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 권상
  • 제3 정수삼업(淨修三業)
  • 제3 정수삼업 032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3 정수삼업 032


身著衣服호 如裹癰瘡며 口飡滋味호 如病服藥야 節身儉口야 不生奢泰며 聞說少欲고 深樂脩行호리니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모매 오 니부 주001)
니부:
입되. 닙-[著]+우+.
긔 리 주002)
리:
동여매듯. 꾸리듯. 리-[裹]+.
며 이베 마 머구 病에 藥 먹 야 모매 저즈리며 주003)
저즈리며:
절제하며. 저즈리-[節制]+며.
이베 져기 주004)
져기:
적게. 젹-[少]+이(부사화접미사).
야 奢侈 내디 아니며 欲 져굼 니거든 듣고 닷가 行호 기피 즐교리니 주005)
즐교리니:
즐겨야 하리니. 즐기-[樂]+오+리+니.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몸에 옷을 입되 종기를 동여매듯 하며, 입에 맛(있는 음식)을 먹되 병에 약을 먹듯 하여, 몸에 절제하며 입에 적게 하여 사치를 내지 아니하며, 욕심이 적기를 말하거든, 듣고 닦아 행함을 깊이 즐겨야 하리니,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

선종영가집언해 상권:43ㄱ

著衣喫食에 作觀야 對治홀디니 若不如然면 摠成負債리라 善見論애 云샤 受施之時예 必須作念홀디니 不作면 得罪야 負人의 信施리라 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옷 니브며 밥 머구매 觀 지 對治 주006)
대치(對治):
상대하여 다스림.
홀띠니 다가 그러티 아니면 다 빋쥬미 주007)
빋쥬미:
빚짐이. 빚지는 것이. 빋+지-[負債]+우+ㅁ+이.
외리라 善見論 주008)
선견론(善見論):
≪선견율비바사(善見律毘婆沙)≫의 다른 이름. ≪소승율부오론≫ 가운데 하나이고 ≪사분율≫에 대한 해석서로서 제나라 승가발타라(僧伽跋陀羅)가 번역함. 총 18권.
애 니샤 布施 바 쩨 모로매 念을 지리니 짓디 아니면 罪 어더  信施 주009)
신시(信施):
신앙심이 발동하여 남에게 은혜를 베풂.
지리라 주010)
지리라:
빚지리라. 지-[負]+리+라.
시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옷 입으며 밥 먹음에 관(觀)을 지어 대치해야 할 것이니 만약에 그렇지 아니하면 다 빚짐이 될 것이다. ≪선견론≫에 이르시되, “보시 받을 때 모름지기 ‘염(念)’을 지어야 할 것이니 짓지 아니하면 죄를 얻어 남의 신시(信施)를 빚지리라.” 하셨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니부:입되. 닙-[著]+우+.
주002)
리:동여매듯. 꾸리듯. 리-[裹]+.
주003)
저즈리며:절제하며. 저즈리-[節制]+며.
주004)
져기:적게. 젹-[少]+이(부사화접미사).
주005)
즐교리니:즐겨야 하리니. 즐기-[樂]+오+리+니.
주006)
대치(對治):상대하여 다스림.
주007)
빋쥬미:빚짐이. 빚지는 것이. 빋+지-[負債]+우+ㅁ+이.
주008)
선견론(善見論):≪선견율비바사(善見律毘婆沙)≫의 다른 이름. ≪소승율부오론≫ 가운데 하나이고 ≪사분율≫에 대한 해석서로서 제나라 승가발타라(僧伽跋陀羅)가 번역함. 총 18권.
주009)
신시(信施):신앙심이 발동하여 남에게 은혜를 베풂.
주010)
지리라:빚지리라. 지-[負]+리+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