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8권
  • 외편(外篇)○제5편 가언(嘉言)○광경신(廣敬身)
  • 장횡거(張橫渠) 1
메뉴닫기 메뉴열기

장횡거(張橫渠) 1


橫횡渠거先션生이 曰왈 中듕庸용文문字輩 直딕須슈句구句구理리會회過과야 使其기言언으로 互호相샹發발明명이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橫횡渠거先션生이 니샤 中듕庸용 주001)
중용(中庸):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의 저술. 오늘날 전해지는 것은 오경(五經)의 하나인 ≪예기(禮記)≫에 있는 〈중용편(中庸篇)〉이 송(宋)나라 때 단행본이 된 것으로, ≪대학≫, ≪논어≫, ≪맹자≫와 함께 사서(四書)로 불리고 있으며, 송학(宋學)의 중요한 교재가 되었다. 여기 ‘중(中)’이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침이 없는 것, ‘용(庸)’이란 평상을 뜻한다. 인간의 본성은 천부적인 것이기 때문에 인간은 그 본성을 따라야 한다. 따라서 본성을 좇음이 인간의 길이며, 도를 닦기 위해서는 궁리가 필요하다. ≪중용≫은 요컨대 이 궁리를 연구한 책이다. 즉 인간의 본성은 한마디로 성(誠)일진대, 사람은 어떻게 하여 이 성으로 돌아가는가를 가장 큰 화두로 삼고 있다. 성(誠) 그 자체보다는 ‘성실하게’ 사는 과정을 더 중시하고 있다.
文문字 모로매 주002)
모로매:
모름지기.
句구句구마다 궁구야 아라 디나가 그 말으로 서르 니(나)타나 게 

번역소학 권8:33ㄱ

거시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횡거 선생이 말하였다. 중용의 글들을 반드시 구절마다 깊은 뜻을 알고 지나가야 한다. 그 말씀들을 서로 관련지어 글 전체의 뜻을 밝게 알도록 해야 한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중용(中庸):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의 저술. 오늘날 전해지는 것은 오경(五經)의 하나인 ≪예기(禮記)≫에 있는 〈중용편(中庸篇)〉이 송(宋)나라 때 단행본이 된 것으로, ≪대학≫, ≪논어≫, ≪맹자≫와 함께 사서(四書)로 불리고 있으며, 송학(宋學)의 중요한 교재가 되었다. 여기 ‘중(中)’이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침이 없는 것, ‘용(庸)’이란 평상을 뜻한다. 인간의 본성은 천부적인 것이기 때문에 인간은 그 본성을 따라야 한다. 따라서 본성을 좇음이 인간의 길이며, 도를 닦기 위해서는 궁리가 필요하다. ≪중용≫은 요컨대 이 궁리를 연구한 책이다. 즉 인간의 본성은 한마디로 성(誠)일진대, 사람은 어떻게 하여 이 성으로 돌아가는가를 가장 큰 화두로 삼고 있다. 성(誠) 그 자체보다는 ‘성실하게’ 사는 과정을 더 중시하고 있다.
주002)
모로매:모름지기.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