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역주 번역소학 권6·7·8·9·10
  • 번역소학 제6권
  • 외편(外篇)○가언(嘉言)○광입교(廣立敎)
  • 서적(徐積) 1
메뉴닫기 메뉴열기

서적(徐積) 1


節졀孝효 徐셔先션生이 訓훈學者쟈 曰

번역소학 권6:32ㄱ

왈 諸졔君군이 欲욕爲위君군子而使勞로己긔之지力력며 費비己긔之지財인댄 如여此而不블爲위君군子 猶유可가也야ㅣ어니와 不블勞로己긔之지力력며 不블費비己긔之지財호 諸졔君군은 何하不블爲위君군子오 鄕人이 賤쳔之지고 父부母모ㅣ 惡오之지인댄 如여此而不블爲위君군子는 猶유可가也야ㅣ어니와 父부母모ㅣ 欲욕之지고 鄕人이 榮之지어든 諸졔君군은 何하不블爲위

번역소학 권6:32ㄴ

君군子오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節졀孝효 徐셔先션生 주001)
절효(節孝) 서선생(徐先生):
서절효(徐節孝) 선생은 북송시대 유학자. 산양인 출신이며 이름은 적(積), 자는 중거(仲車). 시호는 절효처사(節孝處士). 효자로 널리 알려졌으며, 벼슬은 초주교수(楚州敎授)에 이르렀다. 저서에 절효어록(節孝語錄), 절효집(節孝集) 등이 있다.
이 호 사을 쳐 로 그네 어딘 사이 되오져 호매 제 힘을 잇브게 주002)
잇브게:
고단하게. 기본형은 ‘잇브다’인데 부사형 어미가 통합된 형임.
며 제 쳔 해자 거시면 어딘 사 도의디 아니호미 오히려 可가커니와 제 힘 잇브디 아니며 제 쳔 해자 아니 거시로 주003)
쳔 해자 아니 거시로:
재산을 해치지 않되. ‘쳔’은 재산을 가리킨다.
그내 엇뎨 어딘 사 도의디 아니니오  사미 쳔히 너기며 父부母모ㅣ 아쳗비 주004)
아쳗비:
싫어하여. 기본형은 ‘아쳗다’인데 부사화 어미 ‘-이’가 통합되어 굳어진 형임.
너기면 어딘 사미 도의디 아니호

번역소학 권6:33ㄱ

미 오히려 可가키니와 父부母모ㅣ 어딜와뎌 며  사미 빗내 너기거든 그내 엇뎨 어딘 사미 도의디 아니뇨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절효 서선생이 배우는 사람을 가르쳐 말하기를, 그대들은 어진 사람이 되고자 함에 제 힘이 지칠 때까지 하며 제 재산을 쓰더라도 어진 사람이 되지 않음이 오히려 좋다. 제 힘은 고단하지 않고 제 재산도 쓰지 않으면서 그대들이 어찌 어진 사람이 되리오. 마을 사람이 천하게 여기며 부모가 싫어하면 어진 사람이 되지 않음이 오히려 옳거니와 부모가 어질고자 하며 마을 사람이 영광으로 여기거든 그대들이 어찌 어진 사람이 되지 않으리오.
Ⓒ 역자 | 정호완 / 2011년 3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절효(節孝) 서선생(徐先生):서절효(徐節孝) 선생은 북송시대 유학자. 산양인 출신이며 이름은 적(積), 자는 중거(仲車). 시호는 절효처사(節孝處士). 효자로 널리 알려졌으며, 벼슬은 초주교수(楚州敎授)에 이르렀다. 저서에 절효어록(節孝語錄), 절효집(節孝集) 등이 있다.
주002)
잇브게:고단하게. 기본형은 ‘잇브다’인데 부사형 어미가 통합된 형임.
주003)
쳔 해자 아니 거시로:재산을 해치지 않되. ‘쳔’은 재산을 가리킨다.
주004)
아쳗비:싫어하여. 기본형은 ‘아쳗다’인데 부사화 어미 ‘-이’가 통합되어 굳어진 형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