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7권
  • 외편(外篇)○제5편 가언(嘉言)○광명륜(廣明倫)
  • 친척을 보살핌-범중엄(范仲淹)
메뉴닫기 메뉴열기

친척을 보살핌-범중엄(范仲淹)


吾오ㅣ 吳오中에 宗族족ㅣ 甚심衆니 於어吾오애 固고有유親친踈소ㅣ언마 然연ㅣ나 吾오祖조宗오로 視시之지 則즉均균是시子孫손ㅣ라 固고無무親친踈소也야ㅣ니라 苟구祖조宗之지意의예 無무親친踈소 則즉饑긔寒한者쟈

번역소학 권7:48ㄴ

를 吾오ㅣ 安안得득不블恤휼也야ㅣ리오 自祖조宗來로 積젹德덕百餘여年년而始시發발於어吾오야 得득至지大대官관호니 若약獨독享富부貴귀而不블恤휼宗族족ㅣ면 異이日일애 何하以이見견祖조宗於어地디下하ㅣ며 今금에 何하顔안入입家가廟묘乎호ㅣ리오 於어是시예 恩은例례俸봉賜 常均균於어族족人며 幷置티義의田뎐宅云운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번역소학 권7:49ㄱ

吳오中듕 해 아미  만니 내게 진실로 친며 소호미 잇건마 내 조오로 보건댄 가짓 소니라 친며 소호미 업스니라 진실로 조 데 친며 소호미 업스면 주리며 치워 니 내 엇디 어엿비 주001)
어엿비:
가엾게. 기본형은 ‘어엿브다’이고 부사화어미 ‘-이’가 통합된 형임.
아니 너기료 조브터 오로 어딘 덕 모토 주002)
모토:
쌓음을. ‘모토’의 기본형은 ‘모토다’이고 명사형 어미와 통합된 형임.
일 나마 내게 와 브터 나타나 큰 벼슬 호니 혼자 부귀 누리고 아 주003)
아:
친척을.
어엿비 아니 너기면 후에 엇뎨 조  아래 가 뵈오며 이제 어

번역소학 권7:49ㄴ

초로  드러가리오 고 감 주신 거시며 록  거슬 아거긔 골오 주며  아 졔도 받과 지블 부러여 주004)
부러여:
불려서. 기본형은 ‘부러다’이고 부사형 어미와 통합된 형임.
둣더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오중(吳中) 땅에 친척이 가장 많다. 내게는 진실로 친하고 먼 사이가 있건마는 내 조상으로 보면 한 가지 자손이다. 친하고 소원함이 없다. 진실로 조상의 뜻에 친하고 소원함이 없으면 주리고 추워하는 이를 내 어찌 가엾게 아니 여기겠는가. 조상부터 오므로 어진 덕을 쌓음을 일백 년 넘어 내게 와서부터 큰 벼슬을 하니 혼자서 부귀를 누리고 친척을 가엾게 아니 여기면 뒤에 어찌 조상을 땅 아래 가서 뵈오며 이제 어느 낯으로 사당에 들어가리오. 하면서 임금이 주신 것과 녹봉을 받은 것을 친척에게 고루 주며 또 친척 돕는 밭과 집을 불려 두었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어엿비:가엾게. 기본형은 ‘어엿브다’이고 부사화어미 ‘-이’가 통합된 형임.
주002)
모토:쌓음을. ‘모토’의 기본형은 ‘모토다’이고 명사형 어미와 통합된 형임.
주003)
아:친척을.
주004)
부러여:불려서. 기본형은 ‘부러다’이고 부사형 어미와 통합된 형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