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서문
  • 선종영가집 서(禪宗永嘉集序)
  • 선종영가집 서 038
메뉴닫기 메뉴열기

선종영가집 서 038


嗚呼哀哉라 痛纏心腑호니 所嗟 一方眼이 滅시니 七衆이 何依리오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주001)
:
아(감탄사).
슬프다 셜우믈 주002)
셜우믈:
서러움을. -[哀]+우+ㅁ+을→셜믈〉셜우믈.
매 얼규니 주003)
얼규니:
얽어매니. 얽-[纏]+이(사동접미사)+우+니.
슬푸믄 주004)
슬푸믄:
슬픔은. 슬픈 것은. 슲-[嗟]+우+ㅁ+은.
一方 주005)
일방(一方):
한 방편.
누니 滅

선종영가집언해 서:15ㄴ

시니 七衆 주006)
칠중(七衆):
부처님의 제자를 7종으로 나눈 것. 출가한 비구·비구니 및 재가의 식타마나·사미·사미니·우바색·우바이.
어듸 주007)
어듸:
어디에. 어듸+∅/예(영형태부사격조사).
브트리오 주008)
브트리오:
의지하겠는가? 븥-[依]+(으)리+오(의문형종결어미).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아, 슬프다. 서러움을 마음에 얽어매니, 슬픔은(으로) 한 방편의 눈이 멸하시니(멸한 것이니) 칠중이 어디에 의지하겠는가?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出俗五와 在俗二니 法數에 備矣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俗애 주009)
속(俗)애:
세속에서. 세속에. ‘-애’는 [처소]와 [출발점]에 다 쓰임. 여기에는 ‘俗애’가 두 번 등장하는데, ‘俗애 나니’의 ‘-애’는 [출발점]을, ‘俗애 잇니’의 ‘-애’는 [처소]를 나타낸다.
나니 주010)
나니:
벗어난 사람. 나-[出]+ㄴ+이(의존명사).
다과 俗애 잇니 주011)
잇니:
있는 사람. 잇-[有]++ㄴ+이.
둘히니 法數 주012)
법수(法數):
법문(法門)의 수(數). 또는 숫자로 표시한 법문. ‘법문’은 교법. ‘법’은 중생을 열반에 들게 하는 문이므로 이렇게 부름.
니라 주013)
니라:
갖추어져 있느니라. -[具](형용사)+()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속에서 벗어난 이 다섯(오중)과 속에 있는 이 둘(이중)이니 법수에 갖추어져 있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아(감탄사).
주002)
셜우믈:서러움을. -[哀]+우+ㅁ+을→셜믈〉셜우믈.
주003)
얼규니:얽어매니. 얽-[纏]+이(사동접미사)+우+니.
주004)
슬푸믄:슬픔은. 슬픈 것은. 슲-[嗟]+우+ㅁ+은.
주005)
일방(一方):한 방편.
주006)
칠중(七衆):부처님의 제자를 7종으로 나눈 것. 출가한 비구·비구니 및 재가의 식타마나·사미·사미니·우바색·우바이.
주007)
어듸:어디에. 어듸+∅/예(영형태부사격조사).
주008)
브트리오:의지하겠는가? 븥-[依]+(으)리+오(의문형종결어미).
주009)
속(俗)애:세속에서. 세속에. ‘-애’는 [처소]와 [출발점]에 다 쓰임. 여기에는 ‘俗애’가 두 번 등장하는데, ‘俗애 나니’의 ‘-애’는 [출발점]을, ‘俗애 잇니’의 ‘-애’는 [처소]를 나타낸다.
주010)
나니:벗어난 사람. 나-[出]+ㄴ+이(의존명사).
주011)
잇니:있는 사람. 잇-[有]++ㄴ+이.
주012)
법수(法數):법문(法門)의 수(數). 또는 숫자로 표시한 법문. ‘법문’은 교법. ‘법’은 중생을 열반에 들게 하는 문이므로 이렇게 부름.
주013)
니라:갖추어져 있느니라. -[具](형용사)+()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