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9권
  • 외편(外篇)○제6편 선행(善行)○실명륜(實明倫)
  • 유공작(柳公綽)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유공작(柳公綽) 2


中듕門문東동애 有유小쇼齋니 自非비朝됴謁알之지日일인댄 每平평旦됴[단]애 輒텹出츌至지小쇼齋더니 諸졔子 仲듕郢녕이 皆

번역소학 권9:101ㄴ

束속帶야 晨신省셩於어中듕門문之지北븍더라 公공綽쟉이 決결私事며 接졉賓빈客고 與여弟뎨公공權권及급群군從죵弟뎨로 再會회食식야 自旦됴[단]至지莫[暮]모히 不블離리小쇼齋더니 觸쵹至지則즉命명一일人인子弟뎨야 執집經경史야 躬궁讀독一일過일訖흘고 乃내講강議의居거官관治티官관之지法법며 或혹論론文문며 或혹 聽텽琴금다가 至지人이定뎡鐘죵然연後후에 歸귀寢침이어든

번역소학 권9:102ㄱ

諸졔子ㅣ 復부昏혼定뎡於어中듕門문之지北븍더니 凡범二이十십餘여年년이로 未미嘗상一일日일變변易역더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듕문 동녀긔 져근 별실이 이시니 주001)
져근 별실이 이시니:
작은 서재가 있으니. ‘져근’은 기본형이 ‘젹다’인데 매개모음 ‘-으-’와 관형형 어미 ‘-ㄴ’이 통합된 형임.
됴회 아닌 나리어 일 아마다 믄득 별실에 가더니 아 仲듕郢녕히 다 여 새배 듕문 뒤희 가 주002)
다 여 새배 듕문 뒤희 가:
다 관대를 하고 새벽에 중문 뒤에 가서. 자음 첨가를 거치면서 ‘새배〉새벽’으로 굳어졌다. ‘듕문’은 구개음화와 단모음화를 거치면서 ‘듕문〉즁문〉중문’이 되었다.
문안더라 公공綽쟉이 지븨 일 분간며 손 졉고 아 公공權권과 모 촌 아려 다시 모다 음식 머거 아브터 나죄 니

번역소학 권9:102ㄴ

히 그 별실의 나디 아니 더니 블혀 오나  뎨 시켜  잡펴 친히 번 내 닑고 공홀 일와 집 다릴 법을 이론며 혹 글 의론며 혹 거믄고 듣다가 인뎡 붑 틴 후에 잘  니거 모 아히  듕문 뒤희 가 자실 이를 올히 야 펴난히 자시게 더니 믈읫 그리 호믈 스므 나믄 로 도 고티디 아니 더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중문(中門) 동쪽에 작은 서재가 있었다. 조회가 없는 날이면 매일 아침마다 문득 별실로 나갔다. 여러 자식들과 중영(仲郢)이 모두 의관을 차려입고 중문 북쪽에서 문안 인사를 올렸다. 유공작이 집안일을 처리하고, 손님을 접대하고, 아우 공권(公權)과 모든 사촌 아우들과 함께 다시 모여 식사를 하며 아침부터 저녁까지 서재를 떠나지 않았다. 저녁 때 촛불을 가져오면 한 아들을 시켜 책을 잡게 하며 몸소 한번 읽고 나서 공직의 일과 집안 다스리는 도리를 말했다. 어떤 때는 글을 논하고 혹 거문고를 듣다가 인정의 북소리가 들린 뒤에야 잠자리에 들었다. 그러면 자식들은 중문 북쪽에서 다시 밤 문안 인사를 드렸다. 이렇게 이십여 년을 했지만, 하루도 바뀌는 적이 없었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져근 별실이 이시니:작은 서재가 있으니. ‘져근’은 기본형이 ‘젹다’인데 매개모음 ‘-으-’와 관형형 어미 ‘-ㄴ’이 통합된 형임.
주002)
다 여 새배 듕문 뒤희 가:다 관대를 하고 새벽에 중문 뒤에 가서. 자음 첨가를 거치면서 ‘새배〉새벽’으로 굳어졌다. ‘듕문’은 구개음화와 단모음화를 거치면서 ‘듕문〉즁문〉중문’이 되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