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9권
  • 외편(外篇)○제6편 선행(善行)○실명륜(實明倫)
  • 한나라 진주의 효성스러운 며느리 3
메뉴닫기 메뉴열기

한나라 진주의 효성스러운 며느리 3


번역소학 권9:56ㄱ

居거喪상三삼年년야 其기父부母모ㅣ 哀其기少쇼無무子而早조寡과也야야 將쟝取嫁가之지더니 孝효婦부ㅣ 曰왈夫부ㅣ 去거時시예 屬쵹妾쳡以이供공養양老로母모야 妾쳡이旣긔許허諾락之지호니 夫부養양人老로母모而不블能룽[능]信신면 將쟝何하以이立립於어世셰리오고 欲욕自殺살대 其기父부母모ㅣ 懼구而不블敢감嫁가也야야 遂슈使養

번역소학 권9:56ㄴ

양其기姑고니 二이十십八팔年년에 姑고ㅣ 八팔十십餘여ㅣ라 以이天텬年년으로 終죵커늘 盡진賣매其기田뎐宅財物믈야 以이葬장之지고 終죵奉봉祭졔祀더니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삼년을 거상 니버늘 그 어버 졈고 식 업시 일 홀어미 도 주를 주001)
홀어미 도 주를:
과부가 된 줄을. ‘도’의 기본형은 ‘외다’인데 관형형 어미와 통합된 형임.
에엿비 녀겨 쟝 려다가 다 남진 얼유려 더니 孝효婦부ㅣ 닐오 남진이 갈 저긔 늘근 어미를 공양고라 야 내게 브텨 내 그리호마 호니 사의 늘근

번역소학 권9:57ㄱ

어미 치다가 주002)
어미 치다가:
어미를 모시다가.
내죵내 아니며 사려 그리호마 고 믿비 아니면 엇디 셰샹의 사라 이시료 고 제 손으로 주구려 여그 어버 저허 구틔여 얼이디 아니야 주003)
구틔여 얼이디 아니야:
굳이 시집보내려 아니하니.
인야 싀어미를 효양케 니 스믈여듧만애 싀어미 여 나마 삼긴 나호로 죽거 주004)
나호로 죽거:
나이로 죽거늘.
그 받티며 집이며 쳘량 다 라 영장고 졔 내죵내 니라 주005)
내죵내니라:
마쳤다. ‘니라’는 ‘장례를 마치다’의 뜻으로 쓰인 대동사다.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남편의 삼 년 상을 마치자, 그녀의 어버이가 자식 없이 일찍 홀어미 된 것을 애처롭게 여겨 데려다가 다시 시집보내려고 했다. 이에 그 효부가 말했다. 남편이 떠날 때 저에게 늙은 어머니를 봉양하도록 부탁했고, 저는 그렇게 하마고 했습니다. 남의 노모를 봉양하다가 끝까지 아니 하며 남편에게 그리 하마고 하고서 믿음을 지키지 아니하면 어떻게 세상에 살 수 있겠습니까. 하고 제 스스로 죽으려고 했다. 효부의 친정 어버이도 두려워 감히 시집보내려 하지 못했다. 마침내 시어머니를 봉양하도록 했다. 28년만에 시어머니가 80여 살의 나이로 천수를 누리고 별세하자, 그 부인은 밭과 집과 재물을 모두 팔아 장례하고 끝까지 제사를 모셨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홀어미 도 주를:과부가 된 줄을. ‘도’의 기본형은 ‘외다’인데 관형형 어미와 통합된 형임.
주002)
어미 치다가:어미를 모시다가.
주003)
구틔여 얼이디 아니야:굳이 시집보내려 아니하니.
주004)
나호로 죽거:나이로 죽거늘.
주005)
내죵내니라:마쳤다. ‘니라’는 ‘장례를 마치다’의 뜻으로 쓰인 대동사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