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 권상
  • 제3 정수삼업(淨修三業)
  • 제3 정수삼업 017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3 정수삼업 017


선종영가집언해 상권:34ㄴ

銅柱鐵牀애 燋背爛腸야 血肉이 麋潰야 痛徹心髓니 作如是觀면 唯苦無樂이로다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구리 주001)
긷:
기둥. 긷+옹/웅(파생접미사).
과 쇠 牀애 이 누르며 주002)
누르며:
타며. 눋-[燋]+(으)며. ㄷ변칙활용.
주003)
애:
창자.
믈어 주004)
믈어:
물러. 므르-[爛]+어(르변칙활용). 므르-〉무르-. 원순모음화.
피와 쾌 헤여디여 알포미 주005)
알포미:
아픔이. 앓-[痛]+/브(형용사화접미사)+오+ㅁ+이→알-[痛]+오+ㅁ+이→알포미.
과 骨髓예 니 주006)
니:
사무치니. -[徹]++니.
이 티 觀면 오직 苦ㅣ오 樂이 업도다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구리 기둥과 쇠 침상에 등이 누르며 창자가 물러 피와 살이 헤지며 아픔이 마음과 골수에 사무치니 이와 같이 관(觀)하면 오직 고통이고 즐거움이 없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無常經에 云샤 常求於欲境고 不行於善事ㅣ라 시니 故令行者로 常思來報야 止息邪心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無常經 주007)
무상경(無常經):
≪무상삼계경≫ 또는 ≪삼계경≫이라고도 함. 노(老)·병(病)·사(死)를 면하고자 한 것을 설명한 책으로 당나라 의정(義淨)이 번역함. 전 1권.
에 니샤 녜 欲境 주008)
욕경(欲境):
탐욕의 경계.
 求고 善事 行티 아니다 시니 그럴 行리로 주009)
행(行)리로:
수행할 사람으로(하여금). 행(行)+-+ㄹ+이[者]+로.
녜 오 주010)
보(報):
인과응보. 보통 ‘보(報)’는 ‘연(緣)’에 대하고 ‘과(果)’는 ‘인(因)’에 대하여 말하나, 보와 과를 구별하지 않고 단지 보라고도 함.
 야 邪心을 그치게 시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무상경≫에 이르시되, “늘 탐욕의 경계를 구하고 좋은 일을 행하지 아니한다.” 하시니, 그러므로 수행할 사람으로 하여금 늘 오는 업보를 생각하여 사악한 마음을 그치게 하셨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긷:기둥. 긷+옹/웅(파생접미사).
주002)
누르며:타며. 눋-[燋]+(으)며. ㄷ변칙활용.
주003)
애:창자.
주004)
믈어:물러. 므르-[爛]+어(르변칙활용). 므르-〉무르-. 원순모음화.
주005)
알포미:아픔이. 앓-[痛]+/브(형용사화접미사)+오+ㅁ+이→알-[痛]+오+ㅁ+이→알포미.
주006)
니:사무치니. -[徹]++니.
주007)
무상경(無常經):≪무상삼계경≫ 또는 ≪삼계경≫이라고도 함. 노(老)·병(病)·사(死)를 면하고자 한 것을 설명한 책으로 당나라 의정(義淨)이 번역함. 전 1권.
주008)
욕경(欲境):탐욕의 경계.
주009)
행(行)리로:수행할 사람으로(하여금). 행(行)+-+ㄹ+이[者]+로.
주010)
보(報):인과응보. 보통 ‘보(報)’는 ‘연(緣)’에 대하고 ‘과(果)’는 ‘인(因)’에 대하여 말하나, 보와 과를 구별하지 않고 단지 보라고도 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