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서문
  • 선종영가집 서(禪宗永嘉集序)
  • 선종영가집 서 010
메뉴닫기 메뉴열기

선종영가집 서 010


孤標靈鷲之英시며 獨負成麟之業者 其唯大師歟ㅣ신뎌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靈鷲 주001)
영취(靈鷲):
그리드라쿠타의 번역. 고대 인도의 지명. 영취산(靈鷲山), 영산(靈山).
주002)
영(英):
영웅.
오 주003)
오:
홀로. 혼자. [獨]〉오〉오아. 한편으로 ‘오〉호〉호자〉혼자’의 변천형태도 있음.
드르시며 주004)
드르시며:
표방하시며. 들-[標]+(으)시+며.
成麟 주005)
성린(成麟):
‘린(麟)’은 기린. 기린은 상서로운 동물로 ‘성린’은 거룩한 사업을 이루게 되는 조짐.
주006)
업(業):
행위(行爲), 조작(造作), 작용(作用), 소작(所作) 등을 뜻함. 모든 업은 과보(果報)를 낳게 되며, 인과의 법칙은 어김없기 때문에 선업에는 낙과(樂果)가, 악업에는 고과(苦果)가 따르는 것은 피할 수 없다는 것이 업 사상의 핵심임.
을 오 맛시닌 주007)
맛시닌:
맡으신 분은. -[負]+()시+ㄴ(관형형전성어미)+이(의존명사)+ㄴ(보조사).
오직 大師ㅣ신뎌 주008)
대사(大師)ㅣ신뎌:
대사이시도다. 대사+ㅣ-(서술격조사)+시+ㄴ뎌(감탄형종결어미). ‘-ㄴ뎌’는 기원적으로는 ‘ㄴ+(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어(종결어미)’.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영취산의 영웅을 홀로 표방하시며 성린할 업을 홀로 맡으신 이는 오직 대사이시도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此애 摠歎고 下애 別歎오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이 모도아 주009)
모도아:
모아. 몯-[摠]+오(사동접미사)+아.
讚歎고 아래 주010)
아래:
아래에. 아래[下]+∅/예(영형태부사격조사).
화 주011)
화:
나누어. 호-[分]+아.
讚歎오니라 주012)
찬탄(讚歎)오니라:
찬탄하셨다. -[爲]++()니+라→니라〉오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여기에 모아(총괄적으로) 찬탄하고 아래에 〈따로따로〉 나누어 찬탄하였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영취(靈鷲):그리드라쿠타의 번역. 고대 인도의 지명. 영취산(靈鷲山), 영산(靈山).
주002)
영(英):영웅.
주003)
오:홀로. 혼자. [獨]〉오〉오아. 한편으로 ‘오〉호〉호자〉혼자’의 변천형태도 있음.
주004)
드르시며:표방하시며. 들-[標]+(으)시+며.
주005)
성린(成麟):‘린(麟)’은 기린. 기린은 상서로운 동물로 ‘성린’은 거룩한 사업을 이루게 되는 조짐.
주006)
업(業):행위(行爲), 조작(造作), 작용(作用), 소작(所作) 등을 뜻함. 모든 업은 과보(果報)를 낳게 되며, 인과의 법칙은 어김없기 때문에 선업에는 낙과(樂果)가, 악업에는 고과(苦果)가 따르는 것은 피할 수 없다는 것이 업 사상의 핵심임.
주007)
맛시닌:맡으신 분은. -[負]+()시+ㄴ(관형형전성어미)+이(의존명사)+ㄴ(보조사).
주008)
대사(大師)ㅣ신뎌:대사이시도다. 대사+ㅣ-(서술격조사)+시+ㄴ뎌(감탄형종결어미). ‘-ㄴ뎌’는 기원적으로는 ‘ㄴ+(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어(종결어미)’.
주009)
모도아:모아. 몯-[摠]+오(사동접미사)+아.
주010)
아래:아래에. 아래[下]+∅/예(영형태부사격조사).
주011)
화:나누어. 호-[分]+아.
주012)
찬탄(讚歎)오니라:찬탄하셨다. -[爲]++()니+라→니라〉오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