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9권
  • 외편(外篇)○제6편 선행(善行)○실입교(實立敎)
  • 여희철(呂希哲) 6
메뉴닫기 메뉴열기

여희철(呂希哲) 6


呂려滎영(형)公공張댱夫부人인待制졔諱휘昷은(온)之지之지幼유女녀也야ㅣ니 最최鐘죵愛나 然연이나 居거常샹애 至지微미細셰事

번역소학 권9:6ㄱ

히 敎교之지호 必필有유法법度도더니 如여飮음食식之지類류애 飯반羹으란 許허更益익고 魚어肉육으란 不블更進진也야ㅣ러니 時시예 張댱公공이 已이爲위待制졔河하北븍都도轉뎐運운使矣의러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呂려滎영公공의 안해 張댱夫부人인待制졔 슬 엿 일후 昷온之지의 아기 리니 주001)
아기 리니:
작은 딸이니. ‘리니’의 형태는 ‘’에 서술격 조사 ‘-이니’와 통합된 형임.
장 랑야도 샹해 장 햐 이리라도 주002)
장 햐 이리라도:
가장 작은 일이라도. ‘햐근’의 기본형은 ‘햑다’이며 관형형 어미와 통합된 형임.
츄믈 반시 법되 잇더니 飮음食식 

번역소학 권9:6ㄴ

 일에도 밥과 과란 다시 더 주라 고 고기란 다시 더 주디 아니더니 그 저긔 張댱昷온之지 마 待制졔 슬 야 河하北븍都도轉뎐運운使ㅣ 외엇더니라 주003)
외엇더니라:
되었더라. 기본형 ‘외다’에 과거시제 선어말어미 ‘-엇-’과 회상시제선어말어미인 ‘-더-’와 종결형 어미 ‘-니라’와 통합된 형임.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여형공의 아내 장부인대제 벼슬을 지내고, 이름을 온지라고 하는 분의 작은 딸이다. 딸을 매우 사랑했어도 항상 작은 일에 이르기까지도 가르침에 반드시 법도가 있었고, 음식 같은 것은 밥이나 국은 더 먹도록 허락했으나 고기는 더 주지 않았다. 이 때 장공은 이미 대제 하북도전운사로 되어 있었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아기 리니:작은 딸이니. ‘리니’의 형태는 ‘’에 서술격 조사 ‘-이니’와 통합된 형임.
주002)
장 햐 이리라도:가장 작은 일이라도. ‘햐근’의 기본형은 ‘햑다’이며 관형형 어미와 통합된 형임.
주003)
외엇더니라:되었더라. 기본형 ‘외다’에 과거시제 선어말어미 ‘-엇-’과 회상시제선어말어미인 ‘-더-’와 종결형 어미 ‘-니라’와 통합된 형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