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7권
  • 외편(外篇)○제5편 가언(嘉言)○광명륜(廣明倫)
  • 장횡거(張橫渠)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장횡거(張橫渠) 2


번역소학 권7:3ㄴ

若약親친之지故고舊구所소喜희 當極극力력招툐致티며 賓빈客之지奉을 當極극力력營辦판야 務무以이悅열親친오로 爲위事ㅣ오 不블可가計계家가之지有유無무ㅣ니 然연이나 又우須슈使之지不블知디其기勉면强강勞로苦고ㅣ니 苟구使見견其기爲위而不블易이則즉亦역不블安안矣의리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어버 녯 벋에 됴히 너기니를 힘 주001)
힘:
힘껏. +(불완전명사). ‘’은 ‘만큼 다. 끝까지’. 원문의 ‘극력(極力)’을 풀이한 말임.
야 오게 며 소게 받올 거슬 힘 뫼화

번역소학 권7:4ㄱ

쟝만야 어버 깃거호모로 주002)
깃거호모로:
기뻐하므로. 기본형은 ‘깃기다’이고 여기에 ‘다’와 부사형 어미 ‘-어’가 통합한 형임.
힘서 일 사마 고 지븨 이시며 업슨 주를 혜아리디 마롤디니 그러나  모로매 면야 주003)
면(强勉)야:
애를 쓰고. 원문에는 ‘면강(勉强)’인데 우리말로 옮길 때는 글자 순서가 바뀌었다. 일본어에서는 면강(勉强, ぺんきよ)으로 쓴다.
슈고로이  주를 어버 아디 몯시게 홀디니 진실로 그  이리 쉽디 아니 주를 보시면  편안히 아니 너기시리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어버이의 옛 벗 가운데 기쁘게 여기는 이를 힘껏 청하여 오게 하며 손님 대접할 것을 힘껏 모아 장만하여 어버이가 기뻐하므로 힘써 이 일을 함이며, 집에 있고 없음을 헤아리지 말 것이다. 그러나 또 반드시 애쓰고 수고로이 하는 줄을 어버이가 아지 못하시게 할 것이니, 진실로 그 하는 일이 쉽지 아니한 줄을 보시면 또 편안히 여기지 아니하실 것이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힘:힘껏. +(불완전명사). ‘’은 ‘만큼 다. 끝까지’. 원문의 ‘극력(極力)’을 풀이한 말임.
주002)
깃거호모로:기뻐하므로. 기본형은 ‘깃기다’이고 여기에 ‘다’와 부사형 어미 ‘-어’가 통합한 형임.
주003)
면(强勉)야:애를 쓰고. 원문에는 ‘면강(勉强)’인데 우리말로 옮길 때는 글자 순서가 바뀌었다. 일본어에서는 면강(勉强, ぺんきよ)으로 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