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7권
  • 외편(外篇)○제5편 가언(嘉言)○광명륜(廣明倫)
  • 부모 봉양-범중엄(范仲淹)
메뉴닫기 메뉴열기

부모 봉양-범중엄(范仲淹)


○范범文문正公이 爲위參참知디政事時시예 告고諸졔子 曰왈 吾오ㅣ 貧빈時시예 與여汝여母모로 養吾오親친호 汝여母모ㅣ 躬執집爨찬而吾오ㅣ 親친甘감旨지를 未미嘗充也야ㅣ러시니 今금而得득厚후祿

번역소학 권7:47ㄴ

록야 欲욕以이養親친이니 親친不블在矣의며 汝여母모ㅣ 亦역已이早조世셰니 吾오所소最최恨者쟈ㅣ니라 忍令若曹조로 享향富부貴귀之지樂락也야아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范범文문正公 주001)
범중엄(范仲淹):
중국 북송 때의 정치가·학자(989~1052). 자는 희문(希文), 시호는 문정(文正). 인종 때에 참정지사(參政知事)가 되어 개혁하여야 할 정치상의 10개 조를 상소하였으나 반대파에게 몰려 실패하였다. 저서에 ≪악양루기(岳陽樓記)≫, 문집 ≪범문정공집(范文正公集)≫이 있다.
이 參참知디政졍事ㅅ 벼 여실 저긔 모 아려 니샤 내 가난야실 제 네 어미와로 내 어버이 효호 네 어미 손 블디더 주002)
손 블디더:
손수 불을 때서. ‘손’는 ‘손수’의 어말 자음인 ‘수’가 유성음화된 형태임.
반 야도 내 어버이 오 맛난 거 주003)
오 맛난 거:
달고 맛난 것을. ‘고’의 기본형은 ‘다’이고 부사형 어미와 통합된 형임.
브 몯 자시더니 이제

번역소학 권7:48ㄱ

만 록을 니 어버 효코져 나 어버 겨시디 아니며 네 어미도  일 주그니 내  애라 이리라 마 너로 가멸오 귀 즐거온 이 누리게 려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범 문정공참지정사 벼슬을 하였을 때 모든 아들들에게 말하였다. 내가 가난하였을 적에 네 어미와 내 어버이를 봉양하되 네 어미 손수 불을 때고 밥을 지어도 내 어버이가 달고 맛난 것을 배부르게 못 드셨다. 이제는 많은 녹봉을 받으니 어버이를 봉양하고자 하나 어버이가 계시지 않는다. 네 어미도 또 일찍 죽으니 내 가장 애타는 것이다. 차마 너희들로 부귀의 즐거운 일을 누리게 하게 되었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범중엄(范仲淹):중국 북송 때의 정치가·학자(989~1052). 자는 희문(希文), 시호는 문정(文正). 인종 때에 참정지사(參政知事)가 되어 개혁하여야 할 정치상의 10개 조를 상소하였으나 반대파에게 몰려 실패하였다. 저서에 ≪악양루기(岳陽樓記)≫, 문집 ≪범문정공집(范文正公集)≫이 있다.
주002)
손 블디더:손수 불을 때서. ‘손’는 ‘손수’의 어말 자음인 ‘수’가 유성음화된 형태임.
주003)
오 맛난 거:달고 맛난 것을. ‘고’의 기본형은 ‘다’이고 부사형 어미와 통합된 형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