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3(하)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3(하)
  • 술회 하(述懷下)
  • 가을 협곡[秋峽]
메뉴닫기 메뉴열기

가을 협곡[秋峽]


秋峽 주001)
추협(秋峽)
이 시는 767년(대력 2) 기주(蘷州) 동둔(東屯)에서 지은 것이다. 협곡의 풍경과 시인의 쇠로함을 읊었으며, 기주(蘷州)에서 살아가는 두보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추협
(가을 협곡)

江濤萬古峽 肺氣久衰翁

맷 믉결 주002)
맷 믉결
강의 물결. 강에 이는 파도.
잇 주003)
잇
있는. 잇-+. ‘잇’은 한시의 원문에는 이에 대응하는 단어가 없지만 매끄러운 번역을 위해서 넣은 것이다.
萬古ㅅ 峽에 肺病 주004)
폐병(肺病)
폐병(肺病) 든.
오래 衰 老翁이로다 주005)
노옹(老翁)이로다
늙은이도다. ‘늙은이’는 두보 자신이다.

【한자음】 강도만고협 폐기구쇠옹
【언해역】 강의 물결 있는 만고(萬古)의 협곡에 폐병(肺病) 든 노쇠한 늙은이도다!

不寐防巴虎 全生狎楚童親狎 주006)
친압(親狎)
너무 지나칠 정도로 친함.
楚童 所以保全其生也ㅣ라】

자디 아니야 巴山ㅅ 버믈 막고 주007)
막고
막고. 막-+-+고.
사라쇼 주008)
사라쇼
살아 있음을. 살-+아#잇-+오+ㅁ+.
保全호리라 야 楚ㅅ 아 親狎히 노라 주009)
ᄒᆞ노라
하노라. ᄒᆞ[爲]-+-ᄂᆞ-+-오-+-라.

【한자음】 불매방파호 전생압초동【친압(親狎)한 초동(楚童)은 자신의 생을 보전하기 때문이다.】
【언해역】 자지 않아 파산(巴山)의 범을 막고, 살아 있음을 보전(保全)하리라 하여 초(楚)의 아이를 친하게 지내네!

衣裳垂素髮 門巷落丹楓

외옌 주010)
외옌
고의(袴衣)엔. 속곳에는. 속바지엔. ¶류 겨집히 니기 드러 옷 외 헤디오고〈석상 3:22ㄴ〉. 越ㅅ 겨지븨 블근 외 젓고(越女紅裙濕)〈두시 15:30ㄴ〉.
머릿터리 주011)
머릿터리
머리털이. 머리+ㅅ+터리+∅. ¶六師 무리 閻浮提예 야도 내 바랫  터리 몯 무으리니(正使此輩六師之衆 滿閻浮提數如竹林 不能動吾足上一毛)〈석상 6:27ㄱ〉. 壯士ㅣ 뎌른 옷 닙고 머리예 버믜 터리 스고(壯士短衣頭虎毛)〈두시 16:54ㄴ〉.
드리옛고 주012)
드리옛고
드리워 있고. 드리웠고. 드리-+어#잇-+고.
門과 굴 주013)
굴
구렁. 구덩이. ¶그 겨지블 니 기픈 굴에 디여 주그니〈남명 하:60ㄱ〉. 아랫 굴은 萬尋이 나 두들기로소니(下塹萬尋岸)〈두시 6:48ㄴ〉.
엔 丹楓ㅅ 니피 듣놋다 주014)
듣놋다
떨어지는구나. 듣-++옷+다. ¶虛空애셔 비 오 고 種種 보 듣고(於虛空中雨種種寶)〈석상 6:32ㄱ〉.  밀흔 가야온 고지 듣놋다(細麥落輕花)〈두시 7:5ㄴ〉.

【한자음】 의상수소발 문항락단풍
【언해역】 옷과 속바지엔 흰 머리털이 드리웠고, 문과 옷 구덩이에는 단풍잎이 떨어지네!

常怪商山老 蒹存翊贊功【此 用思晧 輔漢惠事니 ㅣ 亦有志於輔國也ㅣ

분류두공부시언해 권3:41ㄴ

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녜 商山 주015)
상산(商山)
안휘성(安徽省) 황산시(黄山市) 휴저현(休宁縣).
늘그 주016)
늘그
늙은이. 늙은네. 늙[老]-+-으+-ㄴ+.
님금 돕 功 蒹야 두쇼 주017)
두쇼
두고 있음을. 두-+어#잇-+오+ㅁ+. ¶ 두겨시다 듣고 婚姻 求노다(聞君有女 欲求婚姻)〈석상 11:28ㄱ〉. 나라히 乾坤의 쿠믈 두겨시니(國有乾坤大)〈두시 8:10ㄴ〉.
怪異히 너기노라 주018)
너기노라
여기노라. 여기도다. 너기+ᄂᆞ+오+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상괴상산로 겸존익찬공【이것은 사호(思晧)가 한나라 혜제를 보필한 일을 이용한 것이니 항상 두보 역시 보국(輔國)에 뜻이 있다.】
【언해역】 항상 상산(商山)의 늙은이 임금 돕는 공(功)을 겸하여 두고 있음을 괴이(怪異)히 여기네!
Ⓒ 역자 | 김영배, 김성주 / 2017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추협(秋峽) : 이 시는 767년(대력 2) 기주(蘷州) 동둔(東屯)에서 지은 것이다. 협곡의 풍경과 시인의 쇠로함을 읊었으며, 기주(蘷州)에서 살아가는 두보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주002)
맷 믉결 : 강의 물결. 강에 이는 파도.
주003)
잇 : 있는. 잇-+. ‘잇’은 한시의 원문에는 이에 대응하는 단어가 없지만 매끄러운 번역을 위해서 넣은 것이다.
주004)
폐병(肺病) : 폐병(肺病) 든.
주005)
노옹(老翁)이로다 : 늙은이도다. ‘늙은이’는 두보 자신이다.
주006)
친압(親狎) : 너무 지나칠 정도로 친함.
주007)
막고 : 막고. 막-+-+고.
주008)
사라쇼 : 살아 있음을. 살-+아#잇-+오+ㅁ+.
주009)
ᄒᆞ노라 : 하노라. ᄒᆞ[爲]-+-ᄂᆞ-+-오-+-라.
주010)
외옌 : 고의(袴衣)엔. 속곳에는. 속바지엔. ¶류 겨집히 니기 드러 옷 외 헤디오고〈석상 3:22ㄴ〉. 越ㅅ 겨지븨 블근 외 젓고(越女紅裙濕)〈두시 15:30ㄴ〉.
주011)
머릿터리 : 머리털이. 머리+ㅅ+터리+∅. ¶六師 무리 閻浮提예 야도 내 바랫  터리 몯 무으리니(正使此輩六師之衆 滿閻浮提數如竹林 不能動吾足上一毛)〈석상 6:27ㄱ〉. 壯士ㅣ 뎌른 옷 닙고 머리예 버믜 터리 스고(壯士短衣頭虎毛)〈두시 16:54ㄴ〉.
주012)
드리옛고 : 드리워 있고. 드리웠고. 드리-+어#잇-+고.
주013)
굴 : 구렁. 구덩이. ¶그 겨지블 니 기픈 굴에 디여 주그니〈남명 하:60ㄱ〉. 아랫 굴은 萬尋이 나 두들기로소니(下塹萬尋岸)〈두시 6:48ㄴ〉.
주014)
듣놋다 : 떨어지는구나. 듣-++옷+다. ¶虛空애셔 비 오 고 種種 보 듣고(於虛空中雨種種寶)〈석상 6:32ㄱ〉.  밀흔 가야온 고지 듣놋다(細麥落輕花)〈두시 7:5ㄴ〉.
주015)
상산(商山) : 안휘성(安徽省) 황산시(黄山市) 휴저현(休宁縣).
주016)
늘그 : 늙은이. 늙은네. 늙[老]-+-으+-ㄴ+.
주017)
두쇼 : 두고 있음을. 두-+어#잇-+오+ㅁ+. ¶ 두겨시다 듣고 婚姻 求노다(聞君有女 欲求婚姻)〈석상 11:28ㄱ〉. 나라히 乾坤의 쿠믈 두겨시니(國有乾坤大)〈두시 8:10ㄴ〉.
주018)
너기노라 : 여기노라. 여기도다. 너기+ᄂᆞ+오+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