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8권
  • 외편(外篇)○제5편 가언(嘉言)○광경신(廣敬身)
  • 안씨가훈(顔氏家訓) 9
메뉴닫기 메뉴열기

안씨가훈(顔氏家訓) 9


又우有유讀독數수十십卷권書셔야 便변自高고大대야 凌릉忽홀長댱者쟈며 輕경慢만同동列렬면 人이 疾질之지如여讎슈敵뎍며 惡

번역소학 권8:30ㄱ

오之지如여鴟치梟효리니 如여此ㅣ면 以이學求구益익이로 今금反반自損손이라 不블如여無무學也ㅣ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 스므 나 권 글 닐거셔 믄득 스싀로 놉고 큰 양야 얼우늘 므더니 너기며 주001)
얼우늘 무더니 너기며:
어른을 가볍게 여기며. ‘무더니’는 소홀하다는 뜻임.
동렬읫 사믈 경만히 너기면 사미 믜유믈 원슈와 피뎍 티 주002)
피뎍 티:
적과 같이. 구개음화와 단모음화에 따라서 ‘뎍〉젹〉적’으로 소리가 달라졌음.
너기며 아쳐로 주003)
아쳐로:
싫어함을. 기본형은 ‘아쳗다’이고 명사형 어미와 통합된 형임.
쇼로기와 주004)
쇼로기와:
솔개.
옫바미 주005)
옫바미:
올빼미.
티 너기리니 이러면 글 호모로 주006)
호모로:
배움으로써. 기본형은 ‘호다’이고 명사형 어미와 통합하고 다시 도구의 조사인 ‘-으로’가 통합되었다.
유익호믈 구다가 이졔 도로혀 스싀로 해논 디라 글 

번역소학 권8:30ㄴ

호디 아니홈만도 디 몯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또 이십여 권의 책을 읽어서 곧 스스로 높고 큰 체하여 어른을 소홀히 하며, 친구들을 경멸하고 업신여기면, 사람들이 미운 원수나 적처럼 여기며, 싫어하기를 솔개나 올빼미처럼 여긴다. 이러면 글 배움으로써 유익함을 구하다가 이제 도리어 자신을 해치게 된다. 글을 배우되 아니 배우는 것만 못하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얼우늘 무더니 너기며:어른을 가볍게 여기며. ‘무더니’는 소홀하다는 뜻임.
주002)
피뎍 티:적과 같이. 구개음화와 단모음화에 따라서 ‘뎍〉젹〉적’으로 소리가 달라졌음.
주003)
아쳐로:싫어함을. 기본형은 ‘아쳗다’이고 명사형 어미와 통합된 형임.
주004)
쇼로기와:솔개.
주005)
옫바미:올빼미.
주006)
호모로:배움으로써. 기본형은 ‘호다’이고 명사형 어미와 통합하고 다시 도구의 조사인 ‘-으로’가 통합되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