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3(하)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3(하)
  • 질병(疾病)
  • 늙어 병들어[老病]
메뉴닫기 메뉴열기

늙어 병들어[老病]


老病 주001)
노병(老病)
이 시는 767년(대력 2) 봄 기주(蘷州)에서 지은 것이다. 시에는 두보가 타향인 기주에 오래 머물면서 생긴 감흥과, 다시 조정에 돌아가서 벼슬을 하려는 희망과, 다시 황은(皇恩)을 입으려는 심정을 표현하였다.

노병
(늙어 병들어)

老病巫山裏 嵇留楚客中

巫山 주002)
무산(巫山)
충칭시(重慶市)의 최동단에 위치한 현.
안해셔 주003)
안해셔
안에서. ¶宮內 宮 안히라〈석상 3:6ㄴ〉. 忠州 세 峽ㅅ 안히니(忠州三峽內)〈두시 7:10ㄴ〉.
늘거 病고 楚ㅅ 나그냇 가온셔 머므럿노라 주004)
머므럿노라
머물러 있노라. 머믈[留]-+어#잇-+노+라. ¶虛空애 노 七多羅樹만 소사 올아 種種앳 神奇 變化 내야 虛空 中에 니며 머믈며 안며 누며(踊在虛空高七多羅樹야 現種種神變야 於虛空中에 行住坐臥며)〈석상 21:37ㄱ〉. 버믜 구무 우희 가 머믈오(裴回虎穴上)〈두시 9:16ㄱ〉.

【한자음】 노병무산리 혜류초객중
【언해역】 무산(巫山)의 안에서 늙어 병들고, 초(楚)의 나그네 가운데서 머물러 있네!

藥殘他日裹 花發去年叢

藥 다 날  거시 더러 주005)
더러
더러. ‘더러’는 ‘덜+어’로 분석되거나 ‘흔히’의 뜻인 부사일 가능성이 있는데 원시의 ‘殘’에 대한 번역이므로 동사로 해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중간본’에는 ‘기터’로 되어 있다. ‘중간본’이 더 옳은 것으로 보인다.
잇고 고 니건  들구레 주006)
들구레
떨기에. 들굴+에. ‘들굴’은 『두시언해』에서만 사용된 단어이다. ¶들굴  사미 消息이 그츠니(乘槎斷消息)〈두시 5:13ㄴ〉. 즈믄 들굴와 萬 들구리 가지 지즐워 얫도다(千朶萬朶壓枝低)〈두시 18:7ㄴ〉.  조바  가 들구를 容納만 도다(最窄容浮查)〈두시 6:47ㄱ〉.  들구레 와 안자쇼미 됴니(浮查並坐得)〈두시 16:45ㄱ〉.
펫도다 주007)
펫도다
피어 있도다. 프-+어#잇-+도+다.

【한자음】 약잔타일과 화발거년총
【언해역】 약(藥)은 다른 날 쓴 것이 더러 있고, 꽃은 작년 떨기에 피어 있도다!

夜足霑沙雨 春多逆水風

바 주008)
바
밤에는. 밤++ㄴ.
몰애 주009)
몰애
모래. ¶더 몰애 모매 븓 苦왜라〈석상 13:8ㄱ〉. 대 서고 몰애 프른 浣花溪예(竹寒沙碧浣花溪)〈두시 21:4ㄱ〉.
저지 주010)
저지
젖게 하는. 젖[霑]-+이+는. ¶六合애 저지시며 十方애 저지샤(潤之六合시며 沾之十方샤)〈월석 1:석상 서:7ㄴ〉. 새 그레 저지노라(沾灑裛新詩)〈두시 21:32ㄴ〉.
비 하고 보 믈 거스리 부 미 하도다

【한자음】 야족점사우 춘다역수풍
【언해역】 밤엔 모래 젖게 하는 비 많고, 봄에는 물 거슬러 부는 바람이 많도다!

合分雙賜筆 猶作一飄蓬尙書丞郞 주011)
상서승랑(尙書丞郞)
상서는 중국의 진나라 이래 천자와 신하 사이에 오가는 문서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벼슬이었는데, 점차 높아져서 당나라와 송나라 때에 중앙 정부의 수위(首位)에 앉아 육부의 장관이 되었다가 뒤에는 중앙 정부의 장관이 된 직위이다.
 月給大筆一雙니

분류두공부시언해 권3:55ㄱ

ㅣ 爲工部郞而今羇旅於此故로 感而有是句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주신 두 부들 주012)
부들
붓을. 붇[筆]+을.
호미 맛커늘 주013)
맛커늘
마땅하거늘. 맛-+거+늘. ‘맛’은 ‘맞-’과 ‘當’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형태이다.
오히려  불여 주014)
불여
불리어. 불-+이+어. ‘이’는 피동접미사이다.
니 다보지 외옛노라 주015)
외옛노라
되어 있노라. 외-+어#잇-++오+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합분쌍사필 유작일표봉【상서승랑(尙書丞郞)에게 한 달에 큰 붓 한 쌍을 주니 두보가 공부랑(工部郞)이 되어 지금 여기에 나그네로 있으므로 느낀 바가 있어 이 구를 지었다.】
【언해역】 주신 두 붓을 나눔이 마땅하거늘, 오히려 불려 다니는 한 다북쑥이 되어 있네!
Ⓒ 역자 | 김영배, 김성주 / 2017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노병(老病) : 이 시는 767년(대력 2) 봄 기주(蘷州)에서 지은 것이다. 시에는 두보가 타향인 기주에 오래 머물면서 생긴 감흥과, 다시 조정에 돌아가서 벼슬을 하려는 희망과, 다시 황은(皇恩)을 입으려는 심정을 표현하였다.
주002)
무산(巫山) : 충칭시(重慶市)의 최동단에 위치한 현.
주003)
안해셔 : 안에서. ¶宮內 宮 안히라〈석상 3:6ㄴ〉. 忠州 세 峽ㅅ 안히니(忠州三峽內)〈두시 7:10ㄴ〉.
주004)
머므럿노라 : 머물러 있노라. 머믈[留]-+어#잇-+노+라. ¶虛空애 노 七多羅樹만 소사 올아 種種앳 神奇 變化 내야 虛空 中에 니며 머믈며 안며 누며(踊在虛空高七多羅樹야 現種種神變야 於虛空中에 行住坐臥며)〈석상 21:37ㄱ〉. 버믜 구무 우희 가 머믈오(裴回虎穴上)〈두시 9:16ㄱ〉.
주005)
더러 : 더러. ‘더러’는 ‘덜+어’로 분석되거나 ‘흔히’의 뜻인 부사일 가능성이 있는데 원시의 ‘殘’에 대한 번역이므로 동사로 해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중간본’에는 ‘기터’로 되어 있다. ‘중간본’이 더 옳은 것으로 보인다.
주006)
들구레 : 떨기에. 들굴+에. ‘들굴’은 『두시언해』에서만 사용된 단어이다. ¶들굴  사미 消息이 그츠니(乘槎斷消息)〈두시 5:13ㄴ〉. 즈믄 들굴와 萬 들구리 가지 지즐워 얫도다(千朶萬朶壓枝低)〈두시 18:7ㄴ〉.  조바  가 들구를 容納만 도다(最窄容浮查)〈두시 6:47ㄱ〉.  들구레 와 안자쇼미 됴니(浮查並坐得)〈두시 16:45ㄱ〉.
주007)
펫도다 : 피어 있도다. 프-+어#잇-+도+다.
주008)
바 : 밤에는. 밤++ㄴ.
주009)
몰애 : 모래. ¶더 몰애 모매 븓 苦왜라〈석상 13:8ㄱ〉. 대 서고 몰애 프른 浣花溪예(竹寒沙碧浣花溪)〈두시 21:4ㄱ〉.
주010)
저지 : 젖게 하는. 젖[霑]-+이+는. ¶六合애 저지시며 十方애 저지샤(潤之六合시며 沾之十方샤)〈월석 1:석상 서:7ㄴ〉. 새 그레 저지노라(沾灑裛新詩)〈두시 21:32ㄴ〉.
주011)
상서승랑(尙書丞郞) : 상서는 중국의 진나라 이래 천자와 신하 사이에 오가는 문서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벼슬이었는데, 점차 높아져서 당나라와 송나라 때에 중앙 정부의 수위(首位)에 앉아 육부의 장관이 되었다가 뒤에는 중앙 정부의 장관이 된 직위이다.
주012)
부들 : 붓을. 붇[筆]+을.
주013)
맛커늘 : 마땅하거늘. 맛-+거+늘. ‘맛’은 ‘맞-’과 ‘當’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형태이다.
주014)
불여 : 불리어. 불-+이+어. ‘이’는 피동접미사이다.
주015)
외옛노라 : 되어 있노라. 외-+어#잇-++오+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