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 권상
  • 제1 모도지의(慕道志儀)
  • 제1 모도지의 014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1 모도지의 014


亡身爲法호리니 爲知恩故ㅣ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모 주겨 주001)
법(法):
Dharma. ‘달마(達磨)’라 음역. 자신의 독특한 성품을 가지고 있어 궤범(軌範)이 되어 다른 이에게 일정한 요해(了解)를 내게 하는 것. 부처의 가르침. 물질과 정신 등 일체 만유도 자신의 독특한 성품을 가졌으므로 일체 제법 또는 만법이라 함.
을 爲호리니 주002)
은(恩):
은혜.
아로 爲 젼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몸을 죽여 법을 위해야 하리니 은혜를 앎을(알기) 위한 까닭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法利功深야 粉身思報ㅣ니 涅槃애 云샤 雪山

선종영가집언해 상권:20ㄱ

菩薩이 聞說半偈시고 上樹捨身샤 以報偈價ㅣ라 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法利 주003)
법리(法利):
법의 이로움.
ㅅ 功이 기퍼 모 아 주004)
아:
부수어. -[粉碎]+아.
가포 주005)
가포:
갚-[報]+오+ㅁ+.
홀띠니 涅槃애 니샤 雪山 주006)
설산(雪山):
히말라야 산.
菩薩 주007)
설산보살(雪山菩薩):
설산동자(雪山童子)라고도 함. 석가모니가 과거세에 동자로서 설산에 들어가 불도를 닦던 때의 이름.
半偈 주008)
반게(半偈):
‘게’의 절반. ‘게’의 전체 내용은 제행무상(諸行無常) 시생멸법(是生滅法) 생멸멸이(生滅滅已) 적멸위락(寂滅爲樂). ≪열반경≫ 제14에 기록된 내용. 여래가 과거세에 설산에 들어가 보살행을 닦을 때에 나찰(羅刹)에게서 앞의 반게를 듣고 기뻐서 후반게를 듣고자 하였음. 그러나 나찰이 일러 주지 않자, 몸을 버려 나찰에게 바치기를 약속하고 그것을 마저 들었음. 그래서 ‘설산 반게’, 또는 ‘설산 8자(字)’라고도 함.
닐오 드르시고 남 주009)
남:
나무에. (ㄱ곡용명사)+. 나모+→남.
올아 주010)
올아:
올라. 오-[上]+아. 변칙활용.
모 리샤 偈 갑 갑다 시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법 이로움의 공덕이 깊어 몸을 부수어 갚을 것을 생각할지니, ≪열반경≫에 이르시되, “설산 보살이 반게(半偈) 일러 줌을 들으시고 나무에 올라 몸을 버리시어 게의 값을 갚았다.” 하셨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법(法):Dharma. ‘달마(達磨)’라 음역. 자신의 독특한 성품을 가지고 있어 궤범(軌範)이 되어 다른 이에게 일정한 요해(了解)를 내게 하는 것. 부처의 가르침. 물질과 정신 등 일체 만유도 자신의 독특한 성품을 가졌으므로 일체 제법 또는 만법이라 함.
주002)
은(恩):은혜.
주003)
법리(法利):법의 이로움.
주004)
아:부수어. -[粉碎]+아.
주005)
가포:갚-[報]+오+ㅁ+.
주006)
설산(雪山):히말라야 산.
주007)
설산보살(雪山菩薩):설산동자(雪山童子)라고도 함. 석가모니가 과거세에 동자로서 설산에 들어가 불도를 닦던 때의 이름.
주008)
반게(半偈):‘게’의 절반. ‘게’의 전체 내용은 제행무상(諸行無常) 시생멸법(是生滅法) 생멸멸이(生滅滅已) 적멸위락(寂滅爲樂). ≪열반경≫ 제14에 기록된 내용. 여래가 과거세에 설산에 들어가 보살행을 닦을 때에 나찰(羅刹)에게서 앞의 반게를 듣고 기뻐서 후반게를 듣고자 하였음. 그러나 나찰이 일러 주지 않자, 몸을 버려 나찰에게 바치기를 약속하고 그것을 마저 들었음. 그래서 ‘설산 반게’, 또는 ‘설산 8자(字)’라고도 함.
주009)
남:나무에. (ㄱ곡용명사)+. 나모+→남.
주010)
올아:올라. 오-[上]+아. 변칙활용.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