᆞᆯ.
혀노라 주007)
혀노라
빼노라. ᄲᅡ히-++오+라. ¶天帝釋이 그 사  忉利天에 가아 塔 일어 供養더라(時天帝釋取其箭歸忉利天上建塔盛貯供養)〈석상 3:14ㄱ〉. 혀 더뎌 니고져 너기디 아니노라(撥棄不擬道)〈두시 22:4ㄱ〉.

【한자음】 천지공소수 빈추백옥잠
【언해역】 하늘과 땅 사이에서 속절없이 머리 긁어, 자주 백옥(白玉) 비녀를 빼네!

皇輿三極北 身事五湖南【皇輿 指天子ㅣ라 三極 東南西極也ㅣ라 五湖 洞庭 주008)
동정(洞庭)
후난성(湖南省)에 있는 호수이다. 호북(湖北)과 호남(湖南)은 동정호를 기준으로 지어진 이름이다. 수원은 남쪽에서 유입되는데, 굴원이 빠져죽은 상수(湘水)와 자수(資水), 원수(沅水), 예수(澧水) 네 곳의 지류에서 유입이 된다. 북쪽에는 동정호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악양루(岳陽樓)가 있다. 두보의 시 ‘등악양루(登岳陽樓)〈권14:13ㄴ〉’ 참조.
이라】

皇輿 주009)
황여(皇輿)
황제의 수레. 즉 황제.
三極 주010)
삼극(三極)
북쪽을 뺀 동, 서, 남쪽.
ㅅ 北녀긔 겨시니 내 모맷 이 五湖 주011)
오호(五湖)
동정호(洞庭湖).
ㅅ 南 녀긔 왯노라

【한자음】 황여삼극북 신사오호남【황여(皇輿)는 천자를 가리킨다. 삼극(三極)은 동남서극(東南西極)이다. 오호(五湖)는 동정(洞庭)이다.】
【언해역】 황여(皇輿)가 삼극(三極)의 북쪽에 계시니, 내 몸의 일은 오호(五湖)의 남쪽에 와 있네!

戀闕勞肝肺 論材愧杞柟

大闕을 思戀야 肝肺 잇브게 주012)
잇브게
피곤하게. 힘들게. 잇브[勞]-+게. ¶사미 혀로 입시우 할하 니기 할하 잇브게 면(譬如有人이 以舌로 舐吻야 熟哉야 令勞면)〈능엄 3:9ㄱ〉. 軍이 바도미  잇브더라(供給亦勞哉)〈두시 21:36ㄴ〉.
노니 材質을 議論호매 杞柟 주013)
기남(杞柟)
구기자나무와 녹나무로 모두 좋은 목재이다.
붓그리노라 주014)
붓그리노라
부끄러워하노라. 붓그리[愧]+ᄂᆞ+오+라.

【한자음】 연궐로간폐 론재괴기남
【언해역】 대궐(大闕)을 사련(思戀)하여 간폐(肝肺)를 피곤하게 하니, 재질(材質)을 의론(議論)함에 구기자나무와 녹나무를 부끄러워하네!

亂離難自救 終是老湘潭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이젯 주015)
이젯
지금의. 이제+ㅅ.
亂離 스싀로 주016)
스싀로
스스로. 스싀+로. 원래는 ‘스싀’라는 명사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여기로 부사파생접미사 ‘-로’가 결합되어 형성된 부사이다. 고려 석독구결에서도 ‘스싀’는 ‘自’로 표기되었다. 『소학언해』에 ‘스싀’가 단독으로 쓰인 용례들이 확인된다. ¶스싀로 ; 그 어미 이 니 東山 딕희오고 스싀로 가 밥 어더 스싀로 먹고 님 밥 보내요 날마다 그리 다가(其母以女守園 自往求食 既自食已 後爲其女而送食分 日日如是)〈석상 11:40ㄴ〉. 端拱샤미 스싀로 빗나도다(端拱自光輝)〈두시 24:49ㄴ〉. 스싀 ; 張文節公이 宰相이 외야 스싀 奉養호미 河陽ㅅ 掌書記ㅅ 시졀티 더니(張文節公이 爲相이라 自奉이 如河陽掌書記時더니)〈내훈 3:57ㄴ〉.
救호미 어려우니 내 이 湘潭 주017)
상담(湘潭)
상수(湘水)와 담주(潭州). 상수는 후난 성을 관통하여 동정호로 흘러 들어가는 강이며, 담주는 현재의 후난 성의 성도인 장사(長沙)이다. 두보가 만년에 상강(湘江)을 따라 오르락내리락 하다가 결국 죽어 상강 가에 묻힌다.
애셔 늘그리로다 주018)
늘그리로다
늙을 것이도다. 늙[老]-+으리+도+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난리난자구 종시로상담
【언해역】 지금의 난리를 스스로 구함이 어려우니, 마침내 이 상담(湘潭)에서 늙을 것이도다!
Ⓒ 역자 | 김영배, 김성주 / 2017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누상(樓上) : 이 시는 769년(대력 4) 초가을에 담주(潭州, 호남 장사)의 상강(湘江) 가에서 지은 것이다. 두보의 담백하고 웅장함과 웅장하고 비장한 언어로 누각에 올라 멀리 바라보고 생기는 우국과 자탄을 묘사하였다.
주002)
하콰 쾃 : 하늘과 땅과의. 하ㅎ+과#ㅎ+과+ㅅ. ‘하ㅎ’과 ‘ㅎ’는 ㅎ말음체언이다.
주003)
쇽졀업시 : 속절없이.
주004)
글거 : 긁어. 긁-+어.
주005)
조 : 자주. ¶太子ㅣ 조 王 出家야지다 거시(太子屢以出家心白父王)〈석상 3:23ㄱ〉. 됴 소리 一柱에셔 조 오니(道裏下牢千)〈두시 20:5ㄴ-6ㄱ〉.
주006)
빈혀 : 비녀를. 빈혀+ᄅᆞᆯ.
주007)
혀노라 : 빼노라. ᄲᅡ히-++오+라. ¶天帝釋이 그 사  忉利天에 가아 塔 일어 供養더라(時天帝釋取其箭歸忉利天上建塔盛貯供養)〈석상 3:14ㄱ〉. 혀 더뎌 니고져 너기디 아니노라(撥棄不擬道)〈두시 22:4ㄱ〉.
주008)
동정(洞庭) : 후난성(湖南省)에 있는 호수이다. 호북(湖北)과 호남(湖南)은 동정호를 기준으로 지어진 이름이다. 수원은 남쪽에서 유입되는데, 굴원이 빠져죽은 상수(湘水)와 자수(資水), 원수(沅水), 예수(澧水) 네 곳의 지류에서 유입이 된다. 북쪽에는 동정호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악양루(岳陽樓)가 있다. 두보의 시 ‘등악양루(登岳陽樓)〈권14:13ㄴ〉’ 참조.
주009)
황여(皇輿) : 황제의 수레. 즉 황제.
주010)
삼극(三極) : 북쪽을 뺀 동, 서, 남쪽.
주011)
오호(五湖) : 동정호(洞庭湖).
주012)
잇브게 : 피곤하게. 힘들게. 잇브[勞]-+게. ¶사미 혀로 입시우 할하 니기 할하 잇브게 면(譬如有人이 以舌로 舐吻야 熟哉야 令勞면)〈능엄 3:9ㄱ〉. 軍이 바도미  잇브더라(供給亦勞哉)〈두시 21:36ㄴ〉.
주013)
기남(杞柟) : 구기자나무와 녹나무로 모두 좋은 목재이다.
주014)
붓그리노라 : 부끄러워하노라. 붓그리[愧]+ᄂᆞ+오+라.
주015)
이젯 : 지금의. 이제+ㅅ.
주016)
스싀로 : 스스로. 스싀+로. 원래는 ‘스싀’라는 명사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여기로 부사파생접미사 ‘-로’가 결합되어 형성된 부사이다. 고려 석독구결에서도 ‘스싀’는 ‘自’로 표기되었다. 『소학언해』에 ‘스싀’가 단독으로 쓰인 용례들이 확인된다. ¶스싀로 ; 그 어미 이 니 東山 딕희오고 스싀로 가 밥 어더 스싀로 먹고 님 밥 보내요 날마다 그리 다가(其母以女守園 自往求食 既自食已 後爲其女而送食分 日日如是)〈석상 11:40ㄴ〉. 端拱샤미 스싀로 빗나도다(端拱自光輝)〈두시 24:49ㄴ〉. 스싀 ; 張文節公이 宰相이 외야 스싀 奉養호미 河陽ㅅ 掌書記ㅅ 시졀티 더니(張文節公이 爲相이라 自奉이 如河陽掌書記時더니)〈내훈 3:57ㄴ〉.
주017)
상담(湘潭) : 상수(湘水)와 담주(潭州). 상수는 후난 성을 관통하여 동정호로 흘러 들어가는 강이며, 담주는 현재의 후난 성의 성도인 장사(長沙)이다. 두보가 만년에 상강(湘江)을 따라 오르락내리락 하다가 결국 죽어 상강 가에 묻힌다.
주018)
늘그리로다 : 늙을 것이도다. 늙[老]-+으리+도+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