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 권상
  • 삼정석집문삼 초총표
  • 삼정석집문삼 초총표 010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정석집문삼 초총표 010


淨修三業第三이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三業 조히 주001)
조히:
깨끗이. 깨끗하게. 좋-[淨]+이(부사화접미사).
닷곰 주002)
닷곰:
닦음. -[修]+오+ㅁ.
第三이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삼업을 깨끗하게 닦음 제삼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前戒憍奢ㅣ 略而未細실 此애 明過患샤 廣以方周시니 當知善不可失이며 惡不可長이니 故로 下文에 云샤 善惡報應이 如影隨形이라 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알 憍奢 警戒샤미 주003)
경계(警戒)샤미:
경계+-+시+아+ㅁ+이.
주004)
약(略):
빠뜨림. 소략함.
야 仔細티 몯실 이 주005)
이:
이에. 여기에.
허므를 기

선종영가집언해 상권:5ㄴ

너비 주006)
너비:
널리. 넙-[廣]+이(부사화접미사).
다 시니 주007)
다 시니:
다 밝히시니. ‘-’는 대동사.
善을 일후미 주008)
일후미:
잃음이. 잃-[失]+우+ㅁ+이.
몯리며 주009)
몯리며:
못할 것이며. 몯[不]+-+ㄹ+이+∅/이(영형태서술격조사)+며.
惡 길우미 주010)
길우미:
기름이. 키움이. 길-[長]+우(사동접미사)+ㅁ+이.
몯 주011)
몯:
못할 것을. 몯[不]+-+ㄹㆆ++ㄹ.
반기 아롤띠니 주012)
아롤띠니:
알 것이니. 알-[知]+오+ㄹㆆ++ㅣ+니.
그럴 下文에 니샤 善惡報應호미 그르메 주013)
그르메:
그림자가. 그르메+∅/이(영형태주격조사).
얼굴 주014)
얼굴:
형체. 실체. ‘얼굴’의 의미가 현대국어에서 ‘형체’〉‘낯’으로 의미가 축소됨.
조촘 니라 시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앞에서 교만하고 사치함을 경계하심이 소략하여 자세하지 못하시므로 이에 허물을 밝히시어 널리 다 하시니, 선(善)을 잃어버리지 못할 것이며, 악을 키우지 못할 것을 반드시 알 것이니, 그러므로 아래 글에 이르시되, “선악 보응(報應)함이 그림자가 실체를 좇음과 같다.” 하셨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조히:깨끗이. 깨끗하게. 좋-[淨]+이(부사화접미사).
주002)
닷곰:닦음. -[修]+오+ㅁ.
주003)
경계(警戒)샤미:경계+-+시+아+ㅁ+이.
주004)
약(略):빠뜨림. 소략함.
주005)
이:이에. 여기에.
주006)
너비:널리. 넙-[廣]+이(부사화접미사).
주007)
다 시니:다 밝히시니. ‘-’는 대동사.
주008)
일후미:잃음이. 잃-[失]+우+ㅁ+이.
주009)
몯리며:못할 것이며. 몯[不]+-+ㄹ+이+∅/이(영형태서술격조사)+며.
주010)
길우미:기름이. 키움이. 길-[長]+우(사동접미사)+ㅁ+이.
주011)
몯:못할 것을. 몯[不]+-+ㄹㆆ++ㄹ.
주012)
아롤띠니:알 것이니. 알-[知]+오+ㄹㆆ++ㅣ+니.
주013)
그르메:그림자가. 그르메+∅/이(영형태주격조사).
주014)
얼굴:형체. 실체. ‘얼굴’의 의미가 현대국어에서 ‘형체’〉‘낯’으로 의미가 축소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