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6권
  • 외편(外篇)○가언(嘉言)○광입교(廣立敎)
  • 마원(馬援) 3
메뉴닫기 메뉴열기

마원(馬援) 3


龍伯高고는 敦돈厚후周쥬愼신야 口구無무擇言언며 謙겸約약節졀儉검며 廉렴公공有유威위디니 吾오ㅣ 愛之지重듕之지야 願원汝여曹조效효之지노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龍伯高고 주001)
용백고(龍伯高):
용백고와 두계량(杜季良) 두 사람은 모두 중국 후한시대의 경조(京兆) 출신이다. 용백고는 돈후하고 신중한 성품에 다른 사람이 추천하여 영릉태수(零陵太守)에 임용되었지만, 두계량은 광무제 때 월기교위(越騎校尉)에 있다가 그의 가벼운 성품에 대한 상소 때문에 해직을 당했다.
ㅣ란 사 긔운이 두터오며 쥬밀며 삼가 이베 욜 마리 업스며  기 야 조리혀 고 존졀야 샤치티 아니며 렴고 번고 주002)
공번고:
공정하고. 예) 공번샤 당 아니실(公而不黨故)〈법화경언해 4:38〉.
위엄이 잇더니

번역소학 권6:14ㄱ

내 며 히 너겨 너희히 본받과뎌 주003)
본받과뎌:
본을 받기를. 본받고자. ‘-과뎌’는 단모음화와 구개음화에 따라서 ‘과뎌〉과져〉고저〉고자’로 굳어진 형임.
원노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용백고란 사람은 기품이 미더우며 허술한 구석이 없고 매우 찬찬하며 말을 삼가며 마음을 나직하게 하고 줄이고 절약하여 사치하지 않으며 청렴하고 공정하여 위엄이 있었다. 내가 이를 사랑하고 중히 여겨 너희들이 본을 받기를 원한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용백고(龍伯高):용백고와 두계량(杜季良) 두 사람은 모두 중국 후한시대의 경조(京兆) 출신이다. 용백고는 돈후하고 신중한 성품에 다른 사람이 추천하여 영릉태수(零陵太守)에 임용되었지만, 두계량은 광무제 때 월기교위(越騎校尉)에 있다가 그의 가벼운 성품에 대한 상소 때문에 해직을 당했다.
주002)
공번고:공정하고. 예) 공번샤 당 아니실(公而不黨故)〈법화경언해 4:38〉.
주003)
본받과뎌:본을 받기를. 본받고자. ‘-과뎌’는 단모음화와 구개음화에 따라서 ‘과뎌〉과져〉고저〉고자’로 굳어진 형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