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 권상
  • 제5 비파사나송(毗婆舍那頌)
  • 제5 비파사나송 033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5 비파사나송 033


何以故오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엇뎨어뇨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어째서인가?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徵起境과 智왜 無邊시고 下애 引前文샤 通釋

선종영가집언해 상권:117ㄱ

시고 其次애 別申샤 妨難시니 欲顯境智의 玄微시니라 問호 無情說法에 還立主伴가 否아 若立면 益相은 云何ㅣ며 不立면 說義 安在오 答호 文이 在下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境과 智왜  업슨  무러 주001)
무러:
물어. 묻-[問]+어. ‘묻-’은 ㄷ변칙활용.
니와시고 주002)
니와시고:
일으키시고. 닐-[起]+(사동접미사)+왇(강세접미사)+()시+고. 〉왇.
아래 알 그를 샤 주003)
샤:
끌어오시어. -[引]+시+아.
通히 사기시고 버구매 주004)
버구매:
그 다음에. 벅-[次]+우+ㅁ+애.
各別히 펴샤 詰難 주005)
힐난(詰難):
트집을 잡아 비난함.
 마시니 境과 智의 기프며 微妙호 나토려 주006)
나토려:
나타내려. 낱-[顯]+오(사동접미사)+려.
시니라 무로 無情說法 주007)
무정설법(無情說法):
감정이 없는 무정물에게도 각각 그 본분에 있어서는 설법할 뜻이 있음을 의미하는 말.
에  주008)
주(主):
주체자.
주009)
반(伴):
상대자.
셔려 주010)
셔려:
서겠는가? 셔-[立]+리(미래시제)+어(의문형어미).
아니려 주011)
아니려:
아니 서겠는가? 아니+∅/이-(영형태서술격조사)+리(미래시제)+어(의문형어미).
다가 셔면 利益 주012)
상(相):
외계(外界)에 나타나 마음의 상상(想像)이 되는 사물의 모양.
엇더며 주013)
엇더며:
어떠하며. 엇더[何]+-(탈락)+며(연결어미).
셔디 아니면 니논 주014)
니논:
이르는바. 말하는바. 니-[說]++오+ㄴ.
든 어듸 잇뇨 對答호 그리 아래 잇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경계와 지혜가 끝없는 줄을 물어 일으키시고, 아래에 앞의 글을 끌어오시어 통하게 새기시고, 그 다음에 각별히 펴시어 힐난을 막으시니, 경계와 지혜의 깊으며 미묘함을 나타내려 하신 것이다. 묻되, “무정설법에 또 주체자와 상대자(의 관계)가 서겠는가, 아니 서겠는가? 만약에 서면 유익한 모양은 어떠하며, 서지 아니하면 말하는바 뜻은 어디에 있는가?” 대답하되, “글이 아래에 있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무러:물어. 묻-[問]+어. ‘묻-’은 ㄷ변칙활용.
주002)
니와시고:일으키시고. 닐-[起]+(사동접미사)+왇(강세접미사)+()시+고. 〉왇.
주003)
샤:끌어오시어. -[引]+시+아.
주004)
버구매:그 다음에. 벅-[次]+우+ㅁ+애.
주005)
힐난(詰難):트집을 잡아 비난함.
주006)
나토려:나타내려. 낱-[顯]+오(사동접미사)+려.
주007)
무정설법(無情說法):감정이 없는 무정물에게도 각각 그 본분에 있어서는 설법할 뜻이 있음을 의미하는 말.
주008)
주(主):주체자.
주009)
반(伴):상대자.
주010)
셔려:서겠는가? 셔-[立]+리(미래시제)+어(의문형어미).
주011)
아니려:아니 서겠는가? 아니+∅/이-(영형태서술격조사)+리(미래시제)+어(의문형어미).
주012)
상(相):외계(外界)에 나타나 마음의 상상(想像)이 되는 사물의 모양.
주013)
엇더며:어떠하며. 엇더[何]+-(탈락)+며(연결어미).
주014)
니논:이르는바. 말하는바. 니-[說]++오+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