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9권
  • 외편(外篇)○제6편 선행(善行)○실명륜(實明倫)
  • 이적(李勣)
메뉴닫기 메뉴열기

이적(李勣)


○唐당英영公공李니勣젹이 貴귀爲위僕복射

번역소학 권9:78ㄴ

야ㅣ로 其기姉ㅣ病병이어든 必필親친爲위然연火화야 煮쟈粥쥭더니 火화焚분其기鬚슈ㅣ어 姉ㅣ 曰왈 僕복妾쳡이 多다矣의어시니 何하爲위自苦고ㅣ 如여此오 勣젹曰왈 豈긔爲위無무人耶야ㅣ리오 顧고今금姉ㅣ 年년老로며 勣젹亦역老로호니 雖슈欲욕數삭爲위姉煮쟈粥쥭인 復부可가得득乎호아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唐당 시졀 英영公공 李니勣젹이 귀히 되어 僕복射야 ㅅ벼슬 여슈 그 누의 병엿거

번역소학 권9:79ㄱ

 반시 친히 블디더 쥭을 글히더니 주001)
블디더 쥭을 글히더니:
불을 때 죽을 끓이더니.
브레 오 지븓거 주002)
지븓거:
바람에 불리거늘. 기본형은 ‘지불이다’인데 구속형 어미 ‘-거늘’과 통합된 형임.
누의 닐오 겨집죵히 하거시니 주003)
겨집죵히 하거시니:
계집종들이 많으니. ‘하거시니’의 기본형은 ‘하다[多]’이고 설명형 어미인 ‘-거니’가 통합된 형임.
엇디 스싀로 슈고 이리 뇨 勣젹이 닐오 엇디 사이 업스리오마 이제 누의 나히 늙고 나도 늙그니 비록 조 누의 위야 쥭을 글히고져  다시 시러곰 려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당나라의 시절 영공(英公) 이적(李勣)이 귀하게 되어 복야(僕射) 벼슬을 하였다. 그의 맏누이가 병들었을 때는 반드시 몸소 불을 때서 죽을 끓였다. 한번은 불에 수염을 사르자, 누님이 말했다. 계집종들이 많은데 어찌하여 스스로 수고를 이처럼 하는가. 그러자 이적이 말했다. 어찌 사람이 없어서 그러는 것이겠습니까. 이제 누님도 나이 늙었고 저도 그렇습니다. 비록 자주 누님을 위하여 죽을 끓이고 싶어도 다시 그럴 수 있습니까.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블디더 쥭을 글히더니:불을 때 죽을 끓이더니.
주002)
지븓거:바람에 불리거늘. 기본형은 ‘지불이다’인데 구속형 어미 ‘-거늘’과 통합된 형임.
주003)
겨집죵히 하거시니:계집종들이 많으니. ‘하거시니’의 기본형은 ‘하다[多]’이고 설명형 어미인 ‘-거니’가 통합된 형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