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7권
  • 외편(外篇)○제5편 가언(嘉言)○광명륜(廣明倫)
  • 장횡거(張橫渠) 1
메뉴닫기 메뉴열기

장횡거(張橫渠) 1


橫渠거 先션生이 曰왈 舜슌之지事親친애 有유不블悅열者쟈 爲위父부頑완母모

번역소학 권7:3ㄱ

嚚은야 不블近근人情이니 若약中人之지性이 其기愛惡오ㅣ 若약無무害해理리어든 必필姑고順슌之지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橫渠거 先션生 주001)
횡거 선생(橫渠先生):
장횡거(張橫渠,1020~1077). 중국 북송(北宋) 중기의 학자. 자 자후(子厚). 이름 재(載). 장안(長安) 출생. 38세 때 진사시에 급제한 뒤 기주(祁州)의 사법참군(司法參軍)에서 시작하였으나 불운하였다. 그러나 학자로서는 ≪경학이굴(經學理窟)≫, ≪정몽(正蒙)≫, ≪서명(西銘)≫ 등의 저서로 이름을 떨쳤다. 특히≪정몽≫에서는 송나라 최초로 ‘기일원(氣一元)’의 철학사상을 전개하여, 우주의 존재는 기(氣)의 집산에 따라 생멸 ·변화하는 것이며, 이 기의 본체는 태허(太虛)로서, 이가 곧 기라고 주창하였다. 불교와 노장(老莊)에서 깊은 뜻을 찾고자 하였다. 그 뒤 정명도(程明道) ·정이천(程伊川)과 함께 ≪역경(易經)≫을 논하면서 그 학문의 깊이에 감복하여, ≪역경≫, ≪중용≫에 따라 송나라 유학의 기초를 세웠다.
이 니샤 舜슌의 어버 주002)
어버:
어버이. 부모. 이 〈번역소학〉에는 어버이 표기가 여럿으로 나타나는데, ‘어버, 어버, 어버이’ 세 가지이다.
셤교매 그 어버 깃거 아니요 아비 미 슌티 아니고 어미 말소미 올티 아니야 에 도니 주003)
도니:
무심한 까닭이니. 먼 까닭이니. 기본형은 ‘도다(멀다. 무심하다)’인데 이유를 드러내는 의존명사 ‘’가 관형형 어미 아래서 통합되고 설명형 연결 어미 ‘-니’가 통합된 형임.
간 사 이 그 며 주004)
며:
사랑하며[愛].
앗쳐로미 주005)
앗쳐로미:
미워함[惡]이. 싫어함이. ‘앗쳐로미’의 기본형은 ‘앗쳐롭다’이고 명사형 어미와 주격 조사가 통합된 형임.
리예 유해호미 업거든 모로매 안즉 주006)
안즉:
아닌즉. 고식적으로. ‘아니다’에 구속형 어미 ‘-즉’이 통합된 형임.
좃촐디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횡거 선생이 이르기를, 순임금의 어버이 섬김에 그 어버이가 기쁘게 여기지 아니함은, 〈순임금의 섬김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아비는 마음이 순하지 않고 어미는 말씀이 옳지 아니하여 인정에 무심한 까닭이다. 그러니 성정이 중간쯤인 사람으로 그 사랑하고 미워함이 사리에 〈크게〉 해로움이 없다면 반드시 아닌즉
(=고식적으로)
좇을 것이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횡거 선생(橫渠先生):장횡거(張橫渠,1020~1077). 중국 북송(北宋) 중기의 학자. 자 자후(子厚). 이름 재(載). 장안(長安) 출생. 38세 때 진사시에 급제한 뒤 기주(祁州)의 사법참군(司法參軍)에서 시작하였으나 불운하였다. 그러나 학자로서는 ≪경학이굴(經學理窟)≫, ≪정몽(正蒙)≫, ≪서명(西銘)≫ 등의 저서로 이름을 떨쳤다. 특히≪정몽≫에서는 송나라 최초로 ‘기일원(氣一元)’의 철학사상을 전개하여, 우주의 존재는 기(氣)의 집산에 따라 생멸 ·변화하는 것이며, 이 기의 본체는 태허(太虛)로서, 이가 곧 기라고 주창하였다. 불교와 노장(老莊)에서 깊은 뜻을 찾고자 하였다. 그 뒤 정명도(程明道) ·정이천(程伊川)과 함께 ≪역경(易經)≫을 논하면서 그 학문의 깊이에 감복하여, ≪역경≫, ≪중용≫에 따라 송나라 유학의 기초를 세웠다.
주002)
어버:어버이. 부모. 이 〈번역소학〉에는 어버이 표기가 여럿으로 나타나는데, ‘어버, 어버, 어버이’ 세 가지이다.
주003)
도니:무심한 까닭이니. 먼 까닭이니. 기본형은 ‘도다(멀다. 무심하다)’인데 이유를 드러내는 의존명사 ‘’가 관형형 어미 아래서 통합되고 설명형 연결 어미 ‘-니’가 통합된 형임.
주004)
며:사랑하며[愛].
주005)
앗쳐로미:미워함[惡]이. 싫어함이. ‘앗쳐로미’의 기본형은 ‘앗쳐롭다’이고 명사형 어미와 주격 조사가 통합된 형임.
주006)
안즉:아닌즉. 고식적으로. ‘아니다’에 구속형 어미 ‘-즉’이 통합된 형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