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10권
  • 외편(外篇)○제6편 선행(善行)○실경신(實敬身)
  • 이항(李沆)
메뉴닫기 메뉴열기

이항(李沆)


李리文문靖졍公공이 治티居거第뎨於어封봉丘구門문外외호 廳텽事前젼이 僅근容용旋션馬마ㅣ러니 或혹言언其기太태隘[]대 公이笑쇼 曰왈 居거第뎨 當당傳뎐子孫손이니 此ㅣ 爲위宰輔보廳텽事댄 誠셩隘[]이어니와 爲위大대祝츅奉봉禮례廳텽事則즉已이寬관矣의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번역소학 권10:29ㄱ

文문靖졍公공 李리沆항이 살 지블 封봉丘구門문밧 지 주001)
지:
지었는데. 집을 짓되.
대텽 알피 계우  도라셜만 하더니 주002)
계우  도라셜만하더니:
겨우 말이 돌아설 만하더니. ‘계우’는 단모음화를 거치면서 ‘계우〉겨우’로 굳어졌다.
사미 닐우 너무 좁다 야늘 公공이 웃고 닐우 살 지븐 손의게 뎐 거시니 이 샹의 집 대텽으론 진실로 좁거니와 大대祝츅奉봉禮례 주003)
대축봉례(大祝奉禮):
사당의 제사에서 축문을 읽는 사람이 제례를 진행해 올린다. 곧 사당의 제례를 지낸다는 뜻이다. 여기서 ‘대축(大祝)’은 제사를 맡은 벼슬아치, 축관(祝官)의 구실을 하는 사람으로서 제사를 맡아 죽 진행한다는 뜻임.
만 사믜 대텽이도면 너모 주004)
너모:
너무.
너니라 주005)
너니라:
넓다. 넓으니라.
더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문정공 이항(李沆)이 살 집을 봉구문(封丘門) 밖에 지었다. 대청 앞이 겨우 말이 돌아설 만하였다. 사람이 말하였다. 살 집은 자손에게 물려 줄 것이니 이 재상의 집 대청으로는 진실로 좁다. 어떤 사람이 너무 좁다고 말하자 공이 웃으며 말했다. 집은 마땅히 자손에게 물려주어야 하는 것이다. 이 집은 재상(宰相)의 청사(廳舍)로 쓰기에는 진실로 좁다고 할 수 있지만 태축(太祝)이나 봉례(奉禮)같은 사람의 대청이라면 너무나 넓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지:지었는데. 집을 짓되.
주002)
계우  도라셜만하더니:겨우 말이 돌아설 만하더니. ‘계우’는 단모음화를 거치면서 ‘계우〉겨우’로 굳어졌다.
주003)
대축봉례(大祝奉禮):사당의 제사에서 축문을 읽는 사람이 제례를 진행해 올린다. 곧 사당의 제례를 지낸다는 뜻이다. 여기서 ‘대축(大祝)’은 제사를 맡은 벼슬아치, 축관(祝官)의 구실을 하는 사람으로서 제사를 맡아 죽 진행한다는 뜻임.
주004)
너모:너무.
주005)
너니라:넓다. 넓으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