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 권상
  • 삼정석집문삼 초총표
  • 삼정석집문삼 초총표 030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정석집문삼 초총표 030


事理不二第八이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事理不二 第八이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사리불이(事理不二) 제팔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前明三乘行相이 高下ㅣ 歷然나 未知事理本如리라 奚嘗有二리오 依報則淨穢ㅣ 不二오 正報則生佛이 不二오 通該則自他ㅣ 不二니 此之不二ㅣ 大意ㅣ 在玆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알 三乘 주001)
삼승(三乘):
세 가지 교법. ‘승(乘)’은 부처님의 가르침이 중생을 열반의 언덕에 이르게 하므로 수레와 같다는 데에서 붙인 용어. ①성문승 :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해탈을 얻음. ②연각승 : 스스로 깨달음. ③보살승 : 보살이 법문을 읽고 자기도 해탈하고 남도 해탈하게 함.
行相 주002)
행상(行相):
모습이 드러나게 하는 마음의 작용. 마음이 인지되는 대상에 대해 발생하는 작용의 어떤 상태. ≪구사론≫에서는 마음에 비추어지는 영상, ≪유식학≫에서는 영상을 인식하는 주관의 작용을 말함. 행은 마음이 향하여 가는 것, 상은 그것을 파악하는 것. 모양, 형상, 상태.
기샤미 주003)
기샤미:
밝히심이. -[明]+이(사동접미사)+시+아+ㅁ+이.
高下ㅣ 번득나 주004)
번득나:
뚜렷하나.
事理 주005)
사리(事理):
현실과 진리.
ㅣ 本來 주006)
여(如):
평등하여 차별이 없음.
호 아디 몯리라 엇뎨 둘히 이시리오 依報 주007)
의보(依報):
심신에 따라 존재하는 땅·가옥·의복·식물.
 淨과 穢왜 둘 아니오 正報 주008)
정보(正報):
과거에 지은 업인에 따른 과보로서 부처나 중생의 몸.
 生과 佛왜 둘 아니오 通히 조 주009)
조:
갖춤은. -[該]+오+ㅁ+.

선종영가집언해 상권:12ㄱ

自와 他왜 둘 아니니 이 둘 아니로미 주010)
아니로미:
아님이. 아니(명사)+∅/이-(서술격조사)+로/오+ㅁ+이.
큰 디 이 잇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앞에서 삼승의 행상을 밝히심이 높고 낮음이 뚜렷하나 현실과 진리가 본래 여여한 줄을 알지 못할 것이다. 어찌 둘이 있겠는가? 의보는 깨끗함과 더러움이 둘이 아니고, 정보는 중생과 부처가 둘 아니고, 통틀어 갖춤은 나와 남이 둘 아니니, 이들이 둘 아님이(의) 큰 뜻이 여기에 있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삼승(三乘):세 가지 교법. ‘승(乘)’은 부처님의 가르침이 중생을 열반의 언덕에 이르게 하므로 수레와 같다는 데에서 붙인 용어. ①성문승 :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해탈을 얻음. ②연각승 : 스스로 깨달음. ③보살승 : 보살이 법문을 읽고 자기도 해탈하고 남도 해탈하게 함.
주002)
행상(行相):모습이 드러나게 하는 마음의 작용. 마음이 인지되는 대상에 대해 발생하는 작용의 어떤 상태. ≪구사론≫에서는 마음에 비추어지는 영상, ≪유식학≫에서는 영상을 인식하는 주관의 작용을 말함. 행은 마음이 향하여 가는 것, 상은 그것을 파악하는 것. 모양, 형상, 상태.
주003)
기샤미:밝히심이. -[明]+이(사동접미사)+시+아+ㅁ+이.
주004)
번득나:뚜렷하나.
주005)
사리(事理):현실과 진리.
주006)
여(如):평등하여 차별이 없음.
주007)
의보(依報):심신에 따라 존재하는 땅·가옥·의복·식물.
주008)
정보(正報):과거에 지은 업인에 따른 과보로서 부처나 중생의 몸.
주009)
조:갖춤은. -[該]+오+ㅁ+.
주010)
아니로미:아님이. 아니(명사)+∅/이-(서술격조사)+로/오+ㅁ+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