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7권
  • 외편(外篇)○제5편 가언(嘉言)○광명륜(廣明倫)
  • 상례(喪禮)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상례(喪禮) 2


父부母모之지喪애 旣긔虞우卒졸哭곡야 䟽소食水슈飮음고 不블食식菜果과며 期

번역소학 권7:11ㄱ

긔而小쇼詳앤 食식菜果과며 又우期긔而大대祥앤 食식醯혜醬이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어버 거애 우졔 주001)
우제(虞祭):
초우(初虞)·재우(再虞)·삼우(三虞)의 제사를 이름. 초우는 장례를 마치고 나서 해가 한낮일 때 지낸다. 산소가 멀더라도 이날을 넘기지 말아야 한다. 집이 멀어서 도중에 머물게 될 때는 숙소에서 지낸다. 상주(喪主) 이하가 모두 목욕한다. 제례는 분향(焚香)·강신(降神)·진찬(進饌)·초헌(初獻)·독축(讀祝)·아헌(亞獻)·종헌(終獻)·유식(侑食)·합문(闔門)·계문(啓門)·사신(辭神)의 순으로 한다. 제사를 마치면 혼백을 땅에 묻는다. 재우는 초우를 지낸 뒤 유일(柔日)에 지낸다. 유일은 천간(天干)이 을(乙)·정(丁)·기(己)·신(辛)·계(癸)에 속하는 날이며, 제례는 초우와 같다. 산소가 멀어서 돌아오는 도중에 유일을 맞이하면 숙소에서 지낸다. 삼우는 재우를 지낸 뒤 강일(剛日)에 지낸다. 강일은 천간이 갑(甲)·병(丙)·무(戊)·경(庚)·임(壬)에 속하는 날이며, 제례는 재우와 같다. 산소가 멀어서 돌아오는 도중에 강일을 맞이하면 제사는 집에 돌아와서 지낸다.
졸곡졔 주002)
졸곡제(卒哭祭):
초우를 지낸 뒤 3개월 안에 날을 잡아서 곡을 그치는 제를 이름.
고 사오나온 밥과 믈만 먹고 와 과실 먹디 아니며 돌새 小쇼祥고 와 과실 머그며  돌새 大대祥고 초와 과 먹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어버이의 상을 당하매 우제와 졸곡제를 모시고는 거친 밥과 물만 먹고 나물과 과일 먹지 않으며, 한 돌에 오는 소상을 치르고는 나물과 과일을 먹으며 또 한 돌이 되어 대상을 치르고는 초와 장을 먹는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우제(虞祭):초우(初虞)·재우(再虞)·삼우(三虞)의 제사를 이름. 초우는 장례를 마치고 나서 해가 한낮일 때 지낸다. 산소가 멀더라도 이날을 넘기지 말아야 한다. 집이 멀어서 도중에 머물게 될 때는 숙소에서 지낸다. 상주(喪主) 이하가 모두 목욕한다. 제례는 분향(焚香)·강신(降神)·진찬(進饌)·초헌(初獻)·독축(讀祝)·아헌(亞獻)·종헌(終獻)·유식(侑食)·합문(闔門)·계문(啓門)·사신(辭神)의 순으로 한다. 제사를 마치면 혼백을 땅에 묻는다. 재우는 초우를 지낸 뒤 유일(柔日)에 지낸다. 유일은 천간(天干)이 을(乙)·정(丁)·기(己)·신(辛)·계(癸)에 속하는 날이며, 제례는 초우와 같다. 산소가 멀어서 돌아오는 도중에 유일을 맞이하면 숙소에서 지낸다. 삼우는 재우를 지낸 뒤 강일(剛日)에 지낸다. 강일은 천간이 갑(甲)·병(丙)·무(戊)·경(庚)·임(壬)에 속하는 날이며, 제례는 재우와 같다. 산소가 멀어서 돌아오는 도중에 강일을 맞이하면 제사는 집에 돌아와서 지낸다.
주002)
졸곡제(卒哭祭):초우를 지낸 뒤 3개월 안에 날을 잡아서 곡을 그치는 제를 이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