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6권
  • 외편(外篇)○가언(嘉言)○광입교(廣立敎)
  • 유빈(柳玭) 4
메뉴닫기 메뉴열기

유빈(柳玭) 4


其기三삼은 勝己긔者쟈을 厭염之지고 佞령己긔者쟈 悅열之지야 唯유樂요戱희談담고 莫막思古고道도야 聞문人之지善션고 嫉질之지며 聞문人之지惡악고 揚之지야 浸침漬頗파僻벽야 銷쇼刻德덕義의면 簪裾거徒도在 廝(시)養何하殊슈ㅣ리오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그 세 저두군 더으니 주001)
저두군 더으니:
저보다 나은 이를. ‘두곤’의 기본형은 ‘-도곤’인데 소리가 변이하였다. ‘더으니’의 기본형은 ‘더으다’이고 여기에 의존명사 ‘이’가 통합되었다.
아쳐러고 저 아니 주002)
아니:
아첨하는 이를. 기본형은 ‘아다’이고 여기에 의존명사 ‘이’가 통합, 연음된 형임.
깃거 오직 노샛 말 주003)
노샛말:
농담의 말.
요 즐기

번역소학 권6:19ㄱ

고 녯 도리 호 아니야 사 어디로므란 주004)
어디로므란:
어질다 함을. 기본형은 ‘어딜다’인데 명사형 어미와 절대격 조사 ‘-으란’이 통합된 것임.
듣고 믜여고 사 사오나온 일란 듣고 베퍼 내여 브고 주005)
브고:
바르지 않고. ‘브졍(不正)’은 원순모음화와 단모음화에 따라서 ‘브졍〉부정’으로 소리가 변하였다.
샤특 듸 졈졈 믈 젓 야 어딘 덕을 노기며 리면 의관 야신 과 주006)
과:
하인과. 단모음화에 따라서 ‘죵〉종’을 소리가 변하였다.
엇디 다리오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그 셋은, 자기보다 나은 사람을 싫어하고 자기에게 아첨하는 이를 기꺼이 하여 오직 농담하기만을 즐기고 옛 도리를 사랑하지 아니하여, 사람의 어짊을 듣고 미워하고 사람의 사나운 일만을 듣기를 힘써 바르지 않고 사악한 데 점점 물에 젖어들 듯이 하여 어진 덕을 없이 하면, 의관을 차려 입은들 종과 어찌 다르겠는가.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저두군 더으니:저보다 나은 이를. ‘두곤’의 기본형은 ‘-도곤’인데 소리가 변이하였다. ‘더으니’의 기본형은 ‘더으다’이고 여기에 의존명사 ‘이’가 통합되었다.
주002)
아니:아첨하는 이를. 기본형은 ‘아다’이고 여기에 의존명사 ‘이’가 통합, 연음된 형임.
주003)
노샛말:농담의 말.
주004)
어디로므란:어질다 함을. 기본형은 ‘어딜다’인데 명사형 어미와 절대격 조사 ‘-으란’이 통합된 것임.
주005)
브고:바르지 않고. ‘브졍(不正)’은 원순모음화와 단모음화에 따라서 ‘브졍〉부정’으로 소리가 변하였다.
주006)
과:하인과. 단모음화에 따라서 ‘죵〉종’을 소리가 변하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