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8권
  • 외편(外篇)○제5편 가언(嘉言)○광경신(廣敬身)
  • 주돈이(周敦頤)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주돈이(周敦頤) 2


伊이尹윤顔안淵연은 大대賢현야ㅣ라 伊이尹

번역소학 권8:3ㄱ

윤恥티其기君군不블爲위堯요舜슌며 一일夫부ㅣ나 不블得득其기所소ㅣ어든 若撻달于우市시고 顔안淵연은 不블遷쳔怒로며 不블貳過과며 三삼月월不블違위仁인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伊이尹윤顔안淵연은 큰 어딘 사미라 伊이尹윤 제 님그미 堯요舜슌 주001)
요순(堯舜):
요임금과 순임금. 요(堯)는 덕행이 높은 군왕으로 알려진 중국의 신화 속 인물이다. 중국의 삼황오제(三皇五帝) 신화 가운데 오제의 하나다. 다음의 군주인 순(舜)과 함께 성군(聖君)의 얼굴로 일컬어지며 요순과 같이 함께 묶어 많이 사용한다. 이 말은 주로 뛰어난 군주를 찬양하거나 먼 옛날의 이상적인 군주를 지칭하는 표현으로 쓰였으며, 하나라의 우왕, 은나라의 탕왕을 합쳐 요순우탕(堯舜禹湯)이라는 사자성어로 쓰이기도 한다. 아직까지 요의 역사적 실존성은 정확히 밝혀진 바가 없고, 다만 우왕과의 관계에서 하나라 이전에도 부족 국가 수준의 나라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사용된다. 단모음화에 따라서 ‘요슌〉요순’으로 소리가 단순화되었다.
티 도디 몯호믈 붓그려 며 주002)
붓그려며:
부끄러워하며. 기본형은 ‘붓그리다’이고 부사형 어미와 통합된 형임.
 사미나 제곰 사롤 쳐소 얻디 몯 엿거든 져제 가매 마 주003)
마:
마침.
티 너기고 顔안淵연은 노  옴기디 아니며

번역소학 권8:3ㄴ

허므를 다시 아니 며 석를 仁인에 어그릇디 아니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이윤 안연은 아주 어진 사람이었다. 이윤은 자신의 임금이 요순과 같이 되지 못함을 부끄럽게 여겼다. 한 사람이라도 제 각기 살 곳을 얻지 못하였거든 시장에 가는 일을 파장이듯 간다. 안연은 화난 마음을 옮기지 않으며 잘못을 다시 아니 하며 석달 동안에 어진 일에 어긋남이 없었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요순(堯舜):요임금과 순임금. 요(堯)는 덕행이 높은 군왕으로 알려진 중국의 신화 속 인물이다. 중국의 삼황오제(三皇五帝) 신화 가운데 오제의 하나다. 다음의 군주인 순(舜)과 함께 성군(聖君)의 얼굴로 일컬어지며 요순과 같이 함께 묶어 많이 사용한다. 이 말은 주로 뛰어난 군주를 찬양하거나 먼 옛날의 이상적인 군주를 지칭하는 표현으로 쓰였으며, 하나라의 우왕, 은나라의 탕왕을 합쳐 요순우탕(堯舜禹湯)이라는 사자성어로 쓰이기도 한다. 아직까지 요의 역사적 실존성은 정확히 밝혀진 바가 없고, 다만 우왕과의 관계에서 하나라 이전에도 부족 국가 수준의 나라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사용된다. 단모음화에 따라서 ‘요슌〉요순’으로 소리가 단순화되었다.
주002)
붓그려며:부끄러워하며. 기본형은 ‘붓그리다’이고 부사형 어미와 통합된 형임.
주003)
마:마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