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6권
  • 외편(外篇)○가언(嘉言)○광입교(廣立敎)
  • 범질(范質) 4
메뉴닫기 메뉴열기

범질(范質) 4


戒계爾이遠완(원)恥티辱욕노니 恭則즉近근乎호禮례라 自卑비而尊존人고 先션彼피

번역소학 권6:22ㄴ

而後후己긔니 相鼠셔與여茅모鴟예 宜의鑑감詩시人刺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너희 붓그러오며 왼 일 멀에 주001)
멀에:
멀게. 기본형은 ‘멀다’이고 부사형 어미가 통합된 형으로 리을 뒤에서 기역이 떨어졌다.
호 警경戒계노니 溫온恭공면 禮례예 갓가오리라 제 모란 가이 고  尊존히 며 주002)
존(尊)히 며:
존중하며. 이런 표현은 오늘날에는 사어가 되었다.
 몬져 고 제 모 후에 홀디니 相鼠셔 편과 茅모鴟 주003)
상서(相鼠) 모치(茅鴟):
시경에 나오는 편명(篇名)인데, 상서는 벼슬자리에 있는 사람의 예의 없음을 풍자한 것이고, 모치는 무례한 자를 풍자한 글임.
편에 이 글 지 사 譏긔弄롱 려 보미 맛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너희의 부끄럽고 욕된 일을 멀리하려 함을 위하여 경계하여 이르니, 온순하고 공순하면 예에 가깝다. 자신의 몸은 낮추고 남을 존중하며 남을 먼저 하고 제 몸을 뒤에 할 것이다. 〈시경(詩經)〉 상서편과 모치편에 이 글을 지은 사람의 풍자를 헤아려 봄이 마땅하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멀에:멀게. 기본형은 ‘멀다’이고 부사형 어미가 통합된 형으로 리을 뒤에서 기역이 떨어졌다.
주002)
존(尊)히 며:존중하며. 이런 표현은 오늘날에는 사어가 되었다.
주003)
상서(相鼠) 모치(茅鴟):시경에 나오는 편명(篇名)인데, 상서는 벼슬자리에 있는 사람의 예의 없음을 풍자한 것이고, 모치는 무례한 자를 풍자한 글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