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6권
  • 외편(外篇)○가언(嘉言)○광입교(廣立敎)
  • 장횡거(張橫渠) 3
메뉴닫기 메뉴열기

장횡거(張橫渠) 3


甚심則즉至지於어洵슌私意의야 義의理리都도喪也야니 只지爲위病根근이不블去거야 隨슈所소居거所소接졉而長댱이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심히 외면 아뎌 들 주001)
들:
사사로운 뜻을. ‘아뎌’의 기본형은 형용사 ‘아외다’에서 비롯한 형태다. 어근은 ‘아[私]’인데 여기에 ‘-외다’가 통합된 형태임.
조차 야 어딘 주002)
어딘:
어진. 기본형은 ‘어딜다’인데 구개음화를 따라서 ‘어딜다〉어질다’로 소리가 바뀐 것이다.
이리 다 업게 외니 오직 그  불휘 업디 아니야 간 며 다 마다 기러 주003)
기러:
자라. 길러져. 기본형은 ‘길다’인데 동사의 뜻으로 쓰였다.
갈니라 주004)
갈니라:
갔기 때문이다. ‘-’는 이유를 드러내는 의존명사로 관형형어미 ‘-ㄹ’ 하고만 통합되는 제약성을 드러낸다.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심하게 되면 자신의 사사로운 뜻을 좇아 하므로 어진 도리가 모두 없어지게 되니, 오직 병의 뿌리를 제거하지 않아 가는 데며 다다른 데마다 길러져 갔기 때문이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들:사사로운 뜻을. ‘아뎌’의 기본형은 형용사 ‘아외다’에서 비롯한 형태다. 어근은 ‘아[私]’인데 여기에 ‘-외다’가 통합된 형태임.
주002)
어딘:어진. 기본형은 ‘어딜다’인데 구개음화를 따라서 ‘어딜다〉어질다’로 소리가 바뀐 것이다.
주003)
기러:자라. 길러져. 기본형은 ‘길다’인데 동사의 뜻으로 쓰였다.
주004)
갈니라:갔기 때문이다. ‘-’는 이유를 드러내는 의존명사로 관형형어미 ‘-ㄹ’ 하고만 통합되는 제약성을 드러낸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