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8권
  • 외편(外篇)○제5편 가언(嘉言)○광경신(廣敬身)
  • 여본중(呂本中)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여본중(呂本中) 2


번역소학 권8:34ㄱ

學業업則즉須슈是시嚴엄立립課과程뎡이오 不블可가一일日일放방慢만이니 每日일에 須슈讀독一일般반經경書셔고 一일般반子書셔호 不블須슈多다ㅣ오 只지要요令령精졍熟슉이니 須슈靜室실危위坐좌야 讀독取二이三삼百遍편야 字字句구句구 須슈要요分분明명이니라 又우每日일에 須슈連련前젼三삼五오授슈야 通통讀독五오七칠十십遍편야 須슈令령成셩誦숑이오 不블可가一일字放

번역소학 권8:34ㄴ

방過과也야ㅣ니라 史書셔 每日일에 須슈讀독取一일卷권며 或혹半반卷권以이上샹야 始시見견功공이니 須슈是시從죵人授슈讀독야 疑의難란處쳐 便변質질問문야 求구古고聖셩賢현用용心심야 竭갈力력從죵之지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글 호기를 모로매 일과 법을 엄졍히 셰오 도  노하 프러디게 호미 올티 아니니 에 모로매  가짓 經경書셔를 닑고

번역소학 권8:35ㄱ

 가짓 子書셔를 닐구 댱수란 해(헤)호려 말오 오직 졍히 니기 닐글 디니 주001)
댱수란 해(헤)호려 말오 오직 졍히 니기 닐골 디니:
(책의) 장수는 헤아리지 말고 오로지 꼼꼼히 읽을 지니.
모로매 괴오 지븨 졍다이 안자 주002)
괴오 지븨 졍다히 안자:
고요한 집에 반듯이 앉아. ‘지븨’는 ‘집’에 부사격 조사 ‘-의’가 통합된 형임.
삼 번을 닐거 ㅣ며 구구를 모로매 분명케  거시니라  에 모로매 이젼에 혼 사 닷쇗  니  주003)
니 :
이어 꿰뚫어. ‘니’의 기본형은 ‘닛다’인데 부사화 접사 ‘-이’와 통합하여 파생부사가 됨. ‘’는 ‘다’의 어간으로 어간형 부사로 쓰였다.
쉰닐흔 번을 닐거 모로매 외오게 고  도  노하 디내요미 올티 아니니라 史記긔 에  권이며 반 권 이샹을 닐거 비로소 공효를 볼 거시니 주004)
공효를볼 거시니:
효과를 볼 것이니.
모로매 믈 조차 화 닐거

번역소학 권8:35ㄴ

의심도왼 어려온  질졍야 무러 녯 聖셩賢현의  시던  구야 힘장 다야 주005)
힘장다야:
힘껏 다하여.
조 거시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글 배우기는 반드시 엄정하게 과정을 정하고 하루도 마음을 놓아 게을리 함이 옳지 않다. 매일 반드시 한 가지 경서와 자서(子書)를 읽되 많이 읽을 것이 아니다. 다만 꼼꼼히 읽도록 해야 한다. 반드시 고요한 방에 단정히 앉아 2~3백 번을 읽어 한 글자, 한 구절을 모두 분명하게 이해하도록 해야 한다. 또 매일 반드시 이전에 배운 사흘 혹은 닷새 동안에 배운 글을 이어 꿰뚫어 쉰 일흔 번을 읽어 반드시 외우게 하고 한 글자라도 마음을 놓아 지나감은 옳지 않다. 사기는 매일 한 권이며 반 권 이상을 읽어야 비로소 보람을 얻을 것이다. 반드시 남을 좇아 배워 읽어 의심되는 곳을 물어 바로 알고 옛 성현의 마음 쓰시던 곳을 구하여 온 힘을 다하여 좇을 것이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댱수란 해(헤)호려 말오 오직 졍히 니기 닐골 디니:(책의) 장수는 헤아리지 말고 오로지 꼼꼼히 읽을 지니.
주002)
괴오 지븨 졍다히 안자:고요한 집에 반듯이 앉아. ‘지븨’는 ‘집’에 부사격 조사 ‘-의’가 통합된 형임.
주003)
니 :이어 꿰뚫어. ‘니’의 기본형은 ‘닛다’인데 부사화 접사 ‘-이’와 통합하여 파생부사가 됨. ‘’는 ‘다’의 어간으로 어간형 부사로 쓰였다.
주004)
공효를볼 거시니:효과를 볼 것이니.
주005)
힘장다야:힘껏 다하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