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8권
  • 외편(外篇)○제5편 가언(嘉言)○광경신(廣敬身)
  • 안씨가훈(顔氏家訓) 6
메뉴닫기 메뉴열기

안씨가훈(顔氏家訓) 6


素조(소)暴포悍한者쟈欲욕其기觀관古고人之지小쇼心심黜튤己긔야 齒치弊폐舌셜存존

번역소학 권8:28ㄱ

며 含함垢구藏장疾질며 尊존賢현容용衆중고 苶날然연沮져喪상야 若약不블勝승衣의也야ㅣ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본 모딘 사믄 녯 사믜  조리혀 내 모믈 기 며 구든 니 여디고 주001)
구든 니 여디고:
굳은 이는 부서지고. ‘여디고’의 기본형은 ‘여디다’이며 부사형 어미 ‘-고’와 통합된 형임.
부드러온 혀 이시며  더러온 이 머구머시며 주002)
 더러온 이 머구머시며:
남의 더러운 일을 감싸주며. ‘머구머시며’의 기본형은 ‘머굼다’이고 설명형 어미와 통합된 형임.
 사오나온 이 기며 어딘 사믈 위며 모 사 용납하 주 보고 추러히 주003)
추러히:
추레하게. 기본형은 ‘추러다’인데 부사화 접사 ‘-이’가 통합된 형임.
모딘 긔운을 긋치 눌러 업시야 니븐 옷도 이긔디

번역소학 권8:28ㄴ

몯 시 과(뎌) 녜니라 주004)
과 녜니라:
하고자 다닌다. ‘과’는 문맥으로 보아 문법화된 ‘하고’의 변이형으로 보인다.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본디 사나운 사람은 옛 사람들이 조심하고 자신을 낮추며, 강한 이빨은 깨져도 부드러운 혀는 있으며, 남의 더러운 일을 감싸주며, 남의 사나운 일을 숨겨준다. 어진이들을 위하고 뭇 사람들을 포용하는 것을 보고 맥없이 모진 기운을 완전히 없게 하여 입고 있는 옷도 이기지 못하는 듯이 하려고 수행하는 것이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구든 니 여디고:굳은 이는 부서지고. ‘여디고’의 기본형은 ‘여디다’이며 부사형 어미 ‘-고’와 통합된 형임.
주002)
 더러온 이 머구머시며:남의 더러운 일을 감싸주며. ‘머구머시며’의 기본형은 ‘머굼다’이고 설명형 어미와 통합된 형임.
주003)
추러히:추레하게. 기본형은 ‘추러다’인데 부사화 접사 ‘-이’가 통합된 형임.
주004)
과 녜니라:하고자 다닌다. ‘과’는 문맥으로 보아 문법화된 ‘하고’의 변이형으로 보인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