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선종영가집 권상
  • 제3 정수삼업(淨修三業)
  • 제3 정수삼업 005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3 정수삼업 005


深自思惟호 行住坐臥四威儀中에 撿攝三愆야 無令漏失이니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기피 주001)
내:
내가. 주격은 ‘·내’(거성), 관형격은 ‘내’(평성)로 실현됨.
호 行住坐臥 네 威儀 주002)
위의(威儀):
위엄 있는 의용. 엄숙한 몸차림. 예법에 맞는 몸가짐. 계율의 다른 말로도 쓰임.
中에 세 허므를 펴 자바 야 주003)
야:
(물 등이) 새어. -[漏]+야/아.
일케 마롤띠니 주004)
마롤띠니:
말 것이니. 말-[勿]+오+ㄹㆆ++ㅣ-+니.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깊이 내가 생각하되 가고 머무르고 앉고 눕는 네 가지 위의 중에 세 가지 허물을 살펴 잡아 새서 잃어버리게 하지 말 것이니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此애 㧾答시고 下애 別答시니라 三愆은 謂殺盜婬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이 모도아 주005)
모도아:
모아. 쓸어 모아. 모도-[㧾, 合]+아.
對答시고 아래 화 주006)
화:
나누어. 호-[分]+아→화.
對答시니라 三愆 주007)
삼건(三愆):
세 가지 허물. 살생과 도둑질과 음행을 말함.
 殺盜婬을 니르시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여기에 모아 대답하시고, 아래에 나누어 대답하셨다. 3건은 살생과 도둑질과 음행을 이르신 것이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내:내가. 주격은 ‘·내’(거성), 관형격은 ‘내’(평성)로 실현됨.
주002)
위의(威儀):위엄 있는 의용. 엄숙한 몸차림. 예법에 맞는 몸가짐. 계율의 다른 말로도 쓰임.
주003)
야:(물 등이) 새어. -[漏]+야/아.
주004)
마롤띠니:말 것이니. 말-[勿]+오+ㄹㆆ++ㅣ-+니.
주005)
모도아:모아. 쓸어 모아. 모도-[㧾, 合]+아.
주006)
화:나누어. 호-[分]+아→화.
주007)
삼건(三愆):세 가지 허물. 살생과 도둑질과 음행을 말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