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8권
  • 외편(外篇)○제5편 가언(嘉言)○광경신(廣敬身)
  • 장횡거(張橫渠)
메뉴닫기 메뉴열기

장횡거(張橫渠)


橫횡渠거先션生이 曰왈 學者쟈ㅣ 捨샤禮례義의則즉飽포食식終죵日일야 無무所소猷유爲위니 與여下하民민一일致티라 所소事ㅣ 不블踰유衣의食식之지間간과 燕연遊유之지樂락耳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橫횡渠거先션生이 니샤 글 홀 사미 禮례義의를 리면 브르 먹고 날 졈글워  이리 업스리니 하품엣 셩으로 주001)
하품엣 셩으로:
아래 품격의 백성과.
 가지

번역소학 권8:13ㄱ

라 논 이리 옷밥 이와 노름 노리 야 즐기매 넘디 아니니라 주002)
넘디아니니라:
넘지 못한다. ‘넘디’의 기본형은 ‘넘다’인데 부사형 어미 ‘-디’와 통합된 형임.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횡거 선생이 말하였다. 글 배울 사람이 예의를 버리면 배불리 먹고 날이 저물어 하는 일이 없으니 하품의 백성과 한 가지다. 하는 일이 옷과 밥 사이와 노름 놀이를 즐기는 것을 넘지 못한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하품엣 셩으로:아래 품격의 백성과.
주002)
넘디아니니라:넘지 못한다. ‘넘디’의 기본형은 ‘넘다’인데 부사형 어미 ‘-디’와 통합된 형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