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8권
  • 외편(外篇)○제5편 가언(嘉言)○광경신(廣敬身)
  • 여씨동몽훈(呂氏童蒙訓) 4
메뉴닫기 메뉴열기

여씨동몽훈(呂氏童蒙訓) 4


前젼輩嘗샹說설後후生이 才性셩過과人者쟈 不블足족畏외이오 惟유讀독書셔

번역소학 권8:37ㄴ

尋심思推츄究구者쟈 爲위可가畏외耳니라 又우云운讀독書셔 只지怕파尋심思ㅣ니 盖개義의理리精深심이라 惟유尋심思用용意의라 爲위可가以이得득之지니 鹵로莽망厭염煩번者쟈 決결無무有유成셩之지理리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몬져 얼운이 일즉 닐오 후에 나 사미 조 셩이 두곤 더으니 주001)
셩이 두곤 더으니:
천성이 남보다 더한 이는. ‘두곤’은 ‘’에 비교격 조사인 ‘-두곤’이 통합된 형임.
저프디 아니고 오직 글 닐구매 자 각야 궁구니 저프니라 주002)
궁구니 저프니라:
연구하는 이가 두렵다.
 닐오 글 닐구 다 자 각

번역소학 권8:38ㄱ

 사미 저프니 義의理리 졍고 기픈디라 오직 자 각야 들  어들거시니 쉽사리 잠 야 어즈러오믈 아쳐러 니 주003)
어즈러오믈 아쳐러 니:
어지러움을 싫어하는 이는. ‘아쳐러’의 기본형은 ‘아쳗다’인데 부사형 어미 ‘-어’가 통합된 형임.
결연히 일우리 주004)
일우리:
이룰 사람. 기본형은 ‘일우다’이고 관형형어미와 의존명사 ‘이’가 통합된 형임.
업스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먼저 선배가 말하였다. 후배 중에 재주가 남보다 뛰어난 사람은 두렵지 않다. 오직 글을 읽을 때 깊이 생각하고 근본 이치를 캐 연구하는 이가 두렵다. 또 말하기를 독서를 할 때 깊이 생각하는 자만이 두렵다. 의리가 반듯하고 깊어서 오직 찾아 생각하여 뜻을 써서 얻을 것이니 쉽사리 잠간 동안 오직 깊이 생각하는 데 마음을 써야만 터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거칠고 소홀하며 번거롭게 마음 쓰기를 싫어하는 사람은 결코 성취할 수 없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셩이 두곤 더으니:천성이 남보다 더한 이는. ‘두곤’은 ‘’에 비교격 조사인 ‘-두곤’이 통합된 형임.
주002)
궁구니 저프니라:연구하는 이가 두렵다.
주003)
어즈러오믈 아쳐러 니:어지러움을 싫어하는 이는. ‘아쳐러’의 기본형은 ‘아쳗다’인데 부사형 어미 ‘-어’가 통합된 형임.
주004)
일우리:이룰 사람. 기본형은 ‘일우다’이고 관형형어미와 의존명사 ‘이’가 통합된 형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