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9권
  • 외편(外篇)○제6편 선행(善行)○실명륜(實明倫)
  • 두씨(竇氏)의 두 딸
메뉴닫기 메뉴열기

두씨(竇氏)의 두 딸


唐당奉봉天텬竇두氏시二이女녀ㅣ 生長댱草초野야호 幼유有유志지操조더니 永영泰태中듕애 群군盜도數수千쳔人이剽표掠략其기村촌落락이어 二이女녀ㅣ 皆有유容용

번역소학 권9:65ㄴ

色더니 長댱子쟈 年년十십九구ㅣ오 幼유有유者쟈 年년十십六륙이러니 匿릭巖암穴혈間간이를어 曳예出츌之지야 驅구迫박以이前젼야 臨림壑학谷곡深심數수百尺쳑야 其기姉ㅣ 先션曰왈 吾오寧령就死ㅣ언뎡 義의不블受슈辱욕이라고 卽즉投투崖애下하而死커 盜도方방驚경駭더니 其기妹繼계之지야 自投투折졀足죡며 破파面면流류血혈이이를 群군盜도ㅣ 乃내捨사之지而去거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번역소학 권9:66ㄱ

唐당 시절 奉봉天텬  竇두氏시의 두 리 스굴셔 기러나 주001)
스굴셔 기러나:
시골서 자라되. ‘스굴〉시골’은 전설모음화에 따라 소리가 달라진 것임.
져머셔브터 어딘 과 뎍이 잇더니 永영泰태 시절의 모 도 일쳔이나  사이 그  티고 앗거 두 이 다 양 됴터니 주002)
양 됴터니:
외모가 좋더니.
 주003)
:
맞이는. ‘’에 절대격 조사 ‘-’이 통합된 형임.
나히 열아홉이오 아 나히 열여스시러라 바횟 굼긔 수멋거 내여 모라 차 알 셰여가 굴헝 기푸미 이삼 자히나   디러셔 주004)
디러셔:
다달아. 기본형은 ‘딜다[臨]’이고 설명형 어미 ‘-어셔’가 통합된 형임.
그 몸이 몬져 닐오 내 하리 죽을이언뎡 義의옌 슈욕디 몯  거

번역소학 권9:66ㄴ

라 고 즉재 빙애 아래 디여 죽거늘 주005)
빙애 아래 디여 죽거늘:
벼랑 아래 떨어져 죽거늘. ‘빙애’는 벼랑을 뜻함. ‘디여’의 기본형은 ‘ 디다’이고 부사형 어미 ‘-어’가 통합된 형임.
도기 뵈야호로 롤[놀]라더니 그 아 미조차 주006)
그 아 미조차:
그 아우가 뒤를 좇아. ‘미조차’의 기본형은 ‘미좇다’이고 부사형 어미 ‘-아’가 통합된 형임. ‘아’의 단독형은 ‘아[弟]’다.
뎌 바리 것거디고 치 여디여 피 흐르거 모 도이 리고 가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당나라 봉천(奉天)에 사는 두씨(竇氏)의 두 딸이 시골에서 자랐다. 어려서부터 어진 뜻과 덕행이 있었다. 영태(永泰) 시절에 도적떼 수천 명이 그 마을을 치고 들어왔다. 두 딸이 모두 모습이 아름다웠다. 맏이는 나는 열아홉이고, 아우는 열여섯 살이었다. 바위 굴속에 숨었으나, 도적이 끌어내어 앞세워 몰고 갔다. 구렁의 깊이가 수 백 자나 되는 땅에 이르렀을 때에 언니가 말하였다. 나는 차라리 죽을지언정 우리를 지킴에 욕을 당할 수 없다. 즉시 벼랑의 아래로 떨어져 죽었다. 도적들이 놀라더니, 동생도 뒤를 이어 떨어져 발이 꺾어지고 얼굴이 깨어져 피가 흘렀다. 이에 도적들이 버리고 갔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京경兆됴尹윤 第뎨五오琦긔ㅣ 嘉가其기貞뎡烈렬야 奏주之지야 詔죠旌졍表표其기門문閭려시고 永영蠲견其기家가丁뎡役역시다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京경兆됴尹윤 슬 엿 第뎨五오琦긔뎡졀을 아다이 주007)
뎡졀을 아다이:
정절을 아름다이. 구개음화와 단모음화에 따라서 ‘뎡졀〉졍졀〉정절’로 소리가 단일화되었다.
녀겨 나라희 엿온대 그 문

번역소학 권9:67ㄱ

졍표고 주008)
졍표고:
정표를 하고. 정료(旌表)는 선행을 칭찬하고 세상에 드러내어 널리 알림.
그 집 구실을 영히 덜라 시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경조윤(京兆尹) 벼슬 하는 제오기가 그 곧은 절개를 아름답게 여겨 조정에 보고하니 그 집문에 정문(旌門)을 세워주고 그 집안의 부역을 영구히 면해 주었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스굴셔 기러나:시골서 자라되. ‘스굴〉시골’은 전설모음화에 따라 소리가 달라진 것임.
주002)
양 됴터니:외모가 좋더니.
주003)
:맞이는. ‘’에 절대격 조사 ‘-’이 통합된 형임.
주004)
디러셔:다달아. 기본형은 ‘딜다[臨]’이고 설명형 어미 ‘-어셔’가 통합된 형임.
주005)
빙애 아래 디여 죽거늘:벼랑 아래 떨어져 죽거늘. ‘빙애’는 벼랑을 뜻함. ‘디여’의 기본형은 ‘ 디다’이고 부사형 어미 ‘-어’가 통합된 형임.
주006)
그 아 미조차:그 아우가 뒤를 좇아. ‘미조차’의 기본형은 ‘미좇다’이고 부사형 어미 ‘-아’가 통합된 형임. ‘아’의 단독형은 ‘아[弟]’다.
주007)
뎡졀을 아다이:정절을 아름다이. 구개음화와 단모음화에 따라서 ‘뎡졀〉졍졀〉정절’로 소리가 단일화되었다.
주008)
졍표고:정표를 하고. 정료(旌表)는 선행을 칭찬하고 세상에 드러내어 널리 알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