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서문
  • 선종영가집 서(禪宗永嘉集序)
  • 선종영가집 서 025
메뉴닫기 메뉴열기

선종영가집 서 025


淺深心要ㅣ 貫花ㅣ 慙潔이로다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녀트며 주001)
녀트며:
얕으며. 녙-[淺]+(으)며.
기픈  宗要 주002)
종요(宗要):
핵심.
貫花 주003)
관화(貫花):
꿰어 놓은 꽃. 꽃다발.
ㅣ 주004)
관화(貫花)ㅣ:
관화이야. 관화+ㅣ(주격조사)+(강세보조사). ‘-’가 여기에서는 주격조사 뒤에 쓰임.
조호 주005)
조호:
깨끗함을. 좋-[潔]+오+ㅁ+.
붓그리리로다 주006)
붓그리리로다:
부끄러워하리로다. 부끄러워할 것이다. 붓그리-[慙]+ㄹ+이+로/도+다. ‘-도-’는 서술격조사 뒤에서 ‘-로-’로 바뀜. ‘-리-’는 ‘ㄹ(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로 재분석됨.
【貫花 五天 주007)
오천(五天):
오천축국. 인도.
俗法 주008)
속법(俗法):
풍속.
에 草木 고 실로 여 주009)
여:
꿰어. -[貫]+어. ‘어→여’의 교체는 ㅣ모음순행동화.
몸과 머리예 莊嚴니라 주010)
장엄(莊嚴)니라:
장식하는 것이다. 장엄-[莊嚴]++ㄴ+이+∅/이-(영형태서술격조사)+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얕으며 깊은 마음의 종요(宗要)로운 것은 관화야〈말로〉 깨끗함을 부끄러워할 것이다.【관화는 인도 풍속에 초목의 꽃을 실로 꿰어 몸과 머리에 장식하는 것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十篇深淺이 俱爲行者之要津이니 一理融通호미 比勝貫花之錯落이로다 有以貫花로 指經니 未之可也ㅣ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十篇 주011)
십편(十篇):
영가대사(永嘉大師)의 글. 〈서16ㄱ〉을 참조.
深淺 주012)
심천(深淺):
얕고 깊음.
이 다 行 싸 조왼 주013)
조왼:
종요로운.
이니 주014)
이니:
나루이니. [津]+이-+니. 끝 음절이 ‘/르’인 명사의 비자동적 교체. 즉 휴지나 자음 앞에서는 ‘’가, 모음 앞에서는 ‘’이 쓰임.
一理 노가 通호미 가비건댄 貫花 빗나매 주015)
빗나매:
빛남보다. 빛+나-[錯落]+ㅁ+애(비교부사격조사). ‘빛-→빗-’은 8종성 표기법.
더으도다 주016)
더으도다:
더하도다. 더 낫도다. 더으-[勝, 可]+도+다. ‘더으-→더-’는 파생접미사 ‘--’에 유추됨.
貫花로 經이라 치

선종영가집언해 서:11ㄴ

주017)
치리:
가리키는 이가. 치-[指]+ㄹ(관형형어미)+이(의존명사)+∅/이(영형태주격조사). ‘치-’는 [敎] 또는 [指] 두 가지 의미로 쓰임.
잇니 올티 몯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십편의 깊고 얕음이 다 수행자의 종요로운 나루이니, 한 진리가 녹아 통함(융통함)이 비유하건댄 관화의 빛남보다 더하도다(더 낫도다). 관화로서 경(經)이라고 가리키는 이가 있는데 옳지 못하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녀트며:얕으며. 녙-[淺]+(으)며.
주002)
종요(宗要):핵심.
주003)
관화(貫花):꿰어 놓은 꽃. 꽃다발.
주004)
관화(貫花)ㅣ:관화이야. 관화+ㅣ(주격조사)+(강세보조사). ‘-’가 여기에서는 주격조사 뒤에 쓰임.
주005)
조호:깨끗함을. 좋-[潔]+오+ㅁ+.
주006)
붓그리리로다:부끄러워하리로다. 부끄러워할 것이다. 붓그리-[慙]+ㄹ+이+로/도+다. ‘-도-’는 서술격조사 뒤에서 ‘-로-’로 바뀜. ‘-리-’는 ‘ㄹ(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로 재분석됨.
주007)
오천(五天):오천축국. 인도.
주008)
속법(俗法):풍속.
주009)
여:꿰어. -[貫]+어. ‘어→여’의 교체는 ㅣ모음순행동화.
주010)
장엄(莊嚴)니라:장식하는 것이다. 장엄-[莊嚴]++ㄴ+이+∅/이-(영형태서술격조사)+라.
주011)
십편(十篇):영가대사(永嘉大師)의 글. 〈서16ㄱ〉을 참조.
주012)
심천(深淺):얕고 깊음.
주013)
조왼:종요로운.
주014)
이니:나루이니. [津]+이-+니. 끝 음절이 ‘/르’인 명사의 비자동적 교체. 즉 휴지나 자음 앞에서는 ‘’가, 모음 앞에서는 ‘’이 쓰임.
주015)
빗나매:빛남보다. 빛+나-[錯落]+ㅁ+애(비교부사격조사). ‘빛-→빗-’은 8종성 표기법.
주016)
더으도다:더하도다. 더 낫도다. 더으-[勝, 可]+도+다. ‘더으-→더-’는 파생접미사 ‘--’에 유추됨.
주017)
치리:가리키는 이가. 치-[指]+ㄹ(관형형어미)+이(의존명사)+∅/이(영형태주격조사). ‘치-’는 [敎] 또는 [指] 두 가지 의미로 쓰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