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7권
  • 외편(外篇)○제5편 가언(嘉言)○광명륜(廣明倫)
  • 상례(喪禮) 7-수 양제(隋煬帝)
메뉴닫기 메뉴열기

상례(喪禮) 7-수 양제(隋煬帝)


隋슈煬帝뎨爲위太태子야 居거文문獻헌

번역소학 권7:14ㄴ

皇황后후
喪야셔 每朝됴애 令進진二이溢일米미而私令外외로 取肥비肉脯포鮓자야 置티竹듁筒中야 以이蠟랍閉폐口구고 衣의襆복오로 裹과而納납之지더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隋슈煬帝뎨 주001)
수 양제(隋煬帝):
수나라 양제 양광(楊廣, 569~618). 중국 수의 제2대 황제이며, 수 문제 양견의 차남이고, 어머니는 문헌황후 독고씨다. 본래 묘호는 세조(世祖)이며 시호는 명황제(明皇帝)이나 당(唐)에서 올린 시호인 양제로 불린다. 진시황제보다도 성격이 더 포악하고 무자비하여 중국의 여러 황제 중 가장 폭군으로 손꼽히는 황제임.
太태子 되여실 제 어마님 문헌훗 거애  아마다 두 줌  드리라 야 쥭 먹 시고 아뎌 주002)
아뎌:
남모르게.
밧고로 주003)
밧고로:
밖으로. ‘밧’은 기역 특수곡용을 하는 형태이고 자음 역행 동화를 거쳐 ‘밧〉〉밖’으로 소리가 어말에서 경음되면서 굳어진 형임.
진 고기와 보육과 주004)
보육과:
포육과. 유기음화를 거쳐 ‘보육〉포육’으로 소리가 달라졌음.
젓과 어드라 야 대 가온 녀허 밀로 막고 보호로  드리더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수 양제가 태자가 되었을 때 어머니 문헌황후의 상을 당하여 늘 아침마다 두 줌 쌀을 들여오라 하여 죽을 먹는 것처럼 하고 남 몰래 밖으로 살진 고기와 포육과 젓갈을 구하여 오라 하여 대통 가운데 넣어 밀로 막고 보로 싸서 들이더라.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수 양제(隋煬帝):수나라 양제 양광(楊廣, 569~618). 중국 수의 제2대 황제이며, 수 문제 양견의 차남이고, 어머니는 문헌황후 독고씨다. 본래 묘호는 세조(世祖)이며 시호는 명황제(明皇帝)이나 당(唐)에서 올린 시호인 양제로 불린다. 진시황제보다도 성격이 더 포악하고 무자비하여 중국의 여러 황제 중 가장 폭군으로 손꼽히는 황제임.
주002)
아뎌:남모르게.
주003)
밧고로:밖으로. ‘밧’은 기역 특수곡용을 하는 형태이고 자음 역행 동화를 거쳐 ‘밧〉〉밖’으로 소리가 어말에서 경음되면서 굳어진 형임.
주004)
보육과:포육과. 유기음화를 거쳐 ‘보육〉포육’으로 소리가 달라졌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