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9권
  • 외편(外篇)○제6편 선행(善行)○실명륜(實明倫)
  • 왕부(王裒)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왕부(王裒) 2


裒부痛통父부非비命명야 於어是시에 隱은

번역소학 권9:26ㄴ

居거敎교授슈야 三삼徵딩七칠辟벽애 皆不블就취고 廬려于우墓묘側측야 旦(朝)됴夕셕애 常샹至지墓묘所소야 拜跪궤며 攀반栢悲비號호야 涕톄淚류着탹樹슈대 樹슈爲위之지枯고니라 讀독時시至지哀哀父부母모生我아劬구勞로야 未미嘗샹不블三삼復복流류涕톄대 門문人인受슈業업者쟈ㅣ 竝병廢폐蓼륙莪아之지篇편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裒부ㅣ 제 아비 죄 아닌 이레 주근 주를 셜이 너

번역소학 권9:27ㄱ

겨 벼슬 아니코 살며셔  글 치기 야 나라히 세 번 브르시며 고히 닐굽 번 쳔거호매 다 가디 아니고 무덤 틔 막여 아 나죄 다 가디 아니고 아침나죄로 주001)
아침나죄로:
아침과 저녁으로.
양 무덤의 가 졀며 잣남글 잡고 주002)
잣남글 잡고:
잣나무를 잡고. ‘남글’의 단독형은 ‘나모’인데 기역 종성 체언이기 때문에 목적격 조사 ‘-을’에 기역이 끼어들었음.
슬피 우러 눈므리 남긔 무든대 남기 글로 이우니라 주003)
글로 이우니라:
글로 하여 시들었다. 기본형 ‘이울다’에서 종결형 어미 ‘-니라’가 통합된 형임.
모시를 닐글 제 蓼륙莪아篇편의 셜울셔 주004)
셜울셔:
서럽도다.
父부母모ㅣ 날 나호믈 슈고로이 샷다  니르러 양 다시곰 닑고 눈믈 아니 흘린 적이 업시니 글 홀 뎨히 다 蓼륙莪아篇편을

번역소학 권9:27ㄴ

닑디 아니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가 제 아비의 죄 아닌 일로 죽은 것을 슬퍼하였다. 벼슬을 하지 않고 살면서 남을 가르쳤다. 나라에서 세 번 부르고 고을에서 일곱 번을 추천하였으나 다 가지 않았다. 아비 무덤 곁에 막을 짓고 아침 저녁으로 늘 무덤에 가서 절을 하고 잣나무를 잡고 슬피 울어 눈물이 나무에 묻으니 나무가 그로 하여 시들었다. 모시를 읽을 때 육아편에 하였으되, 슬프도다. 어버이 날 낳으매 수고를 하셨다 하는 데 가서 늘 다시 읽고 눈물을 흘렸다. 글 배우는 제자들이 다 육아편을 읽지 않았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아침나죄로:아침과 저녁으로.
주002)
잣남글 잡고:잣나무를 잡고. ‘남글’의 단독형은 ‘나모’인데 기역 종성 체언이기 때문에 목적격 조사 ‘-을’에 기역이 끼어들었음.
주003)
글로 이우니라:글로 하여 시들었다. 기본형 ‘이울다’에서 종결형 어미 ‘-니라’가 통합된 형임.
주004)
셜울셔:서럽도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