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3(하)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3(하)
  • 술회 하(述懷下)
  • 강가에서[江上]
메뉴닫기 메뉴열기

강가에서[江上]


江上 주001)
강상(江上)
이 시는 766년(대력 원년) 가을에 지은 것이다. 이때 두보는 기주(蘷州)의 서각(西閣)에 머무르고 있었다. 시는 처량한 가을과 나랏일을 생각하는 옛 신하의 회한을 노래하고 있다.

강상
(강가에서)

분류두공부시언해 권3:39ㄴ

江上日多雨 蕭蕭荊楚秋【蕭蕭 風聲이라】

 주002)
ᄀᆞ
강. 강의. ᄀᆞᄅᆞᆷ[江]+ㅅ.
우희 날마다 비 하 오니 蕭蕭 주003)
소소(蕭蕭)
쓸쓸함. 스산함. 협주에는, 바람 소리라고 하였다.
荊楚 주004)
형초(荊楚)
형주(衡州)와 초(楚) 지역을 아울러 이르는 말. 현재의 후베이성 지역이다.
히로다 주005)
히로다
가을이도다. ㅎ-+이+도+다. ‘이’ 다음의 ‘도’는 항상 ‘로’로 실현된다.

【한자음】 강상일다우 소소형초추【소소(蕭蕭)는 바람 소리이다.】
【언해역】 강 위에 날마다 비가 많이 오니, 스산한 형초(荊楚)의 가을이도다!

高風下木葉 永夜攬貂裘

노 매 나못니피 리니 주006)
리니
내리니. 흩날리니. 리-++니. ¶淨飯王 아님 悉達이라 샤리 나실 나래 하로셔 셜흔 두 가짓 祥瑞 리며(淨飯王子厥名悉達 其生之日天降瑞應三十有二)〈석상 6:17ㄱ〉. 노 매 나못니피 리니(高風下木葉)〈두시 3:39ㄴ〉.
긴 바 貂裘 주007)
초구(貂裘)
담비 모피로 만든 갖옷.
자보라 주008)
자보라
잡았네. 잡-+오+라.

【한자음】 고풍하목엽 영야람초구
【언해역】 높은 바람에 나뭇잎이 내리니, 긴 밤에 초구(貂裘)를 잡았네!

勳業頻看鏡 行藏獨倚樓【此 言勳業 未立而看鏡은 所以惜其老ㅣ오 行藏 未定而倚樓 所以致其思ㅣ라】

功業으란 주009)
공업(功業)으란
공업이란. 훈업(勳業)이란. 공적이 뚜렷한 큰 사업은. 공업(功業)+으란. ‘-으란’은 주제의 기능이 있는 보조사이다. ¶조 으란 雞雀精舍로 보내오(衆僧令往鷄雀精舍)〈석상 24:34ㄴ〉. 犬羊의 侵犯으란 혜아리디 마롤 디니라(莫慮犬羊侵)〈두시 5:19ㄴ〉.
조 주010)
조
자주. ¶太子ㅣ 조 王 出家야지다 거시(太子屢以出家心白父王)〈석상 3:23ㄱ〉. 됴 소리 一柱에셔 조 오니(道裏下牢千)〈두시 20:5ㄴ-6ㄱ〉.
거우루 주011)
거우루
거울을.
보노니 行커나 藏커나 주012)
행(行)커나 장(藏)커나
가거나 머물거나.
호매 올로 주013)
올로
홀로. 올+로. ‘올로’에 대해서는 ‘중풍 들어 배에서 베개를 베고 누어 회포를 쓰면서 호남의 친구들에게 드리는 36운(風疾이어 舟中伏枕書懷야 呈湖南親友논 三十六韻이라)’의 ‘桃源엣 고 올로 조 해 노라(源花費獨尋)’〈두시 3:16ㄴ〉 구절 참조.
樓 지엿노라 주014)
지엿노라
기대어 있노라. 의지하여 있노라. 지-+어#잇-++오+라.

【한자음】 훈업빈간경 행장독의루【이는 훈업(勳業)을 아직 세우지 못하고 거울을 보는 것은 늙음을 애석해 하는 것이고, 행장(行藏)을 아직 정하지 못하고 생각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언해역】 공업(功業)은 자주 거울을 보니, 가거나 머물거나 함에 홀로 누각(樓閣)에 기대어 있네!

時危思報主 衰謝不能休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時節이 危難 저긔 님 恩私 주015)
은사(恩私)
사은(私恩)을.
갑고져 주016)
갑고져
갚고자. 갚-++고#지-+어. ‘지다’는 ‘~하고 싶다’의 뜻으로 원래는 본동사라 쓰였을 것으로 추정되나 15세기에는 보조동사 또는 복합 어미의 일부로 쓰였다. ‘-고져’ 뒤에는 ‘원(願)다, 발원(發源)다, 너기다, 식브다, 라다, 다’ 등이 자주 쓰였다. ¶됴타 됴타 너희히 藥師瑠璃光如來ㅅ 恩德 갑 이 念거든(善哉善哉 汝等念報世尊藥師琉璃光如來恩德者)〈석상 9:41ㄱ〉. 우처 님그믈 갑 모미로다(鶱飛報主身)〈두시 24:4ㄱ〉.
야 주017)
야
생각하여. [思]#-+야. 중세국어의 ‘다’는 ‘생각하다’와 ‘사랑하다’의 뜻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의 뜻으로 쓰이나 후자의 뜻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는 전자의 뜻으로 쓰였다. ¶뫼 사 믈리시고 오 기픈 道理 더시니(除去侍衛端坐思惟)〈석상 3:19ㄴ〉. 몰앳 프레 게을이 오라  부 므를 놋다(懒眠沙草爱風湍)〈두시 22:12ㄴ〉.
늘거도 能히 마디 몯노라 주018)
마디 몯노라
말지 못하노라. 즉 생각하는 것을 그만두지 못한다는 뜻이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시위사보주 쇠사불능휴
【언해역】 시절이 위난(危難)한 때에 임금의 은사(恩私)를 갚고자 생각하여, 늙어도 능히 그만두지 못하네!
Ⓒ 역자 | 김영배, 김성주 / 2017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강상(江上) : 이 시는 766년(대력 원년) 가을에 지은 것이다. 이때 두보는 기주(蘷州)의 서각(西閣)에 머무르고 있었다. 시는 처량한 가을과 나랏일을 생각하는 옛 신하의 회한을 노래하고 있다.
주002)
ᄀᆞ : 강. 강의. ᄀᆞᄅᆞᆷ[江]+ㅅ.
주003)
소소(蕭蕭) : 쓸쓸함. 스산함. 협주에는, 바람 소리라고 하였다.
주004)
형초(荊楚) : 형주(衡州)와 초(楚) 지역을 아울러 이르는 말. 현재의 후베이성 지역이다.
주005)
히로다 : 가을이도다. ㅎ-+이+도+다. ‘이’ 다음의 ‘도’는 항상 ‘로’로 실현된다.
주006)
리니 : 내리니. 흩날리니. 리-++니. ¶淨飯王 아님 悉達이라 샤리 나실 나래 하로셔 셜흔 두 가짓 祥瑞 리며(淨飯王子厥名悉達 其生之日天降瑞應三十有二)〈석상 6:17ㄱ〉. 노 매 나못니피 리니(高風下木葉)〈두시 3:39ㄴ〉.
주007)
초구(貂裘) : 담비 모피로 만든 갖옷.
주008)
자보라 : 잡았네. 잡-+오+라.
주009)
공업(功業)으란 : 공업이란. 훈업(勳業)이란. 공적이 뚜렷한 큰 사업은. 공업(功業)+으란. ‘-으란’은 주제의 기능이 있는 보조사이다. ¶조 으란 雞雀精舍로 보내오(衆僧令往鷄雀精舍)〈석상 24:34ㄴ〉. 犬羊의 侵犯으란 혜아리디 마롤 디니라(莫慮犬羊侵)〈두시 5:19ㄴ〉.
주010)
조 : 자주. ¶太子ㅣ 조 王 出家야지다 거시(太子屢以出家心白父王)〈석상 3:23ㄱ〉. 됴 소리 一柱에셔 조 오니(道裏下牢千)〈두시 20:5ㄴ-6ㄱ〉.
주011)
거우루 : 거울을.
주012)
행(行)커나 장(藏)커나 : 가거나 머물거나.
주013)
올로 : 홀로. 올+로. ‘올로’에 대해서는 ‘중풍 들어 배에서 베개를 베고 누어 회포를 쓰면서 호남의 친구들에게 드리는 36운(風疾이어 舟中伏枕書懷야 呈湖南親友논 三十六韻이라)’의 ‘桃源엣 고 올로 조 해 노라(源花費獨尋)’〈두시 3:16ㄴ〉 구절 참조.
주014)
지엿노라 : 기대어 있노라. 의지하여 있노라. 지-+어#잇-++오+라.
주015)
은사(恩私) : 사은(私恩)을.
주016)
갑고져 : 갚고자. 갚-++고#지-+어. ‘지다’는 ‘~하고 싶다’의 뜻으로 원래는 본동사라 쓰였을 것으로 추정되나 15세기에는 보조동사 또는 복합 어미의 일부로 쓰였다. ‘-고져’ 뒤에는 ‘원(願)다, 발원(發源)다, 너기다, 식브다, 라다, 다’ 등이 자주 쓰였다. ¶됴타 됴타 너희히 藥師瑠璃光如來ㅅ 恩德 갑 이 念거든(善哉善哉 汝等念報世尊藥師琉璃光如來恩德者)〈석상 9:41ㄱ〉. 우처 님그믈 갑 모미로다(鶱飛報主身)〈두시 24:4ㄱ〉.
주017)
야 : 생각하여. [思]#-+야. 중세국어의 ‘다’는 ‘생각하다’와 ‘사랑하다’의 뜻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의 뜻으로 쓰이나 후자의 뜻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는 전자의 뜻으로 쓰였다. ¶뫼 사 믈리시고 오 기픈 道理 더시니(除去侍衛端坐思惟)〈석상 3:19ㄴ〉. 몰앳 프레 게을이 오라  부 므를 놋다(懒眠沙草爱風湍)〈두시 22:12ㄴ〉.
주018)
마디 몯노라 : 말지 못하노라. 즉 생각하는 것을 그만두지 못한다는 뜻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