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9권
  • 외편(外篇)○제6편 선행(善行)○실명륜(實明倫)
  • 석분(石奮) 1
메뉴닫기 메뉴열기

석분(石奮) 1


萬만石셕君군石셕奮분이 歸귀老로于우家가더니 過과宮궁門문闕궐 必필下하車거趨추며 見견路로馬마고 必필軾식焉언더라 子자孫손이 爲위小쇼吏리야 來歸귀謁알이어든 萬만石셕君군이 必필朝됴服복見견之지고 不블

번역소학 권9:83ㄱ

名명더라 子자孫손이 有유過과失실이어든 不블誚쵸讓양고 爲위便편坐좌야 對案안不블食식더니 然연後후에 諸졔子ㅣ 相샹責야 因인長댱老로야 肉육袒단固고謝샤罪죄改之지야 乃내許허더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萬만石셕君군 石셕奮분이 늘거 벼슬 말오 집의 와 사더니 대궐문을 디날 제 술위 브려 리 디나가며 님금 술위 메  보와 반시 술위 우희셔 주001)
술위 우희셔:
수레 위에서. ‘술위〉수레’는 연철이 되면서 소리가 단모음화를 거쳐 단일화되었다.
구버 디내더라 손이 효 벼

번역소학 권9:83ㄴ

주002)
효 벼슬:
작은 벼슬. ‘효’의 기본형은 ‘횩다’이고 매개모음 ‘--’와 관형형 어미 ‘-ㄴ’이 통합된 형임.
여셔 와 뵈여 萬만石셕君군이 朝됴服복 닙고 보고 일훔 브르디 아니며 손이 왼 일 잇거든 구짓디 아니고   안자셔 반상을 바다도 먹디 아니 더니 그린 후에 모 식히 서르 외요라 야 얼운 권당을 인야 오슬 메왓고 주003)
메왓고:
어깨를 벗고. 기본형은 ‘메왓다’이고 부사형 어미 ‘-고’가 통합된 형임.
장 샤죄야 고텨지라 여 주004)
여:
하여야. ‘-’는 강조를 드러내는 보조사.
허야 밥 먹더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만석군(萬石君) 석분(石奮)이 늙어 벼슬을 그만두고 집에 와 살고 있었다. 그는 궁궐 문 앞을 지날 때 수레로 빨리 지나가며, 임금의 수레를 그는 말을 보면 반드시 수레 위에서 몸을 굽혀 예의를 표했다. 자손이 작은 벼슬아치가 되어 와 뵈려고 하면 만석군은 반드시 조복(朝服)을 입고 만났으며, 그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않았다. 자손들에게 잘못이 있으면 꾸짖지도 않았다. 방 한편의 구석에 앉아 밥상만 마주하고 먹지 않았다. 그런 후에야 여러 자식들이 서로 나무라며 나이 많은 이가 웃옷을 벗고 진실로 사죄하고 고쳐야만 비로소 용서하고 밥을 먹었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술위 우희셔:수레 위에서. ‘술위〉수레’는 연철이 되면서 소리가 단모음화를 거쳐 단일화되었다.
주002)
효 벼슬:작은 벼슬. ‘효’의 기본형은 ‘횩다’이고 매개모음 ‘--’와 관형형 어미 ‘-ㄴ’이 통합된 형임.
주003)
메왓고:어깨를 벗고. 기본형은 ‘메왓다’이고 부사형 어미 ‘-고’가 통합된 형임.
주004)
여:하여야. ‘-’는 강조를 드러내는 보조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