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9권
  • 외편(外篇)○제6편 선행(善行)○실명륜(實明倫)
  • 소경(蘇瓊)
메뉴닫기 메뉴열기

소경(蘇瓊)


○蘇소瓊경이 除뎨南남淸쳥河하太태守슈ㅣ러니 有유百姓셩乙을普보明명兄형弟뎨ㅣ 爭田져뎐호 積젹年년不블斷단야 各각相샹援완[원]據거니 乃내至지百人이러니 瓊경이 召쇼普보明명兄형弟뎨야 諭유之지曰왈 天텬下하애

번역소학 권9:68ㄴ

難난得득者쟈 兄형弟뎨오 易이求구者쟈 田뎐地디니 假가令령 得득田뎐地디라두 失실兄형弟뎨心심면 如여何하오고 因인而下하淚류[루]대 諸졔證중人이 莫막不블灑쇄泣읍더니 普보明명兄형弟뎨ㅣ 叩고頭두乞걸外외更思하야 分분異이十십年년애 遂슈還환同동住듀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蘇소瓊경이 南남淸쳥河하  원 엿더니 셩 乙을普보明명 형뎨 받 토아 여러 

번역소학 권9:69ㄱ

결티 몯 야 주001)
결티 몯야:
해결하지 못하여.
서르 본중을 혀니 일이나 더니 瓊경이 普보明명 형뎨 블러 알오여 닐오 天텬下하애 얻디 어려온 거슨 형뎨오 쉬이 구 거슨 뎐디라 주002)
뎐디라:
논과 밭이라. 구개음화와 단모음화를 겪어 ‘뎐디〉젼지〉전지’로 소리가 단일해졌음.
假가令령 뎐디를 어더도 형뎨 잇 곳 일흐면 엇더뇨 고 인야 눈믈을 흘린대 모 본중엣 사히 아니 울리 업더라 普보明명 兄형弟뎨 머리 해 두드리고 밧긔 가 주003)
밧긔 가:
밖에 가서. ‘밧긔’의 단독형은 ‘밧’인데 기역 곡용어로 부사형 조사 ‘-의’에 연철되어 표기된 것임.
다시 각여지라 빌오 주004)
빌오:
빌고. 기본형은 ‘빌다’이고 부사형 어미 ‘-고’가 통합된 형임.
닫 나건디 열만애 도로  사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소경(蘇瓊)이 남청하의 고을 원을 하였다. 백성 가운데 을보명(乙普明) 형제가 밭을 다투어 여러 해가 넘도록 해결을 보지 못하고 각각 서로 증인으로 끌어들인 숫자만 백 명이나 되었다. 그러자 소경이 을보명 형제와 형제들의 증인들을 불러 타일렀다. 세상에서 얻기 어려운 것은 형제요, 구하기 쉬운 것은 논밭이다. 가령 논밭을 얻는다 한들 형제 사이의 마음을 잃는다면 어찌하겠는가. 하고는 눈물을 흘렸다. 이에 모든 증인들이 울지 않는 이가 없었다. 보명 형제가 머리를 땅에 두드리며 밖에 나가 다시 생각하기를 빌었다. 따로 나가 산 지 열 해만에 도로 한 데 살았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결티 몯야:해결하지 못하여.
주002)
뎐디라:논과 밭이라. 구개음화와 단모음화를 겪어 ‘뎐디〉젼지〉전지’로 소리가 단일해졌음.
주003)
밧긔 가:밖에 가서. ‘밧긔’의 단독형은 ‘밧’인데 기역 곡용어로 부사형 조사 ‘-의’에 연철되어 표기된 것임.
주004)
빌오:빌고. 기본형은 ‘빌다’이고 부사형 어미 ‘-고’가 통합된 형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