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3(하)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3(하)
  • 술회 하(述懷下)
  • 일을 마주하고[即事]
메뉴닫기 메뉴열기

일을 마주하고[即事]


即事 주001)
즉사(即事)
이 시는 767년(대력 2) 가을 양서(瀼西)에서 감귤을 수확하기 직전에 지은 것이다. 이때 두보는 양서 초당에 거주했으며 고향으로 돌아갈 수 없는 상황과 전란의 와중에 겪은 마음의 상처를 노래하였다. 이 시는 ‘천반(天畔)’이라고 되어 있는 판본도 있다.

즉사
(일을 마주하고)

天畔群山孤草亭 江中風浪雨冥冥

하 주002)
ᄀᆞᆺ
가. 경계.
주003)
많은. 하-+ㄴ. ¶내 제 들 시러 펴디 몯 노미 하니라(而終不得伸其情者ㅣ 多矣라)〈훈언 :2ㄴ〉. 갈 길헤 나조 뫼히 하도다(歸路晚山稠)〈두시 2:28ㄴ〉.
뫼해

분류두공부시언해 권3:37ㄱ

외로온 플로 니욘 주004)
니욘
이은. 닛-+오+ㄴ.
亭子ㅣ로소니 주005)
정자(亭子)ㅣ로소니
정자이니. 정자(亭子)+이+도+소+니. ‘초정(草亭)’은 풀로 지붕을 인 정자이다.
 가온  부 믌겨레 비 아아히 주006)
아아히
아득아득히. 아ᄃᆞᆨ아ᄃᆞᆨ#-+이. ‘이’는 부사파생접미사이다.
오놋다 주007)
오놋다
오는구나. 오[來]-++-옷다.

【한자음】 천반군산고초정 강중풍랑우명명
【언해역】 하늘 가
(경계)
많은 산에 외로운 풀로 이은 정자(亭子)이니, 강 가운데 바람 부는 물결에 비 아득히 오는구나!

一雙白魚不受釣 三寸黃柑猶自靑【魚不可得이며 柑不可食니 其蕭索 可知로다】

 雙ㅅ 주008)
흰. -+ㄴ. 15세기에 ‘희다’를 표현하는 단어는 ‘-’와 ‘희-’가 있다. ¶- ; 가마괴 本來 거므며 鵠이 本來 며(烏ㅣ 從來예 黑며 鵠이 從來예 白며)〈능엄 10:9ㄱ〉. 隴앳 프른 蕭蕭히 오(隴草蕭蕭白)〈두시 20:37ㄴ〉. 희- ; 제 므레 미론 흰 깁과  깁과 잇다(水光絹 白絲絹)〈번노 하:26ㄱ〉. 비치 누르며 흰 繡衣 니븐 郞이(繡衣黃白郞)〈두시 22:30ㄴ〉.
고기 낙 주009)
낙
낚시를. 낛+. ¶鱗衆의 낙 놀라 江瀛에 드러 미틔 다 니〈영가 하:77ㄴ〉. 져믄 아 바 두드려 고기 낫 낙 다(稚子敲針作釣鉤)〈두시 7:4ㄱ〉.
므디 주010)
므디
물지. 믈-+디. ¶ 뒤 도디 말며 이베 므디 말며〈월석 25:27ㄱ〉.  므러 거믄고와 書冊 안해 더러이고(銜泥點汙琴書內)〈두시 10:7ㄴ〉.
아니코 주011)
아니코
않고. 아니#-+고.
세 寸ㅅ 누른 柑子 주012)
누른 감자(柑子)
누른 홍귤은. 감자(柑子)는 감자나무로 운향과의 상록 활엽 소교목이다. 열매가 장과(漿果)로 등황색이다.
오히려 주013)
오히려
오히려. ‘오히려’는 『두시언해』에서 주로 ‘유(猶), 상(尙)’ 등의 번역어로 쓰였다. ¶오히려 늘근 大臣이 하 잇니라(猶多老大臣)〈두시 10:12ㄱ〉. 오히려 버히 소리 드르리로소니(尙聞丁丁聲)〈두시 25:2ㄴ〉.
프르렛도다 주014)
프르렛도다
푸르러 있도다. 프르-+어#잇-+도+다.

【한자음】 일쌍백어불수조 삼촌황감유자청【고기를 얻을 수 없으며 감자(柑子)를 먹을 수 없으니, 그 냉정함을 가히 알 수 있도다.】
【언해역】 한 쌍의 흰 고기는 낚시를 물지 않고, 세 마디 누른 홍귤은 오히려 스스로 푸르네!

多病馬卿無日起 窮途阮籍幾時醒馬卿 주015)
마경(馬卿)
사마상여(司馬相如). 자가 장경(長卿)이어서 마경이라 불렀다.
司馬長卿 주016)
사마장경(司馬長卿)
사마상여(司馬相如). 기원전179~기원전117. 중국 전한의 문학자로 자가 장경(長卿)이므로 사마장경이라 하였다. 자세한 것은 ‘기부에서 회포를 쓴 40운(夔府書懷四十韻)’의 ‘文園이 마침내 괴외고 漢閣애 제 열우며 므드니라(文園終寂寞 漢閣自磷緇)’ 구절 참조.
이니 ㅣ 自比長卿阮籍 주017)
완적(阮籍)
삼국 시대 위나라의 시인. 210~263. 혜강(嵇康)과 함께 죽림칠현의 중심인물이었다. 차바퀴가 다하는 곳에서 통곡했다고 하는 완적의 심정은 「영회시(詠懷詩)」에서 볼 수 있다.
니라】

病 한 馬卿이 주018)
일어날. 닐-+ㄹ. ¶ 念 믌겨리 닐면 여러 妄이 토아 짓니(一念波興면 諸妄이 競作니)〈금삼 4:23ㄴ〉. 九萬里 가 일로브터 닐리로다(九萬起於斯)〈두시 20:49ㄴ〉.
나리 업스니 窮 길헷 阮籍 어느  려뇨 주019)
려뇨
깰 것인가. ᄭᆡ-+리+어+니+오. ¶엇뎨어뇨 란(所以者何ㅣ어뇨)〈석상 21:36ㄱ〉. 내 므스그라 오래 嗟嘆거뇨(我何良嘆嗟)〈두시 1:18ㄱ〉.

【한자음】 다병마경무일기 궁도완적기시성【마경(馬卿)은 사마장경(司馬長卿)이니 두보가 스스로 마경과 완전(阮籍)과 비교한 것이다.】
【언해역】 병 많은 마경이 일어날 날이 없으니, 궁(窮)한 길의 완적은 어느 때 깰 것인가?

未聞細柳散金甲 腸斷秦州流濁涇【此 ㅣ 言盜賊이 未平며 干戈ㅣ 未息 望秦州 주020)
진주(秦州)
간쑤성(甘肅省) 천수시(天水市). 두보가 활약하던 당나라 때에는 진주(秦州)라고 불렀으며, 지금도 천수시 안에는 진주구(秦州區)가 있다. 두보는 화주(華州)의 사공참군(司功參軍)으로 있다가, 48세 때인 759년(건원 2) 7월에 관직을 버리고 늦은 봄 화주를 떠나 농산을 지나 진주(秦州)로 가게 된다. 그러나 오래 머물지 못하고, 그 해 10월에 다시 적곡, 철당협, 한협, 청양협, 적초령을 지나 동곡(同谷; 감숙 성현)으로 갔다가 계속 목피령, 백사도, 비선각, 석거각, 검문을 지나 12월 1일에 성도에 도착하게 된다.
故鄕而斷腸也ㅣ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細柳營 주021)
세류영(細柳營)
한 문제 때의 장군이 주아부의 군영 이름. 주아부는 흉노가 변경을 침입하자 군을 편성해 흉노를 막으면서 종정 유례(劉禮), 축자후 서여(徐厲)와 함께 주아부를 장군으로 삼아 막도록 하였다. 이윽고 문제가 각 군영을 방문하였는데 유례와 서여의 군영은 질서가 문란하였으나 주아부의 군영에 도착하자 세류(細柳)에서는 전투태세를 갖추고 황제의 선발대의 진입을 저지했다. 천자가 곧 도착한다고 선발대가 말했으나 통하지 않았고, 황제가 부절을 사자에게 줘 조명을 전하게 한 후에야 들어갈 수 있었다. 이때에도 군중에서는 말을 타고 달리지 못하는 군법을 황제 일행에게 지키게 했으며, 절하지 않고 군례에 따라 인사했다. 문제는 매우 감동했고, 나와서는 놀라워하는 신하들에게 함부로 범할 수 없는 군영이라며 주아부의 군영인 세류영을 칭찬했다.
金甲 주022)
금갑(金甲)
쇠로 만든 갑옷.
흐로 듣디 몯리로소니 주023)
몯리로소니
못할 것이니. 몯-+리+도+소+니. ‘-도소니’는 『두시언해』에 자주 나오는 표현으로 구성 성분에는 감동법 선어말어미 ‘돗’과 화자 호응의 ‘오’, 그리고 연결어미 ‘니’가 있다. 현대국어의 연결어미 ‘-니’에 약간의 감탄, 감동의 의미가 더 있는 것이다. 현대국어로는 선어말어미 ‘돗’을 번역할 수 없어 단순히 ‘-니’로 번역하였다. ¶바 가다가 귓것과 모딘 이 므엽도소니 므스므라 바 나오나뇨(今夜故闇 若我往者 為惡鬼猛狩見害)〈석상 6:19ㄴ〉. 어즈러온 돌해 수릐 자최를 다 로 갈  업도소니(亂石無改轍)〈두시 1:16ㄱ〉.
秦州에 흐린 涇水 주024)
경수(涇水)
경하(涇河). 황하의 지류인 웨이허(渭河)의 지류로, 영하(宁夏)의 육반산(六盘山)에서 감숙성(甘肅省)을 지나 산시성(陝西省) 고릉현(古陵縣)에서 웨이허로 들어간다.

분류두공부시언해 권3:37ㄴ

르 해 애 긋노라 주025)
애 긋노라
애를 끊노라. 즉 애가 탄다는 뜻이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미문세류산금갑 장단진주류탁경【이것은 두보가 도적이 아직 평정되지 않았으며 전쟁이 아직 그치지 않았으므로 진주(秦州) 고향을 바라보면서 애가 끓고 있음을 말한다.】
【언해역】 세류영(細柳營)에 금갑(金甲) 흐름을 듣지 못할 것이니, 진주(秦州)에 흐린 경수(涇水) 흐르는 땅에 애를 끊네!
Ⓒ 역자 | 김영배, 김성주 / 2017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즉사(即事) : 이 시는 767년(대력 2) 가을 양서(瀼西)에서 감귤을 수확하기 직전에 지은 것이다. 이때 두보는 양서 초당에 거주했으며 고향으로 돌아갈 수 없는 상황과 전란의 와중에 겪은 마음의 상처를 노래하였다. 이 시는 ‘천반(天畔)’이라고 되어 있는 판본도 있다.
주002)
ᄀᆞᆺ : 가. 경계.
주003)
한 : 많은. 하-+ㄴ. ¶내 제 들 시러 펴디 몯 노미 하니라(而終不得伸其情者ㅣ 多矣라)〈훈언 :2ㄴ〉. 갈 길헤 나조 뫼히 하도다(歸路晚山稠)〈두시 2:28ㄴ〉.
주004)
니욘 : 이은. 닛-+오+ㄴ.
주005)
정자(亭子)ㅣ로소니 : 정자이니. 정자(亭子)+이+도+소+니. ‘초정(草亭)’은 풀로 지붕을 인 정자이다.
주006)
아아히 : 아득아득히. 아ᄃᆞᆨ아ᄃᆞᆨ#-+이. ‘이’는 부사파생접미사이다.
주007)
오놋다 : 오는구나. 오[來]-++-옷다.
주008)
 : 흰. -+ㄴ. 15세기에 ‘희다’를 표현하는 단어는 ‘-’와 ‘희-’가 있다. ¶- ; 가마괴 本來 거므며 鵠이 本來 며(烏ㅣ 從來예 黑며 鵠이 從來예 白며)〈능엄 10:9ㄱ〉. 隴앳 프른 蕭蕭히 오(隴草蕭蕭白)〈두시 20:37ㄴ〉. 희- ; 제 므레 미론 흰 깁과  깁과 잇다(水光絹 白絲絹)〈번노 하:26ㄱ〉. 비치 누르며 흰 繡衣 니븐 郞이(繡衣黃白郞)〈두시 22:30ㄴ〉.
주009)
낙 : 낚시를. 낛+. ¶鱗衆의 낙 놀라 江瀛에 드러 미틔 다 니〈영가 하:77ㄴ〉. 져믄 아 바 두드려 고기 낫 낙 다(稚子敲針作釣鉤)〈두시 7:4ㄱ〉.
주010)
므디 : 물지. 믈-+디. ¶ 뒤 도디 말며 이베 므디 말며〈월석 25:27ㄱ〉.  므러 거믄고와 書冊 안해 더러이고(銜泥點汙琴書內)〈두시 10:7ㄴ〉.
주011)
아니코 : 않고. 아니#-+고.
주012)
누른 감자(柑子) : 누른 홍귤은. 감자(柑子)는 감자나무로 운향과의 상록 활엽 소교목이다. 열매가 장과(漿果)로 등황색이다.
주013)
오히려 : 오히려. ‘오히려’는 『두시언해』에서 주로 ‘유(猶), 상(尙)’ 등의 번역어로 쓰였다. ¶오히려 늘근 大臣이 하 잇니라(猶多老大臣)〈두시 10:12ㄱ〉. 오히려 버히 소리 드르리로소니(尙聞丁丁聲)〈두시 25:2ㄴ〉.
주014)
프르렛도다 : 푸르러 있도다. 프르-+어#잇-+도+다.
주015)
마경(馬卿) : 사마상여(司馬相如). 자가 장경(長卿)이어서 마경이라 불렀다.
주016)
사마장경(司馬長卿) : 사마상여(司馬相如). 기원전179~기원전117. 중국 전한의 문학자로 자가 장경(長卿)이므로 사마장경이라 하였다. 자세한 것은 ‘기부에서 회포를 쓴 40운(夔府書懷四十韻)’의 ‘文園이 마침내 괴외고 漢閣애 제 열우며 므드니라(文園終寂寞 漢閣自磷緇)’ 구절 참조.
주017)
완적(阮籍) : 삼국 시대 위나라의 시인. 210~263. 혜강(嵇康)과 함께 죽림칠현의 중심인물이었다. 차바퀴가 다하는 곳에서 통곡했다고 하는 완적의 심정은 「영회시(詠懷詩)」에서 볼 수 있다.
주018)
닐 : 일어날. 닐-+ㄹ. ¶ 念 믌겨리 닐면 여러 妄이 토아 짓니(一念波興면 諸妄이 競作니)〈금삼 4:23ㄴ〉. 九萬里 가 일로브터 닐리로다(九萬起於斯)〈두시 20:49ㄴ〉.
주019)
려뇨 : 깰 것인가. ᄭᆡ-+리+어+니+오. ¶엇뎨어뇨 란(所以者何ㅣ어뇨)〈석상 21:36ㄱ〉. 내 므스그라 오래 嗟嘆거뇨(我何良嘆嗟)〈두시 1:18ㄱ〉.
주020)
진주(秦州) : 간쑤성(甘肅省) 천수시(天水市). 두보가 활약하던 당나라 때에는 진주(秦州)라고 불렀으며, 지금도 천수시 안에는 진주구(秦州區)가 있다. 두보는 화주(華州)의 사공참군(司功參軍)으로 있다가, 48세 때인 759년(건원 2) 7월에 관직을 버리고 늦은 봄 화주를 떠나 농산을 지나 진주(秦州)로 가게 된다. 그러나 오래 머물지 못하고, 그 해 10월에 다시 적곡, 철당협, 한협, 청양협, 적초령을 지나 동곡(同谷; 감숙 성현)으로 갔다가 계속 목피령, 백사도, 비선각, 석거각, 검문을 지나 12월 1일에 성도에 도착하게 된다.
주021)
세류영(細柳營) : 한 문제 때의 장군이 주아부의 군영 이름. 주아부는 흉노가 변경을 침입하자 군을 편성해 흉노를 막으면서 종정 유례(劉禮), 축자후 서여(徐厲)와 함께 주아부를 장군으로 삼아 막도록 하였다. 이윽고 문제가 각 군영을 방문하였는데 유례와 서여의 군영은 질서가 문란하였으나 주아부의 군영에 도착하자 세류(細柳)에서는 전투태세를 갖추고 황제의 선발대의 진입을 저지했다. 천자가 곧 도착한다고 선발대가 말했으나 통하지 않았고, 황제가 부절을 사자에게 줘 조명을 전하게 한 후에야 들어갈 수 있었다. 이때에도 군중에서는 말을 타고 달리지 못하는 군법을 황제 일행에게 지키게 했으며, 절하지 않고 군례에 따라 인사했다. 문제는 매우 감동했고, 나와서는 놀라워하는 신하들에게 함부로 범할 수 없는 군영이라며 주아부의 군영인 세류영을 칭찬했다.
주022)
금갑(金甲) : 쇠로 만든 갑옷.
주023)
몯리로소니 : 못할 것이니. 몯-+리+도+소+니. ‘-도소니’는 『두시언해』에 자주 나오는 표현으로 구성 성분에는 감동법 선어말어미 ‘돗’과 화자 호응의 ‘오’, 그리고 연결어미 ‘니’가 있다. 현대국어의 연결어미 ‘-니’에 약간의 감탄, 감동의 의미가 더 있는 것이다. 현대국어로는 선어말어미 ‘돗’을 번역할 수 없어 단순히 ‘-니’로 번역하였다. ¶바 가다가 귓것과 모딘 이 므엽도소니 므스므라 바 나오나뇨(今夜故闇 若我往者 為惡鬼猛狩見害)〈석상 6:19ㄴ〉. 어즈러온 돌해 수릐 자최를 다 로 갈  업도소니(亂石無改轍)〈두시 1:16ㄱ〉.
주024)
경수(涇水) : 경하(涇河). 황하의 지류인 웨이허(渭河)의 지류로, 영하(宁夏)의 육반산(六盘山)에서 감숙성(甘肅省)을 지나 산시성(陝西省) 고릉현(古陵縣)에서 웨이허로 들어간다.
주025)
애 긋노라 : 애를 끊노라. 즉 애가 탄다는 뜻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