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10권
  • 외편(外篇)○제6편 선행(善行)○실경신(實敬身)
  • 유관(劉寬)
메뉴닫기 메뉴열기

유관(劉寬)


劉류寬관이 雖슈居거倉창卒졸나 未미嘗샹疾질言언遽거色 더니 夫부人이 欲욕試시寬관令령恚에[애]야 伺當당朝됴會회야 裝장嚴엄已이訖흘이어늘 使侍시婢비로奉봉肉육羹야 飜번汚오朝됴衣의고 婢비ㅣ遽거收슈之

번역소학 권10:2ㄴ

지러니 寬관이神신色不블異이야 야 乃내徐셔言언 曰왈 羹爛란汝여手슈乎호아 니 其기性셩度도ㅣ 如여此 더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劉류寬관이 샹해 비록 밧분 저기라도 주001)
밧분 저기라도:
바쁜 때라도. 기본형은 ‘밧부다’인데 관형형 어미 ‘-ㄴ’이 통합된 형임.
말 리 아니며 과 곳 주002)
과 곳:
급한 낯빛을 안 하며.
아니더니 夫부人이 寬을 여곰 로커든 보리라 야 朝됴會회 저글 기들워 관  무믈 다여 주003)
관  무믈 다여:
관대 맨 묶음을 다하여. ‘무믈’의 기본형은 ‘무다’이고 명사형 어미와 목적격 조사 ‘-을’이 통합된 형임. 어원으로 보아 ‘뭇다’에서 비롯한 것임.
잇거늘 뫼션 겨집죵으로 여 고깃 羹을 드러가다가 관 옷새 엎텨 더러이고 주004)
옷새 업텨 더러이고:
옷에 엎질러 더럽게 하고. ‘옷새’는 혼철의 표기로 ‘옷 +-애(부사격 조사)’로 분석된다.
믄득

번역소학 권10:3ㄱ

담거늘 寬관이 고 달이 아니야 날회여 닐오 주005)
날회여 닐오:
느리게 이르되. ‘날회여’의 기본형은 ‘날회다’이고 부사형 어미 ‘-어’가 통합된 형임.
羹애 네 소니 데어냐 주006)
소니 데어냐:
손이 데었느냐. ‘데어냐’의 기본형은 ‘데다’이고 의문형 어미 ‘-으냐’가 통합된 형임.
니 그 性셩과 도량이 이러 더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유관(劉寬)은 비록 갑자기 황당한 경우를 당했다고 하나 말을 빨리 아니하고 급한 기색을 아니하였다. 부인이 유관으로 하여금 시험 삼아 화를 나게 했다. 조회할 때를 기다려 의관을 다 마무리한 것을 엿보고는, 모시는 계집종으로 하여금 고깃국을 받들고 가서 그릇을 엎어 조복에 엎어 더럽히게 하였다. 국을 문득 쓸어 담으니, 유관은 낯빛을 달리 함이 없이, 천천히 말했다. 국에 네 손을 데었느냐. 그의 성품과 도량이 이와 같았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밧분 저기라도:바쁜 때라도. 기본형은 ‘밧부다’인데 관형형 어미 ‘-ㄴ’이 통합된 형임.
주002)
과 곳:급한 낯빛을 안 하며.
주003)
관  무믈 다여:관대 맨 묶음을 다하여. ‘무믈’의 기본형은 ‘무다’이고 명사형 어미와 목적격 조사 ‘-을’이 통합된 형임. 어원으로 보아 ‘뭇다’에서 비롯한 것임.
주004)
옷새 업텨 더러이고:옷에 엎질러 더럽게 하고. ‘옷새’는 혼철의 표기로 ‘옷 +-애(부사격 조사)’로 분석된다.
주005)
날회여 닐오:느리게 이르되. ‘날회여’의 기본형은 ‘날회다’이고 부사형 어미 ‘-어’가 통합된 형임.
주006)
소니 데어냐:손이 데었느냐. ‘데어냐’의 기본형은 ‘데다’이고 의문형 어미 ‘-으냐’가 통합된 형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