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 권상
  • 제3 정수삼업(淨修三業)
  • 제3 정수삼업 044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3 정수삼업 044


二者 宮商이 淸雅야 令諸聞者로 愛樂受習게 

선종영가집언해 상권:48ㄱ

시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둘흔 宮商이 淸雅야【宮과 商과 音樂 소리라】 드르리로 주001)
드르리로:
듣는 사람들로 하여금. 듣-[聞]+을+이[者]+ㅎ(복수화접미사)+로.
즐겨 바다 니기게 주002)
니기게:
익히게. 니기-[習]+게. ‘니기-’는 ‘닉-[熟]+이(사동접미사)’에 의한 파생어임.
씨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둘은 궁상(宮商)이 청아하여 【궁(宮)과 상(商)은 음악 소리다.】 듣는 사람들로 하여금 즐겨 받아 익히게 하는 것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迅辯이 懸河建瓴이라 不遲訥故ㅣ라 建瓴은 漢書에 建瓴水ㅣ라 니 音은 蹇令이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리 말 잘 호미 河 며 甁 셰욘 주003)
셰욘:
세운. 셔-[立]+이(사동접미사)+요/오+ㄴ.
혼디라 주004)
혼디라:
듯한 것이라서. +-+오+ㄴ++이-+라.
遲鈍티 아니 젼라 建瓴 주005)
건령(建瓴):
물병의 물을 옥상에서 쏟는다는 뜻으로 거칠 것이 없음을 의미함. 한서의 고제기주(高帝紀注)에 “영(瓴)은 물을 가득 담은 병으로서 이것을 높은 지붕 위에서 거꾸로 쏟으면 그 물이 아래로 내려가는 기세가 매우 쉽다”고 함.
漢書 주006)
한서(漢書):
중국 전한 고조에서 왕망까지 229년간의 역사를 기록한 책. 반표(班彪)가 시작, 반고(班固)가 집대성함. 기전체로 12제기(帝記)·8표(表)·10지(志)·70열전(列傳)으로 되었으며 총 120권.
에 甁엣 므를 셰요미라 니 音은 蹇令이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빨리 말을 잘 하는 것이 하천을 달며 병을 세운 듯한 것이라서 느리거나 우둔하지 아니한 까닭이다. 건령은 ≪한서≫에 ‘병에 있는 물을 세우는 것’이라 하니 발음은 건령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드르리로:듣는 사람들로 하여금. 듣-[聞]+을+이[者]+ㅎ(복수화접미사)+로.
주002)
니기게:익히게. 니기-[習]+게. ‘니기-’는 ‘닉-[熟]+이(사동접미사)’에 의한 파생어임.
주003)
셰욘:세운. 셔-[立]+이(사동접미사)+요/오+ㄴ.
주004)
혼디라:듯한 것이라서. +-+오+ㄴ++이-+라.
주005)
건령(建瓴):물병의 물을 옥상에서 쏟는다는 뜻으로 거칠 것이 없음을 의미함. 한서의 고제기주(高帝紀注)에 “영(瓴)은 물을 가득 담은 병으로서 이것을 높은 지붕 위에서 거꾸로 쏟으면 그 물이 아래로 내려가는 기세가 매우 쉽다”고 함.
주006)
한서(漢書):중국 전한 고조에서 왕망까지 229년간의 역사를 기록한 책. 반표(班彪)가 시작, 반고(班固)가 집대성함. 기전체로 12제기(帝記)·8표(表)·10지(志)·70열전(列傳)으로 되었으며 총 120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