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9권
  • 외편(外篇)○제6편 선행(善行)○실명륜(實明倫)
  • 재상 이방(李昉)의 자손
메뉴닫기 메뉴열기

재상 이방(李昉)의 자손


溫온公공이 曰왈 國국朝됴公공卿경이 能릉

번역소학 권9:107ㄴ

守슈先션法법야 久구而不블衰쇠者쟈 唯유故고李니相샹家가子孫손이니 數수世셰예 至지二이百餘여口구이로 猶유同동居거 共공爨찬야 田뎐園원邸뎌舍샤所소收슈와 及급有유官관者쟈의 奉봉祿록을 皆聚之지一일庫고야 計계口구日일給급餉향며 婚혼姻인喪상葬장所소費비ㅣ 皆有유常샹數수며 分분命명子弟뎨야 掌쟝其기事니 其기規규模모 大대抵뎌디 出츌於어翰한林림學士

번역소학 권9:108ㄱ

 宗종諤악의 所소制졔也야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溫온公공이 닐오 우리 나랏 샹이 릉히 조샹 가법을 가져셔 오라 디 아니닌 오직 주근 李니昉방이란 샹가분 손이나 두 예 일이 나모   살며 음식글  가지로 야 뎐디며 지븨 뫼화 드리 것과 주001)
지븨 뫼화 드리것과:
집에 모아 들이는 것과. ‘뫼화’의 기본형은 ‘뫼호다’이고 부사형 어미 ‘-아’가 통합된 형임.
벼슬  사 노글 다  고애 뫼화 사 혀여 나날이 바 거슬 주며 혼인이며 상영장의  거시 다 일뎡 쉬이시며 뎨 화 시겨 그

번역소학 권9:108ㄴ

이를 알에 니 그 법은 대뎌디 翰한林림學士 벼슬 하엿던 宗종諤악의 론 셔 나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온공(溫公)이 말하였다. 우리나라의 재상들이 능히 조상의 법도를 지켜 오래도록 쇠퇴하지 않은 집은 오직 돌아가신 이방이란 재상뿐이다. 자손들이 두어 대를 거치면서 일백이나 됐지만 한 데 살면서 밥을 함께 지어 먹었다. 토지와 집세로 모아 드리는 것과 벼슬한 사람의 녹봉은 모두 한 창고에 모아 두고 사람을 헤아려 날마다 식량을 나눠 주었다. 결혼과 윗전의 상례에 필요한 비용은 모두 일정한 액수를 정해 두고 자손들에게 일을 나누어 맡겨 처리하도록 했다. 그러한 일을 관리하게 하니 그 법은 대체로 한림학사(翰林學士) 종악(宗諤)이 만든 것에서 비롯한 것이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右 實실明명倫륜이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이 우 人倫륜 규 염글우니라 주002)
염글우니라:
여물게 함이라. ‘염글우니라’의 기본형은 ‘염글다’인데 사동의 선어말 어미 ‘-우-’와 서술형 어미 ‘-니라’가 통합된 형임.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이상의 것은 인륜을 밝힘을 여물게 함이라.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飜번譯역小쇼學 卷권之지九구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번역소학 제9권.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지븨 뫼화 드리것과:집에 모아 들이는 것과. ‘뫼화’의 기본형은 ‘뫼호다’이고 부사형 어미 ‘-아’가 통합된 형임.
주002)
염글우니라:여물게 함이라. ‘염글우니라’의 기본형은 ‘염글다’인데 사동의 선어말 어미 ‘-우-’와 서술형 어미 ‘-니라’가 통합된 형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