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3(하)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3(하)
  • 술회 하(述懷下)
  • 홀로 앉아 2수[獨坐二首]
메뉴닫기 메뉴열기

홀로 앉아 2수[獨坐二首]


獨坐二首 주001)
독좌이수(獨坐二首)
이 시는 767년(대력 2) 가을에서 겨울로 계절이 바뀌는 시기에 기주(蘷州) 동둔(東屯)에서 지은 것이다. 이때는 늦가을로 두보의 귀가 멀어져서 잘 들리지 않는 시기에 이 시를 썼다. 시에는 이러한 고통이 보인다.

독좌이수
(홀로 앉아 2수)

〈첫째 수〉

竟日雨冥冥 雙崖洗更靑雙崖 주002)
쌍애(雙崖)
협곡의 양쪽 절벽.
瞿唐兩崖 주003)
구당양애(瞿唐兩崖)
구당협의 양쪽 절벽. 구당협은 장강 삼협 중의 하나이다.
也ㅣ라】

나리 록 주004)
록
미치도록. -+록. ‘-’에 대해서는 ‘중풍이 들어 배에서 베개를 베고 누어 회포를 쓰면서 호남의 친구들에게 드리는 36운(風疾이어 舟中伏枕書懷야 呈湖南親友논 三十六韻이라)’의 ‘虞舜이 거믄고  도다(虞舜罷彈琴)〈두시 3:13ㄴ〉’ 구절을 참조하고, ‘-록’에 대해서는 ‘앉아서 생각에 잠겨[愁坐]’의 ‘나리 록 두루 뇨 시름노니(終日憂奔走)’ 구절 참조.
아아 주005)
아아
아득아득. ¶아야 디 몯리니 外道ㅣ 아야 冥諦 사 미 아니라 末學이 예 니르러 다 아아니라(冥然莫辯이니 匪唯外道ㅣ 昧爲冥諦라)〈능엄 2:26ㄱ〉. 柟樹ㅅ 비치 아아니(柟樹色冥冥)〈두시 18:21ㄱ〉.
오니 두 비레 주006)
비레
절벽. ‘비레’는 『두시언해』에서만 쓰였으며, 19세기의 〈신자전〉에 ‘셕비레’라는 형태로 보인다. ¶머리 도혀 두 비레 라노라(回首望兩崖)〈두시 6:46ㄴ〉. 비레 그츠니 핫고와 호왁과 도다(崖斷如杵臼)〈두시 6:2ㄱ〉.
시스니 주007)
시스니
씻으니. 싯-+으니.
가야 주008)
가야
다시. ¶虛空애 서리며 軒檻애 소사나 가야 퍼러도다(盤空聳檻야 更青青도다)〈남명 하:72ㄴ〉. 녀미 더듸니 가야 仙人이 이런가 아노라(行遲更學仙)〈두시 3:43ㄱ〉.
프르도다

【한자음】 경일우명명 쌍애세경청【쌍애(雙崖)는 구당협(瞿唐峽)의 양쪽 절벽이다.】
【언해역】 날이 마치도록 비 아득아득 오니, 두 절벽 씻으니 다시 푸르도다!

水花寒落岸 山鳥暮過庭

므렛 고 서늘 주009)
서늘
서늘한. 서늘#-+ㄴ. ¶光이 려  우히 서늘며 므즤여 드려 펴디여(日光이 揜蔽야 地上이 淸凉며)〈법화 3:34ㄴ〉.  울오 紫陌애 새뱃 비치 서늘니(鷄鳴紫陌曙光寒)〈두시 6:5ㄴ〉.
저긔 두들게 주010)
두들게
두둑에. 두듥+에. ¶노며 가오며 굳과 두들기 업고(無有高下坑坎堆阜고)〈법화 3:59ㄱ〉. 두들겟 든 鶺鴒과 니라(原情類鶺鴒)〈두시 24:8ㄴ〉.
듣고 주011)
듣고
떨어지고. 듣-+고. ¶虛空애셔 비 오 고 種種 보 듣고(於虛空中雨種種寶)〈석상 6:32ㄱ〉.  밀흔 가야온 고지 듣놋다(細麥落輕花)〈두시 7:5ㄴ〉.
뫼햇 새 나조 주012)
나조
저녁에.
흐로 주013)
흐로
뜰로. ㅎ+으로.
디나가놋다 주014)
디나가놋다
지나가는구나. 디나[過]-+-아#가-+--+-옷-+-다.

【한자음】 수화한락안 산조모과정
【언해역】 물의 꽃은 서늘할 적에 두둑에 떨어지고, 산의 새는 저녁에 뜰로 지나가는구나!

煖老須燕玉 充饑憶楚萍【煖老 八十에 非人不煖이니라 燕玉 燕之美人이 如玉也ㅣ라 楚萍 楚昭王 주015)
초소왕(楚昭王)
초 평왕(楚平王)과 진 공주(秦公主) 맹영(孟嬴)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기원전489년.
이 渡江得萍實如斗니 剖可食이라】

늘근 몸 덥긔 호란 주016)
덥긔 호란
따뜻하게 함이란. 덥-+긔#-+오+ㅁ+란. 15세기의 ‘덥-’은 ‘따듯하다, 덥다, 뜨겁다’의 뜻이 있다. ‘-긔 -’는 ‘중간본’에서는 ‘긔’가 ‘게’로 되어 있다. ¶더 煩惱 煩惱ㅣ 블티 다라 나 거실 덥다 니라〈월석 1:18ㄱ〉. 보 南國 더운 病ㅣ 나니(春生南國瘴)〈두시 2:22ㄴ〉.
燕ㅅ 玉  겨지블 求고 주으륨 주017)
주으륨
굶주림. 주으리-+우+ㅁ. ¶주으린 가마괴 사 向야 울오져  도다(饑烏似欲向人啼)〈두시 14:31ㄴ〉.
充實케 호란

분류두공부시언해 권3:42ㄱ

楚ㅅ 말와 주018)
초(楚)ㅅ 말와
초(楚)나라의 마름을. 말왐[평(萍)]+. 협주에, 초나라 소왕이 강을 건너다가 마름 열매 한 말을 얻으니 쪼개어 먹을 만했다고 하였는데, 이 설명은 『공자가어(孔子家語)』에 나오는 말이다. 마름은 물에서 자라는 한해살이 풀인데 그 열매 맛이 마치 밤과 같아 물밤이라고도 한다. ¶져기 곳다온 믌 말와 비노라(微馨借渚蘋)〈두시 6:28ㄴ〉.
랑노라 주019)
랑노라
생각하노라. #-+노+라. 15세기 국어의 ‘-’는 ‘생각하다’와 ‘사랑하다’의 뜻이 있으나 전자의 용법이 강하다. 일반적으로 전자의 뜻으로 쓰이나 후자의 뜻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후자의 뜻으로 쓰인 용례는 ‘거문고 누각(琴臺)’의 ‘오히려 卓文君 랑니라(尙愛卓文君)’ 구절 참조. ¶뫼 사 믈리시고 오 기픈 道理 더시니(除去侍衛端坐思惟)〈석상 3:19ㄴ〉. 몰앳 프레 게을이 오라  부 므를 놋다(懒眠沙草爱風湍)〈두시 22:12ㄴ〉.

【한자음】 난로수연옥 충기억초평【난로(煖老)란, 80세에 사람이 따뜻하지 않음이다. 연옥(燕玉)은 연나라의 미인이 옥과 같다는 것이다. 초평(楚萍)이란, 초나라 소왕이 강을 건너다가 말가웃 마름 열매를 얻으니 쪼개어 가히 먹을 수 있었다.】
【언해역】 늙은 몸 따뜻하게 하려면 연(燕)나라의 옥 같은 계집을 구하고, 주림을 충실(充實)하게 하려면 초(楚)나라의 마름을 생각하네!

胡笳在樓上 哀怨不堪聽

되 픗뎨 주020)
되 픗뎨
오랑캐의 풀피리가. 플+ㅅ+뎌+이.
樓ㅅ 우희 잇니 슬프며 怨望 외야 주021)
원망(怨望)외야
원망스러워.
드럼직디 주022)
드럼직디
들음직하지. 듣-+엄+직+()+디. ¶世間앳 이리 맘직니가〈석상 20:43ㄱ〉. 澧州ㅅ 士卒 메 져거도 矜誇얌 직니라(澧卒用矜少)〈두시 1:58ㄴ〉.
아니도다

【한자음】 호가재루상 애원불감청
【언해역】 오랑캐의 풀피리가 누각(樓閣)의 위에 있으니, 슬프며 원망(怨望)되어 들음직하지 않도다!

〈둘째 수〉

白狗斜臨北 黃牛更在東【白狗黃牛 皆峽名이라】

白狗ㅣ 비스기 주023)
비스기
비스듬히. 비슥[斜]-+-ᄒᆞ-+-이. ¶眄 비스기 볼 면〈新類 상:25ㄱ〉. 돌 欄干애셔 비스기 부들 무텨(石欄斜點筆)〈두시 15:12ㄴ〉.
北녀긔 臨얏고 주024)
임(臨)얏고
임하여 있고. 임#-+야#잇-+고. 이 오직 滅 臨샤 기텨 맛디시논 이리라(此 獨臨滅遺付之事ㅣ라)〈능엄 1:18ㄴ〉. 시혹 王難苦 맛나 刑罰을 臨야 마 목숨  쩨(或遭王難苦야 臨刑欲壽終애)〈법화 7:88ㄴ〉.
黃牛ㅣ  東 녁긔 잇도다

【한자음】 백구사림북 황우경재동백구(白狗), 황우(黃牛)는 다 협곡의 이름이다.】
【언해역】 백구(白狗)가 비스듬하게 북녘에 임하였고, 황우(黃牛)가 또 동녘에 있도다!

峽雲常照夜 江日會兼風

峽엣 구루믄 주025)
협(峽)엣 구루믄
협곡(峽谷)의 구름은. 즉 협곡에서 볼 수 있는 구름은.
長常 바 비취옛고 주026)
바 비취옛고
밤에 비추어 있고.
맷  주027)
맷 
강의 해는. 즉 강을 내리쬐는 햇빛은.
마초아 주028)
마초아
맞추어. ¶護彌 닐오 그리 호리라 야 마초아 바지 舍衛國으로 가리 잇더니(答言可爾 值有估客欲至舍衛)〈석상 6:15ㄱ〉. 道州ㅅ 소로 순 글워리 마초아  오니(道州手劄適復至)〈두시 19:20ㄴ〉.
과 兼얏도다 주029)
과 겸(兼)얏도다
바람을 겸하였도다.

【한자음】 협운상조야 강일회겸풍
【언해역】 협곡(峽谷)의 구름은 항상 밤에 비추어 있고, 강의 해는 맞추어 바람과 겸하여 있도다!

曬藥安垂老 應門試小童【貯藥야 醫治老年고 使小童야 應接賓客也ㅣ라】

藥 와 주030)
와
말려. -+오+아. ‘오’는 사동접미사이다.
늘구메 다렛 주031)
다렛
다달아 있는. 다-+어#잇-+.
모 便安케 고 門에셔 사 對答리란 져근 주032)
져근
작은. ¶이 사미 欲心이 젹고 足 고 아라(是人이 少欲知足야)〈석상 21:62ㄱ〉. 朝와 野왜 겨르왼 나리 젹도다(朝野少暇日)〈두시 1:1ㄴ〉. 모미 크긔 외야 虛空애 야 잇다가  젹긔 외며(或現大身滿虛空中 而復現小)〈석상 6:34ㄱ〉. 올히 젹고  壯丁이 업스니(縣小更無丁)〈두시 4:5ㄱ〉.
아  주033)
아 
아이로써. 아이로 하여금.
노라

【한자음】 쇄약안수로 응문시소동【약을 저장해 두었다가 늙은이를 치료하고, 동자로 하여금 응당 빈객(賓客)을 접대하게 한다.】
【언해역】 약(藥)을 말려 늙음에 다다른 몸을 편안(便安)케 하고, 문에서 사람 대답하는 것은 작은 아이에게 하라 하네!

亦知行不逮 苦恨耳多聾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분류두공부시언해 권3:42ㄴ

 내 所行이  밋디 주034)
밋디
미치지. 및-+디. ¶須彌山 둘어 밧긔 土山 黑山이 이쇼 굳고 쿠미 鐵圍山 몯 밋니라(環須彌之外야 有土山黑山호 而堅大ㅣ 不及鐵圍며 大海之內예 有十寶山호 而貴高ㅣ 不及須彌니라)〈석상 20:21ㄴ〉. 뉘 닐오 녀뇨미  밋디 몯다 뇨(誰雲行不逮)〈두시 20:10ㄱ〉.
몯 고 주035)
고
것을. 15세기 국어의 의존명사 ‘곧’은 ‘것’과 ‘곳’의 용법이 있다. ¶것 ; 다 如來ㅅ 威力이론 고 아라라(當知皆是如來威力)〈석상 9:28ㄱ〉. 곳 ; 이 곧 뎌 고대(於此於被)〈용가 26〉. 至極 精誠이 읏드민 고 甚히 아기 모놋다(甚昧至精主)〈두시 25:13ㄱ〉. 不用處는 디 아니 고디니 긔 無所有處ㅣ라〈석상 3:35ㄴ〉. 해셔 우 즈믄 지브란 사호매 주근 고 듣노니(野哭幾家聞戰伐)〈두시 14:19ㄴ〉.
아노니 甚히 귀머구믈 주036)
귀머구믈
귀먹음을. 귀+먹-+우+ㅁ+을.
슬허노라 주037)
슬허노라
슬퍼하노라. 슳-+어#-++오+라. ‘슳-’에 대해서는 ‘기부에서 회포를 쓴 40운(夔府書懷四十韻)’의 ‘녀름 지 아비 膠漆 바툐 슬허 코(田父嗟膠漆)〈두시 3:3ㄴ〉’ 구절 참조.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역지행불체 고한이다롱
【언해역】 또 내 소행(所行)이 남 미치지 못하는 것을 아니, 심히 귀먹음을 슬퍼하네!
Ⓒ 역자 | 김영배, 김성주 / 2017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독좌이수(獨坐二首) : 이 시는 767년(대력 2) 가을에서 겨울로 계절이 바뀌는 시기에 기주(蘷州) 동둔(東屯)에서 지은 것이다. 이때는 늦가을로 두보의 귀가 멀어져서 잘 들리지 않는 시기에 이 시를 썼다. 시에는 이러한 고통이 보인다.
주002)
쌍애(雙崖) : 협곡의 양쪽 절벽.
주003)
구당양애(瞿唐兩崖) : 구당협의 양쪽 절벽. 구당협은 장강 삼협 중의 하나이다.
주004)
록 : 미치도록. -+록. ‘-’에 대해서는 ‘중풍이 들어 배에서 베개를 베고 누어 회포를 쓰면서 호남의 친구들에게 드리는 36운(風疾이어 舟中伏枕書懷야 呈湖南親友논 三十六韻이라)’의 ‘虞舜이 거믄고  도다(虞舜罷彈琴)〈두시 3:13ㄴ〉’ 구절을 참조하고, ‘-록’에 대해서는 ‘앉아서 생각에 잠겨[愁坐]’의 ‘나리 록 두루 뇨 시름노니(終日憂奔走)’ 구절 참조.
주005)
아아 : 아득아득. ¶아야 디 몯리니 外道ㅣ 아야 冥諦 사 미 아니라 末學이 예 니르러 다 아아니라(冥然莫辯이니 匪唯外道ㅣ 昧爲冥諦라)〈능엄 2:26ㄱ〉. 柟樹ㅅ 비치 아아니(柟樹色冥冥)〈두시 18:21ㄱ〉.
주006)
비레 : 절벽. ‘비레’는 『두시언해』에서만 쓰였으며, 19세기의 〈신자전〉에 ‘셕비레’라는 형태로 보인다. ¶머리 도혀 두 비레 라노라(回首望兩崖)〈두시 6:46ㄴ〉. 비레 그츠니 핫고와 호왁과 도다(崖斷如杵臼)〈두시 6:2ㄱ〉.
주007)
시스니 : 씻으니. 싯-+으니.
주008)
가야 : 다시. ¶虛空애 서리며 軒檻애 소사나 가야 퍼러도다(盤空聳檻야 更青青도다)〈남명 하:72ㄴ〉. 녀미 더듸니 가야 仙人이 이런가 아노라(行遲更學仙)〈두시 3:43ㄱ〉.
주009)
서늘 : 서늘한. 서늘#-+ㄴ. ¶光이 려  우히 서늘며 므즤여 드려 펴디여(日光이 揜蔽야 地上이 淸凉며)〈법화 3:34ㄴ〉.  울오 紫陌애 새뱃 비치 서늘니(鷄鳴紫陌曙光寒)〈두시 6:5ㄴ〉.
주010)
두들게 : 두둑에. 두듥+에. ¶노며 가오며 굳과 두들기 업고(無有高下坑坎堆阜고)〈법화 3:59ㄱ〉. 두들겟 든 鶺鴒과 니라(原情類鶺鴒)〈두시 24:8ㄴ〉.
주011)
듣고 : 떨어지고. 듣-+고. ¶虛空애셔 비 오 고 種種 보 듣고(於虛空中雨種種寶)〈석상 6:32ㄱ〉.  밀흔 가야온 고지 듣놋다(細麥落輕花)〈두시 7:5ㄴ〉.
주012)
나조 : 저녁에.
주013)
흐로 : 뜰로. ㅎ+으로.
주014)
디나가놋다 : 지나가는구나. 디나[過]-+-아#가-+--+-옷-+-다.
주015)
초소왕(楚昭王) : 초 평왕(楚平王)과 진 공주(秦公主) 맹영(孟嬴)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기원전489년.
주016)
덥긔 호란 : 따뜻하게 함이란. 덥-+긔#-+오+ㅁ+란. 15세기의 ‘덥-’은 ‘따듯하다, 덥다, 뜨겁다’의 뜻이 있다. ‘-긔 -’는 ‘중간본’에서는 ‘긔’가 ‘게’로 되어 있다. ¶더 煩惱 煩惱ㅣ 블티 다라 나 거실 덥다 니라〈월석 1:18ㄱ〉. 보 南國 더운 病ㅣ 나니(春生南國瘴)〈두시 2:22ㄴ〉.
주017)
주으륨 : 굶주림. 주으리-+우+ㅁ. ¶주으린 가마괴 사 向야 울오져  도다(饑烏似欲向人啼)〈두시 14:31ㄴ〉.
주018)
초(楚)ㅅ 말와 : 초(楚)나라의 마름을. 말왐[평(萍)]+. 협주에, 초나라 소왕이 강을 건너다가 마름 열매 한 말을 얻으니 쪼개어 먹을 만했다고 하였는데, 이 설명은 『공자가어(孔子家語)』에 나오는 말이다. 마름은 물에서 자라는 한해살이 풀인데 그 열매 맛이 마치 밤과 같아 물밤이라고도 한다. ¶져기 곳다온 믌 말와 비노라(微馨借渚蘋)〈두시 6:28ㄴ〉.
주019)
랑노라 : 생각하노라. #-+노+라. 15세기 국어의 ‘-’는 ‘생각하다’와 ‘사랑하다’의 뜻이 있으나 전자의 용법이 강하다. 일반적으로 전자의 뜻으로 쓰이나 후자의 뜻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후자의 뜻으로 쓰인 용례는 ‘거문고 누각(琴臺)’의 ‘오히려 卓文君 랑니라(尙愛卓文君)’ 구절 참조. ¶뫼 사 믈리시고 오 기픈 道理 더시니(除去侍衛端坐思惟)〈석상 3:19ㄴ〉. 몰앳 프레 게을이 오라  부 므를 놋다(懒眠沙草爱風湍)〈두시 22:12ㄴ〉.
주020)
되 픗뎨 : 오랑캐의 풀피리가. 플+ㅅ+뎌+이.
주021)
원망(怨望)외야 : 원망스러워.
주022)
드럼직디 : 들음직하지. 듣-+엄+직+()+디. ¶世間앳 이리 맘직니가〈석상 20:43ㄱ〉. 澧州ㅅ 士卒 메 져거도 矜誇얌 직니라(澧卒用矜少)〈두시 1:58ㄴ〉.
주023)
비스기 : 비스듬히. 비슥[斜]-+-ᄒᆞ-+-이. ¶眄 비스기 볼 면〈新類 상:25ㄱ〉. 돌 欄干애셔 비스기 부들 무텨(石欄斜點筆)〈두시 15:12ㄴ〉.
주024)
임(臨)얏고 : 임하여 있고. 임#-+야#잇-+고. 이 오직 滅 臨샤 기텨 맛디시논 이리라(此 獨臨滅遺付之事ㅣ라)〈능엄 1:18ㄴ〉. 시혹 王難苦 맛나 刑罰을 臨야 마 목숨  쩨(或遭王難苦야 臨刑欲壽終애)〈법화 7:88ㄴ〉.
주025)
협(峽)엣 구루믄 : 협곡(峽谷)의 구름은. 즉 협곡에서 볼 수 있는 구름은.
주026)
바 비취옛고 : 밤에 비추어 있고.
주027)
맷  : 강의 해는. 즉 강을 내리쬐는 햇빛은.
주028)
마초아 : 맞추어. ¶護彌 닐오 그리 호리라 야 마초아 바지 舍衛國으로 가리 잇더니(答言可爾 值有估客欲至舍衛)〈석상 6:15ㄱ〉. 道州ㅅ 소로 순 글워리 마초아  오니(道州手劄適復至)〈두시 19:20ㄴ〉.
주029)
과 겸(兼)얏도다 : 바람을 겸하였도다.
주030)
와 : 말려. -+오+아. ‘오’는 사동접미사이다.
주031)
다렛 : 다달아 있는. 다-+어#잇-+.
주032)
져근 : 작은. ¶이 사미 欲心이 젹고 足 고 아라(是人이 少欲知足야)〈석상 21:62ㄱ〉. 朝와 野왜 겨르왼 나리 젹도다(朝野少暇日)〈두시 1:1ㄴ〉. 모미 크긔 외야 虛空애 야 잇다가  젹긔 외며(或現大身滿虛空中 而復現小)〈석상 6:34ㄱ〉. 올히 젹고  壯丁이 업스니(縣小更無丁)〈두시 4:5ㄱ〉.
주033)
아  : 아이로써. 아이로 하여금.
주034)
밋디 : 미치지. 및-+디. ¶須彌山 둘어 밧긔 土山 黑山이 이쇼 굳고 쿠미 鐵圍山 몯 밋니라(環須彌之外야 有土山黑山호 而堅大ㅣ 不及鐵圍며 大海之內예 有十寶山호 而貴高ㅣ 不及須彌니라)〈석상 20:21ㄴ〉. 뉘 닐오 녀뇨미  밋디 몯다 뇨(誰雲行不逮)〈두시 20:10ㄱ〉.
주035)
고 : 것을. 15세기 국어의 의존명사 ‘곧’은 ‘것’과 ‘곳’의 용법이 있다. ¶것 ; 다 如來ㅅ 威力이론 고 아라라(當知皆是如來威力)〈석상 9:28ㄱ〉. 곳 ; 이 곧 뎌 고대(於此於被)〈용가 26〉. 至極 精誠이 읏드민 고 甚히 아기 모놋다(甚昧至精主)〈두시 25:13ㄱ〉. 不用處는 디 아니 고디니 긔 無所有處ㅣ라〈석상 3:35ㄴ〉. 해셔 우 즈믄 지브란 사호매 주근 고 듣노니(野哭幾家聞戰伐)〈두시 14:19ㄴ〉.
주036)
귀머구믈 : 귀먹음을. 귀+먹-+우+ㅁ+을.
주037)
슬허노라 : 슬퍼하노라. 슳-+어#-++오+라. ‘슳-’에 대해서는 ‘기부에서 회포를 쓴 40운(夔府書懷四十韻)’의 ‘녀름 지 아비 膠漆 바툐 슬허 코(田父嗟膠漆)〈두시 3:3ㄴ〉’ 구절 참조.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