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8권
  • 외편(外篇)○제5편 가언(嘉言)○광경신(廣敬身)
  • 정호(程顥) 7
메뉴닫기 메뉴열기

정호(程顥) 7


번역소학 권8:8ㄱ

四者쟈 身신之지用용也야ㅣ라 由유乎호中듕而應응乎호外외니 制졔乎호外외 所소以이養양其기中듕也야ㅣ니 顔안淵연이 事斯語어ㅣ라 所소以이進진於어聖셩人니 後후之지學聖셩人者쟈ㅣ宜의服복膺응而勿믈失실也야ㅣ라 因인箴以이自警경노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네 이 모매  거시라 안 으로브터셔 밧긔 이를 졉니 밧긔 이를 제단야 올

번역소학 권8:8ㄴ

케 호 안  길워 됴케 호미니 顔안淵연이 이 말믈 일마 혼디라 셩에 나가니 후에 셩 호리 주001)
호리:
배우고자 하는 이는. 기본형은 ‘호다’인데 관형형 어미와 의존 명사 ‘이’와 절대격 조사 ‘-’이 통합된 형임.
맛당이 가매 담아 일티 마롤 디니라 인야 그를 지 스싀로 경계노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네 가지 이른바는 몸에 쓰는 것이다. 안 마음으로부터 밖의 일을 대응한다. 밖의 일을 제어하여 옳게 함은 안 마음을 길러 좋게 함이니 안연이 일마다 이 말씀을 행한 것이다. 성인 앞에 나아가니 뒤에 성인을 배우고자 하는 이는 마땅히 가슴에 담아 잃지 말 것이다. 이로 하여 글을 지어 스스로를 경계한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호리:배우고자 하는 이는. 기본형은 ‘호다’인데 관형형 어미와 의존 명사 ‘이’와 절대격 조사 ‘-’이 통합된 형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