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 서문
  • 선종영가집 서(禪宗永嘉集序)
  • 선종영가집 서 005
메뉴닫기 메뉴열기

선종영가집 서 005


開妙典於三乘시며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微妙 法을 三乘 주001)
삼승(三乘):
세 가지 교법. ‘승(乘)’은 부처님의 가르침이 중생을 열반의 언덕에 이르게 하므로 수레와 같다는 데에서 붙인 용어. ①성문승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해탈을 얻음. ②연각승은 스스로 깨달음. ③보살승은 보살이 법문을 읽고 자기도 해탈하고 남도 해탈하게 함.
에 여르시며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미묘한 법을 3승에 여시며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說誼]佛이 初成道샤 先說華嚴야시 宿世上根은 聞皆悟入고 唯有二乘이 不知所以 故로 佛이 不動寂場샤 而遊鹿苑샤 開一乘之妙典샤 爲

선종영가집언해 서:4ㄱ

三乘之權宗시니 法華애 云샤 於一佛乘에 分別說三이라 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부톄 주002)
부톄:
부처가. 부텨[佛]+ㅣ(주격조사).
처 주003)
처:
처음. +엄.
成道 주004)
성도(成道):
도를 깨우침.
샤 몬져 주005)
몬져:
먼저. ‘몬져’〉‘먼저’는 비원순모음화. 이와 같은 말에 ‘보션’ 등이 있음.
華嚴 주006)
화엄(華嚴):
≪화엄경≫, 또는 ≪화엄경≫의 교의.
닐어시 녜 뉫 주007)
녜뉫:
옛 세상의. 전생의. 녜[宿]+뉘[世]+ㅅ.
上根 주008)
상근(上根):
지혜가 있어 능히 감당할 만한 근기가 있는 사람.
은 듣고 다 아라 들오 주009)
들오:
들고. 들-[入]+고. ㄹ 아래에서 ㄱ 약화.
오직 二乘 주010)
이승(二乘):
삼승에서 보살승을 제외한 성문승과 연각승. 〈서3ㄴ〉의 ‘삼승’ 주해 참조.
이 그런 고 주011)
고:
까닭을. 곧+. ‘곧’이 한문 원문에 ‘所以’로 나타나므로 ‘까닭’으로 옮김.
아디 몯 주012)
몯:
못하므로. 몯+-+ㄹ. ‘-ㄹ’는 기원적으로는 ‘ㄹㆆ++(부사격조사)’로 분석됨. 이 경우의 ‘-ㄹㆆ’ 앞에는 ‘-오/우-’가 개입하지 않음.
부톄 寂滅道場 주013)
적멸도량(寂滅道場):
부처님께서 ≪화엄경≫을 설하신 중인도 마갈타국 가야성의 남쪽 보리수 아래.
뮈디 주014)
뮈디:
움직이지. 뮈-[動]+디.
아니샤 鹿苑 주015)
녹원(鹿苑):
녹야원. 부처님께서 성도하신 지 삼칠일 뒤에 처음으로 가르침을 펴신 곳. 중인도 바라나국 왕사성의 동북쪽.
에 노니샤 一乘 주016)
일승(一乘):
‘승(乘)’은 부처님의 가르침. 중생을 구제하는 가르침은 근본적으로 하나뿐이라는 견지에서 ‘일승’이라 하는데, ≪법화경≫을 말하기도 함.
微妙 法을 여르샤 三乘 權宗 주017)
권종(權宗):
진실한 이치를 깨닫게 하기 위해 먼저 그 수단으로 말하는 방편의 지혜.
 시니 주018)
권(權):
방편.
 權變이라】
法華 주019)
법화(法華):
≪법화경≫. 대승 경전의 대표적인 경전임.
애 니샤  佛乘 주020)
불승(佛乘):
부처님의 가르침.
에 호아 세흘 주021)
세흘:
셋을. 세ㅎ[三]+을.
니르시니라 시니라
Ⓒ 언해 | 신미 등 / 1464년(세조 10) 월 일

부처께서 처음 성도하시어 먼저 ≪화엄경≫을 이르시거늘 옛 세상의
(=전생부터 닦아 온)
상근은 듣잡고 다 알아서 들고, 오직 이승만이 그러한 까닭을 알지 못하므로, 부처께서 적멸도량에서 움직이지 아니하시고 녹야원에 노니시어 일승의 미묘한 법을 여시어 삼승의 권종을 만드시니【권은 권변이다】, ≪법화경≫에 이르시되, “하나의 불승에서 나누어 세 가지를 이르시느니라.” 하셨다.
Ⓒ 역자 | 장영길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삼승(三乘):세 가지 교법. ‘승(乘)’은 부처님의 가르침이 중생을 열반의 언덕에 이르게 하므로 수레와 같다는 데에서 붙인 용어. ①성문승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해탈을 얻음. ②연각승은 스스로 깨달음. ③보살승은 보살이 법문을 읽고 자기도 해탈하고 남도 해탈하게 함.
주002)
부톄:부처가. 부텨[佛]+ㅣ(주격조사).
주003)
처:처음. +엄.
주004)
성도(成道):도를 깨우침.
주005)
몬져:먼저. ‘몬져’〉‘먼저’는 비원순모음화. 이와 같은 말에 ‘보션’ 등이 있음.
주006)
화엄(華嚴):≪화엄경≫, 또는 ≪화엄경≫의 교의.
주007)
녜뉫:옛 세상의. 전생의. 녜[宿]+뉘[世]+ㅅ.
주008)
상근(上根):지혜가 있어 능히 감당할 만한 근기가 있는 사람.
주009)
들오:들고. 들-[入]+고. ㄹ 아래에서 ㄱ 약화.
주010)
이승(二乘):삼승에서 보살승을 제외한 성문승과 연각승. 〈서3ㄴ〉의 ‘삼승’ 주해 참조.
주011)
고:까닭을. 곧+. ‘곧’이 한문 원문에 ‘所以’로 나타나므로 ‘까닭’으로 옮김.
주012)
몯:못하므로. 몯+-+ㄹ. ‘-ㄹ’는 기원적으로는 ‘ㄹㆆ++(부사격조사)’로 분석됨. 이 경우의 ‘-ㄹㆆ’ 앞에는 ‘-오/우-’가 개입하지 않음.
주013)
적멸도량(寂滅道場):부처님께서 ≪화엄경≫을 설하신 중인도 마갈타국 가야성의 남쪽 보리수 아래.
주014)
뮈디:움직이지. 뮈-[動]+디.
주015)
녹원(鹿苑):녹야원. 부처님께서 성도하신 지 삼칠일 뒤에 처음으로 가르침을 펴신 곳. 중인도 바라나국 왕사성의 동북쪽.
주016)
일승(一乘):‘승(乘)’은 부처님의 가르침. 중생을 구제하는 가르침은 근본적으로 하나뿐이라는 견지에서 ‘일승’이라 하는데, ≪법화경≫을 말하기도 함.
주017)
권종(權宗):진실한 이치를 깨닫게 하기 위해 먼저 그 수단으로 말하는 방편의 지혜.
주018)
권(權):방편.
주019)
법화(法華):≪법화경≫. 대승 경전의 대표적인 경전임.
주020)
불승(佛乘):부처님의 가르침.
주021)
세흘:셋을. 세ㅎ[三]+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